낙동강, 물고기 이어 버드나무도 떼죽음

정수근 2013. 07. 05
조회수 57358 추천수 0

강정고령보, 달성습지 등 낙동강변서 수만~수십만 그루 고사 추정

"4대강 담수로 질식사"…야생동물 서식지 상실, 수질 악화 등 2차·3차 피해 우려

 

tree1.jpg » 누렇게 말라죽어가고 있는 낙동강변 버드나무숲. 4대강 사업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동안 낙동강의 터줏대감을 노릇을 하면서 각종 야생동식물들에게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했던 낙동강 버드나무 군락들이 집단 떼죽음 당하고 있다. 지난 수십년 동안 전혀 발생한 적이 없던 이런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4대강사업 이후에 나타나는 결과로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그리고 이것은 지난 가을 발생한 물고기 떼죽음 현상에 이은 두 번째 ‘4대강 생태재앙’으로 강변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낙동강변을 따라 기존 습지 주변에 자생하던 왕버들을 비롯한 버드나무 군락들이 하나 둘 고사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4대강 보 담수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이다. 원래 버드나무들은 물가나 강변습지에 사는 것을 좋아하지만, 강물이 깊어진 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살 수가 없어, 4대강사업으로 호수로 변한 낙동강이 작금의 버드나무 집단 떼죽음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tree2.jpg » 강정고령보 담수로 인해, 상류 강변에 자생하던 버드나무 군락이 떼죽음 당했다. 이 기현상은 낙동강을 따라 공히 일어나는 생태 재앙의 현장이다.

 

이 기현상은 낙동강 700리를 따라 대부분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고사한 버드나무의 수는 최소 수만에서 최대 수십만 그루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게다가 이러한 버드나무들의 집단 떼죽음 현상은 그 자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강변 생태계에 치명적인 2차, 3차 피해를 양산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들 버드나무 군락이 사라지면서 그동안 야생동식물들의 서식처와 은폐물 구실을 해왔던 공간이 사라져 버려 야생동물들은 끊임없는 긴장과 불안으로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된다.

 

또 떼죽음 당한 버드나무들이 썩어감에 따라 부영양화를 초래해 그렇지 않아도 나쁜 수질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다. 나아가 이런 고사목들은 추후 장맛비 등에 휩쓸리면서 집중호우만 오면 쌓이게 되는 보 주변의 쓰레기로 인한, ‘4대강 쓰레기 보’의 주 원인물질이 될 것이다.

 

tree3.jpg

 

tree4.jpg


tree4.jpg » 나무 줄기 밑둥이 잠긴 채 일주일만 지나도 나무들은 뿌리호흡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고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계명대 생물학과의 김종원 교수는 “버드나무 종류가 물가에 사는 것을 좋아하지만, 줄기 아래 밑둥 부분이 오랫 동안 침수되면 땅속뿌리가 호흡을 할 수 없어서 전부 고사한다. 그동안 여름철 장마기간의 침수에도 이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강의 빠른 통수 능력 때문이었다. 그러나 4대강사업으로 우리 하천의 고유기능이 완전히 사라져 버리면서 이런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것은 강변 생태계를 완전히 망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라고 진단했다.

 

강변 생태계를 살린다며 4대강 하천정비사업이니, 4대강 살리기 사업이니 하면서 이름만 요란하게 시작한 4대강사업이 지난 물고기 떼죽음 사태에 이어 버드나무 떼죽음 사태를 초래함으로써 결국은 강변 생태계를 완전히 괴멸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이것은 생물다양성에도 치명적인 해악을 입힐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한다.

 

도대체 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 4대강 심판과 4대강 복원이 시급한 이유다. 그런데 4대강 철저 검증을 외친 박근혜 정부는 도대체 무엇을 하는가? 이 장마철 4대강에서 터져나올 대재앙 사태 우려를 지울 수가 없다.

 

tree5.jpg

 

tree6.jpg » 낙동강 담수로 인한, 지천인 금호강 달성습지의 버드나무들도 떼죽음했다.  


글·사진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