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표 한 표 ‘강물’로 거짓말 ‘보’ 허물자
죽이기가 살리기라고 우기는 위선자 퇴장 꾹!
투표 심판 않고 아이에게 어찌 정직 가르치나
2008년 6월 대통령은 국민이 반대하면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배가 다니는 운하가 아니라 용수확보, 홍수예방, 하천정비로 사업내용을 바꾸고 이름도 4대강 살리기로 바꿨다. 그리고 2년 동안 시민단체와 야당, 대학교수와 종교계의 반대를 무시하며 4대강 바닥을 긁어내고 보를 세우는 공사를 계속했다.
부모들의 반성문이자 서약서
마침내 2010년 5월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여의도에 국제무역항을 설치하는 항만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지난 2년 동안의 한강 살리기 사업이 사실은 한강운하 사업이었음을 법으로 명확히 한 것이다. 그 동안 운하가 아니라고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서는 한 마디 사과의 말도 없다.
부모는 아이들에게 정직하라고 가르친다. 거짓말을 하면 사랑의 매를 든다. 그런데 아이들이 묻는다. 정치인들은 거짓말을 해도 괜찮으냐고, 왜 아이들만 혼내느냐고 항의한다. 그렇다 부모들이야말로 거짓말쟁이다. 아이들은 거짓말하면 엄하게 혼내면서 정치인들이 거짓말하는 것은 대충 넘어가는 위선자다. 그래서 부모들의 한 표는 반성문이다. 그 동안의 거짓말을 사과하고 앞으로는 정직하겠다고 아이들에게 다짐하는 서약서다.
물방울이 모여 시냇물이 되고 하천이 만나 강이 되듯이 나의 한 표가 너의 한 표와 만나 시장·군수를 바꾸고, 시·도지사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거짓말은 나쁜 것이라는 평소의 가르침을 아이들에게 행동으로 보여 주는 일이다. 대통령도, 시·도지사도, 시장·군수도 거짓말하면 국민이 혼내주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투표로 보여주는 것이다. 4대강 사업은 운하가 아니라는 거짓말, 타당성 없는 개발공약으로 유권자들을 현혹하는 거짓말, 재임 중에 제대로 한 일이 없으면서 또 새로운 거짓말을 하는 정치인들에게 퇴장! 이라고 빨간 종이를 번쩍 드는 심판이 되는 것이다. 아이들은 거짓말하는 정치인들이 퇴장하는 것을 보며 정직한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할 것이다.
몇 표 차 당락…아차 하면 또 후회
소중한 한 표는 빈말이 아니다. 한 표 차이로 당선되고 떨어지는 일이 실제로 있었다. 2006년 지방선거 때 가평군 다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군의원 후보는 무소속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화천군 가 선거구에서는 열린우리당 군의원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고흥군 다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군의원 후보가 같은 당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2표 차이로 떨어진 사례도 적지 않다. 역시 2006년 지방선거 때 전주시 바 선거구에서 민주당 시의원 후보는 열린우리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태백시 제2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 도의원 후보는 한나라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2000년 국회의원 선거 때는 하남시와 광주시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서울시 동대문을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3표 차이로 떨어졌다.
잘 하면 칭찬하고 잘못하면 책임을 묻는 것이 선거다. 그러나 시간없음, 번거로움, 귀찮음, 게으름 등 투표소로 가는 길에는 적지 않은 장애물들이 있다. 오늘 만큼은 장애물경기 선수가 되자. 우리 아이들에게 정직하라고 가르치기 위해 투표소로 가는 장애물을 아이와 함께 넘어보자. 백 마디 말보다 한 번 보여주는 것이 낫다.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혼나는 것보다 더 좋은 교육은 없다. 유권자를 속이는 정치인들을 투표로 심판하지 않으면 아이들은 정직하라고 가르치는 부모의 진정성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기권의 의미를 찬성으로 간주하여 4대강 운하사업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고 반대여론을 무시하는 오만과 독선은 더 노골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
투표 심판 않고 아이에게 어찌 정직 가르치나
2008년 6월 대통령은 국민이 반대하면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배가 다니는 운하가 아니라 용수확보, 홍수예방, 하천정비로 사업내용을 바꾸고 이름도 4대강 살리기로 바꿨다. 그리고 2년 동안 시민단체와 야당, 대학교수와 종교계의 반대를 무시하며 4대강 바닥을 긁어내고 보를 세우는 공사를 계속했다.
부모들의 반성문이자 서약서
마침내 2010년 5월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여의도에 국제무역항을 설치하는 항만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지난 2년 동안의 한강 살리기 사업이 사실은 한강운하 사업이었음을 법으로 명확히 한 것이다. 그 동안 운하가 아니라고 거짓말을 한 것에 대해서는 한 마디 사과의 말도 없다.
부모는 아이들에게 정직하라고 가르친다. 거짓말을 하면 사랑의 매를 든다. 그런데 아이들이 묻는다. 정치인들은 거짓말을 해도 괜찮으냐고, 왜 아이들만 혼내느냐고 항의한다. 그렇다 부모들이야말로 거짓말쟁이다. 아이들은 거짓말하면 엄하게 혼내면서 정치인들이 거짓말하는 것은 대충 넘어가는 위선자다. 그래서 부모들의 한 표는 반성문이다. 그 동안의 거짓말을 사과하고 앞으로는 정직하겠다고 아이들에게 다짐하는 서약서다.
물방울이 모여 시냇물이 되고 하천이 만나 강이 되듯이 나의 한 표가 너의 한 표와 만나 시장·군수를 바꾸고, 시·도지사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거짓말은 나쁜 것이라는 평소의 가르침을 아이들에게 행동으로 보여 주는 일이다. 대통령도, 시·도지사도, 시장·군수도 거짓말하면 국민이 혼내주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투표로 보여주는 것이다. 4대강 사업은 운하가 아니라는 거짓말, 타당성 없는 개발공약으로 유권자들을 현혹하는 거짓말, 재임 중에 제대로 한 일이 없으면서 또 새로운 거짓말을 하는 정치인들에게 퇴장! 이라고 빨간 종이를 번쩍 드는 심판이 되는 것이다. 아이들은 거짓말하는 정치인들이 퇴장하는 것을 보며 정직한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할 것이다.
몇 표 차 당락…아차 하면 또 후회
소중한 한 표는 빈말이 아니다. 한 표 차이로 당선되고 떨어지는 일이 실제로 있었다. 2006년 지방선거 때 가평군 다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군의원 후보는 무소속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화천군 가 선거구에서는 열린우리당 군의원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고흥군 다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군의원 후보가 같은 당 후보에게 1표 차이로 떨어졌다. 2표 차이로 떨어진 사례도 적지 않다. 역시 2006년 지방선거 때 전주시 바 선거구에서 민주당 시의원 후보는 열린우리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태백시 제2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 도의원 후보는 한나라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2000년 국회의원 선거 때는 하남시와 광주시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2표 차이로 떨어졌다. 서울시 동대문을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에게 3표 차이로 떨어졌다.
잘 하면 칭찬하고 잘못하면 책임을 묻는 것이 선거다. 그러나 시간없음, 번거로움, 귀찮음, 게으름 등 투표소로 가는 길에는 적지 않은 장애물들이 있다. 오늘 만큼은 장애물경기 선수가 되자. 우리 아이들에게 정직하라고 가르치기 위해 투표소로 가는 장애물을 아이와 함께 넘어보자. 백 마디 말보다 한 번 보여주는 것이 낫다.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혼나는 것보다 더 좋은 교육은 없다. 유권자를 속이는 정치인들을 투표로 심판하지 않으면 아이들은 정직하라고 가르치는 부모의 진정성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정부와 여당은 기권의 의미를 찬성으로 간주하여 4대강 운하사업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고 반대여론을 무시하는 오만과 독선은 더 노골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
관련글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