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 수컷의 치명적 사랑, 토종보다 외래 암컷

조홍섭 2013. 11. 29
조회수 57597 추천수 0

뉴질랜드 토종 사마귀 수컷, 안전한 동종보다 치명적 외래종 암컷 선호

외래종 성호르몬이 생태계 교란 사례, 세계 다른 곳에서도 벌어질 가능성

 

murray fea_sn-mantis.jpg » 뉴질랜드 토종 사마귀 수컷(왼쪽)이 잡아먹힐지도 모르고 남아프리카 외래종 암컷에게 짝짓기를 하려고 접근하고 있다. 사진=머레이 피, <바이올로지 레터스>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매력적인 여성을 일컫는 ‘팜 파탈’을 곤충에 적용하면, 곤충계의 ‘팜 파탈’은 사마귀와 거미 가운데 적지않다. 사마귀 암컷은 짝짓기를 마친 뒤 수컷을 맛있게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사랑을 나눈 뒤 잡아먹는 습성이 없는 사마귀와 동종포식을 일삼는 사마귀가 만나면 어떻게 될까.
 

이 문제는 오랜 세월 고립돼 고유종이 많은 뉴질랜드에선 흥밋거리 이상의 의미가 있다. 뉴질랜드에는 세계에서 이 나라에만 있는 사마귀가 있는데, 이들은 동종포식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1978년 남아프리카로부터 그런 습성이 있는 사마귀가 유입됐다. 이 외래종은 갈수록 퍼져나갔고 토종 사마귀는 점점 보기 힘들어졌다.
 

Bryce McQuillan_Female_New_Zealand_Mantis_(Orthodera_novaezealandiae)_from_side.jpg » 세계에서 뉴질랜드에만 서식하는 사마귀 암컷. 동종포식을 하지 않는다. 사진=브라이스 맥퀼리언, 위키미디어 코먼스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연구자들은 실험실에서 두 종의 사마귀를 기르면서 실험한 결과 토종 사마귀가 사라지는 유력한 이유를
찾아냈다. 바로 ‘팜 파탈’ 탓이었던 것이다.
 

사마귀 암컷은 성호르몬인 페로몬을 공중에 발산해 수컷을 유혹한다. 그런데 다른 종이면서도 페로몬의 화학조성이 비슷한 경우가 있다. 뉴질랜드 사마귀의 비극은 여기서 시작됐다.
 

Tony_640px-Miomantis_caffra_eating_a_New_Zealand_cicada.jpg » 뉴질랜드에 유입된 남아프리카 사마귀. 동종포식을 하며 페로몬이 토종의 것과 비슷하다. 사진=토니, 위키미디어 코먼스

 

연구진은 우선 토종 사마귀 수컷에게 외래종 암컷 사마귀의 페로몬과 그냥 공기를 보내 어느 쪽을 선택하는지 실험했다. 수컷 16마리 가운데 12마리가 외래종 암컷의 냄새 쪽으로 향했다.
 

이번에는 동족 암컷의 페로몬과 외래종 암컷의 페로몬 가운데 선택하도록 했더니, 13마리 가운데 11마리가 치명적인 외래종 암컷의 성호르몬이 풍기는 곳으로 갔다.
 

남아프리카에서 온 사마귀 수컷도 암컷에게 잡아먹히지만 그 비율은 39.1%에 그쳤다. 그러나 뉴질랜드 토종 사마귀 16마리 가운데 11마리(68.8%)가 외래종 암컷의 밥이 됐다. 토종의 사망률이 훨씬 높은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외래종이 먹이사슬뿐 아니라 성호르몬을 통해서도 생태계를 교란시킬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됐다.”라고 논문에서 밝혔다.
 

사실 뉴질랜드 토종 사마귀는 이중의 타격을 입는다. 수컷의 사망률이 높아 토종 암컷의 번식이 지장을 받을뿐더러, 설사 잡아먹히지 않더라도 암컷 사마귀의 페로몬은 공중에 널리 퍼지기 때문에 외래종 암컷 주변에 토종 수컷이 몰려들어 토종 암컷은 짝을 찾는 것 자체가 힘들 수 있다.
 

Oliver Koemmerling_640px-Praying_Mantis_Sexual_Cannibalism_European-37.jpg » 짝짓기를 마친 뒤 성공적인 산란을 위해 수컷을 잡아먹는 사마귀 암컷. 사진=올리버 쾨멀링, 위키미디어 코먼스

 

사마귀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것은 그 영양분을 섭취해 더 충실한 알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런 포식성이 강한 암컷일수록 번식률이 높아 자손을 많이 남긴다. 그런 형질이 강화되는 것이다.
 

반대로 수컷은 암컷의 이런 행동을 회피하는 쪽으로 진화했다. 안타깝게도 뉴질랜드 사마귀 수컷은 잡아먹힌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런 회피행동을 진화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선 사마귀를 잘 먹이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서보다 암컷의 식욕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어, 실제 자연에서 토종 사마귀가 외래종 암컷에 잡아먹힐 확률이 더 높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또 외래종에 의한 성호르몬 교란 현상이 뉴질랜드 이외의 세계 다른 지역 생태계에서도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물론, 수컷 사마귀가 치명적 암컷에게 더 끌리는 건 뉴질랜드 종의 사례여서 이를 일반화할 수는 없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27일치에 실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urray P. Fea, Margaret C. Stanley and Gregory I. Holwell Fatal attraction: sexually cannibalistic invaders attract naive native mantids Biol. Lett. 2013 9, 20130746, published 27 November 2013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