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소득 순', 2만 달러가 한계

조홍섭 2013. 11. 11
조회수 37720 추천수 0

자원환경위기, 불평등, 긍융위기 등 넘어설 정책 제안

'GDP 2만달러 넘어서면 소득 늘어도 행복해지지 않아'

 

st1.jpg

 
복리로 예금해 놓은 내 돈이 불어나는 것을 예외로 한다면, 사람은 누적해 일어나는 작은 변화에 매우 둔감하다. 세계 인구가 해마다 1%만 증가해도 현재 70억명에서 곱절인 140억이 되는 데는 70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경제가 연평균 3%씩 성장하면 23년 뒤면 그 규모가 두 배로 커진다. 문제는 인류가 산업혁명 이후 이룩한 이런 지수함수적 변화가 지구의 물리적 한계에 다가섰거나 이미 넘어섰다는 데 있다.
 

“유한한 세계에서 성장이 영원히 계속되리라고 믿는 사람은 미친 사람이거나 경제학자”라고 경제학자 케네스 볼딩은 꼬집었다. 하지만 자원과 환경위기, 경제적 불평등 심화, 세계 금융위기 등이 일상화된 요즘 ‘성장하지 않고도 잘 사는 경제’는 경제학의 새로운 화두가 됐다. 생태 경제, 지속 가능 경제, 그리고 이 책이 말하는 ‘정상 상태 경제’가 그것이다.
 

st0.jpg

'이만하면 충분하다'
로버트 디에츠·대니얼 오닐 지음, 한동희 옮김/새잎·1만6000원

 

그런 경제란 “물질과 에너지 사용량이 생태적 한계 내에서 유지되고, 지디피(GDP) 증가라는 목표는 삶의 질 개선이라는 목표로 바뀌는 경제”이며 현상적으로는 자원소비와 인구가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제이다.
 

지구 생물권은 이미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손실, 질소 순환 등에서 회복 탄력성을 넘어섰고, 토지 이용, 담수 사용량, 해양 산성화 등에서 그 문턱에 육박하고 있다.

 

st2.jpg

 

월드워치 연구소는 연평균 소득 3만6000달러의 고소득 생활수준으로 산다면(미국보다는 1만달러 적지만) 지구는 21억명을 먹여 살릴 수 있고, 5100달러 수준이어야 62억명이 지속 가능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게다가 평균이 숨기는 격차는 심각하다. 70억 지구인구 중 27억명이 하루 2달러 이하로 살고 있는 반면 인구의 2%가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런 근본적 지구 차원의 문제를 해결해 “번영하지만 성장하지 않는 경제”를 이루기 위한 정책 제안 모음집이다. 물질과 에너지 소비를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기, 인구 안정화하기, 공정한 소득 분배하기, 화폐와 금융시스템 개혁하기, 일자리와 완전고용 보장하기 등에 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물론 문제의 엄청난 복잡성에 비춰 이들 제안 역시 원론적일 수밖에 없긴 하다.
 

정상 상태 경제에 대한 주요 비판은 기술 발전과 효율 향상으로 물질 소비를 줄이면서도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효율 향상은 추가 소비를 부추긴다는 ‘반등 효과’를 들어 기술만으로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역설한다.

 

실제로 1980~2007년 사이 세계 경제는 효율향상과 기술혁신 덕분에 같은 생산을 하는데 들어가는 자원의 양을 33%나 줄였지만, 같은 기간 동안 절대적인 자원사용량은 61% 증가했다. 자동차 연비가 개선되면 운행거리가 더 길어지고, 냉장고 전기소비가 줄면 용량이 크게 늘어 절감 효과를 뛰어넘는다.
 

st3.jpg

 

흥미로운 사실은, 국가간 비교에서 행복과 만족도는 소득이 늘어나면서 증가하다가 연평균 국민소득 약 2만달러를 넘어서면 소득이 늘어나도 더는 행복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바로 이 지점에 서 있다.

 

성장에 대한 신화가 세계적으로 강한 우리에게 “충분한 것보다 더 많이 가지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은 어리석다”는 지은이의 말이 얼마나 설득력 있게 다가올까 궁금하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

    조홍섭 | 2019. 08. 02

    프란스 드 발의 동물행동학 역작 “동물, 인지능력과 감정까지 보유” 공감·배려·협력은 사회성 포유류 특징 인간중심주의 벗고 ‘동물성’ 회복해야 “동물도 감정이 있을까?”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해 물을 가치도 없는 질문이다. 그...

  • 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조홍섭 | 2018. 05. 23

    벌-그 생태와 문화의 역사(노아 윌슨 리치 지음, 김슨윤 옮김/ 연암서가, 2만원)꿀벌 경고 페로몬과 비슷한 냄새 풍겨…페로몬 막으려 훈연기 사용높이 나는 드론 수벌만 여왕봉과 짝짓기, 음경 폭발로 ‘비극적 행운’꿀벌 하면 달콤한 꿀과 따끔...

  • 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

    조홍섭 | 2017. 08. 18

    우리 몸은 미생물과 더불어 사는 생태계미생물 통해 자연과 인간 새롭게 보자 주장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에드 용 지음, 양병찬 옮김/어크로스·1만9800원우리 몸속에는 39조 마리의 미생물이 산다. 불청객이 아니다. 미생물은 동물이 출현하기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

    조홍섭 | 2017. 04. 28

    멍게는 조개보다 척추동물에 가까워…바지락 해감은 놀라서 삼킨 것 도루묵 이름 유래에 식자 오만, 어민은 오래전부터 '은어' '도루묵' 불러      우리가 사랑한 비린내 -해양생물학자가 우리 바다에서 길어 올린 풍미 가득한 인문...

  • 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

    조홍섭 | 2016. 12. 02

    몸은 사람세포 10배 ‘세균 생태계’, 가공식품 먹으면서 세균 다양성 낮아져김홍표 교수의 최신 진화생물학, ‘내 몸 속 바깥’ 소화기관의 기원 탐구사람은 찐빵과 도넛 가운데 어느 쪽에 가까울까. 생물학자는 도넛을 가리킨다. 입에서 위장과 창...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