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가팔라도 산사태 모르는 다랭이 논의 지혜

윤순영 2011. 08. 15
조회수 35267 추천수 1

자연 거스르지 않고 사람과 조화 이뤄

눈물겨운 노동의 유산, 이젠 문화재와 관광지로


다랭이 논은 눈물과 땀으로 만든 땅이다. 착취와 난리를 피해 산속으로 이주한 가난한 농민들은 돌투성이의 가파른 비탈을 개간해 논으로 만들었다. 걷어낸 돌로 논둑을 쌓고 물이 쉬 빠져나가지 않도록 점토나 흙을 퍼날라 다졌다. 모든 일이 사람 손으로 이뤄졌다. 한 명이 하루종일 쉬지 않고 일해야 한 평 남짓의 논을 개간할 수 있었다. 손바닥 만한 땅도 논으로 일궜다. 그런 논은 삿갓 하나로 논 한 배미를 다 덮을 수 있다고 해서 ‘삿갓다랑이’, 또는 죽이나 밥 한 그릇과 바꿀 정도로 작다 해서 ‘죽배미’나 ‘밥배미’라고 불린다. 이렇게 수백년 동안의 눈물겨운 노동으로 이룩한 계단식 논은 생태 가치가 높다. 토양침식을 막고 물을 머금어 홍수를 줄이며, 산속에 습지를 조성해 생물 다양성을 높인다. 게다가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농촌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경남 남해군 가천마을의 다랭이 논을 둘러봤다.


 

 6051.jpg

 

남해군 남면 가천마을은 망망대해와 깎아지른 절벽이 장관을 이룬 해안도로  돌다보면, 여기도 사람이 살고 있나 싶을 정도로 급격한 경사를 이룬 소울산(망산) 응봉산 골짜기에 옴쏙하니 들어 앉아 있다.

  

5997.jpg 

 가천마을은  "민초들의 고단한 삶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승화된 계단식 다랭이 논, 억겁의 세월 바닷물에 말끔히 씻겨 눈처럼 새하얘진 바위와 쪽빛 바다가 이룬 풍광이 정말 멋스럽다."

 

 6017.jpg

 최근 서울 우면산 산사태는 마구잡이식 개발이 인명피해를 불렀지만 가천 마을 다랭이 논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억수 같은 비와 태풍에도 피해를 주지 않고 오히려 예술로 승화시켰다.


6081.jpg 

가천마을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인간과 잘 조화를 이룬 최고의 계단식 다랭이 논이다. 주민들은 바다로 내리 지르는 소울산 응봉산 비탈을 깎아 논을 만들었다.


6056.jpg

▲2.5미터 이상의 논 석축


삿갓을 씌우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논이라 하여 삿갓배미라 부르는 작은 논과 실한 세마지기(이곳의 단위로는 240평 정도) 논까지 100층이 넘는 논배미들이 층계를 이룬 모습은 참말로 장관이다.

 

 

6043.jpg

 ▲소울산, 응봉산을 울타리 삼아 터전을 만든 가천마을 전경


천수답이 아니더라도 위에서부터 물을 대야 고루 물을 댈 수 있다는 슬기로 척박한 비탈에 석축을 쌓아 논을 만들고, 그 석축은 한 뼘 이라도 더 땅을 넓히려는 주민들의 집념으로 안으로 기운 것 없이 바짝 곧추 섰으며 그 석축을 따라 농군의 심성을 닮은 듯 유연한 곡선을 그린 논두렁이 이룬 장관은 한 폭의 그림이다.


6072.jpg

▲집터 안에 있는 바위가 돌을 들어내 경지를 만들던 주민들의 노고를 웅변한다.


_6073.jpg

▲선조들의 고단했던 삶을 보여주는 벽화

 

6014.jpg

▲대나무 골목길

 

영조 27년(1751년) 현령이었던 조광징의 꿈에 백발을 휘날리며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가천에 묻혀 있는데 우마의 통행이 잦아 일신이 불편해 견디기가 어려우니 나를 일으켜 주면 필시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 말했다.


 6082.jpg

 ▲암수바위

 

현령이 관원을 모아 가천으로 가 꿈에 본 것과 똑 같은 지세가 있어 땅을 파자 남자의 성기를 닮은 형상인 높이 5.8m, 둘레1.5m인 거대한 수바위와 아기를 밴 배부른 여인의 형상인 높이 3.9m, 둘레2.5m인 암바위가 나왔다.


현령은 암바위는 누운 그대로 두고 수바위는 일으켜 세워 미륵불로 봉안하고 제사를 올렸다. 이때부터 주민들은 미륵불이 발견된 음력 10월23일 자정이면 생선이나 육고기 없이 과일만 차려 불교식 제사를 올리며 마을의 안녕을 빌고 있다.


6076.jpg

▲다랭이 논처럼 돌을 쌓아 올린 집터. 높이가 10미터나 된다.


암수바위는 주민들뿐만 아니라 어선들이 고기잡이를 나갈 때 예를 올리는 용왕신이며 불임여성, 병자가족, 입시생을 둔 학부모들이 기도하기 위해 찾는 곳이기도 하다.


6009.jpg

▲다랭이 논처럼 석축을 쌓아 만든 계단식 집들.

 

6010.jpg

▲300~400년 된 느티나무가 골목 마다 서 있다.


다산을 기원하던 성기숭배의 대상물에서 바다와 마을의 수호신, 탄압받던 민초들이 해방된 세상을 기원하던 미륵불인 가천 암수바위는 남해의 귀중한 문화자산이다.


_6007.jpg

▲매우 가파른 골목길


아직도 참게가 살고 있는 맑은 개울이 마을을 가로 질러 작은 폭포를 이루는 곳에 태고부터 파도에 씻겨 하얘진 화강암 바위들이 눈부신 가천해안의 절경 또한 그냥 지나치기엔 아까운 장관이다.

 

6120.jpg

▲홍현 다랭이 논


가천마을을 들어서기 전 홍현이라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6112.jpg


옛날 이곳에 소라가 많이 나서 소라를 잡아 생활한다고 하여 '라라'라고 불렀다고 하며, 조선시대 말 행정구역 개편 때 무지개 고개의 재가 있다고 하여 홍현이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6130.jpg

이곳의 다랭이 논도 그냥 지나치기 아까울 정도로 아름답다.

 

윤순영/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