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 못 맡는 상어, 시큼해지는 바다

조홍섭 2014. 09. 12
조회수 41828 추천수 0

묵묵히 탄소 흡수 바다와 토양이 심상찮다, 바다 흡수능력 70%로
부담은 미래로 미루기…23일 기후정상회의에서 박근혜가 할 말은?

 

Hammerhead_shark_s.jpg » 머리가 독특한 형태인 귀상어. 냄새를 민감하게 맡기 위해 콧구멍 사이를 벌리기 위한 진화의 결과이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상어는 ‘헤엄치는 코’라고 불릴 정도로 후각이 예민하다. 백만배로 희석한 핏방울을, 그것도 아주 멀리서 감지한다. 어둡거나 탁한 바다에서 사냥하는 일이 많은 상어에게 시각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해류를 타고 멀리서 전달되는 후각으로 먹이와 천적, 그리고 짝을 찾는다.
 

그런데 머지않아 상어의 코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사태가 올 것 같다. 기후변화로 바다가 시큼해지기 때문이다. 대니엘 딕슨 오스트레일리아 제임스쿡대학 해양생물학자 등 연구진은 금세기 중반과 말에 예상되는 산성도의 바닷물에서 상어가 후각기능을 제대로 유지하는지 실험했다.

 

바다 산성화 상어 실험 모습.jpg » 산성화된 바닷물에서 별상어가 먹이인 오징어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지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치. 보라색 흐름은 냄새를 흘려보내는 곳을 가리킨다. 사진=다니엘 딕슨 외, <글러벌 체인지 바이올로지>

 

실험 수조에 풀어놓은 별상어는 산성화한 바닷물에서 좋아하는 먹이인 오징어 냄새를 전혀 맡지 못했다. 과학저널 <글로벌 체인지 바이올로지> 최근호에 실린 이 논문은 불길하다. 그렇지 않아도 세계 상어 종의 3분의 1이 남획 등으로 멸종위기에 놓였는데, 이제 바다 산성화라는 피할 곳 없는 위협에 직면한 것이다.
 

지난해 지구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난 30년 이래 가장 빠른 속도로 늘었다는 세계기상기구의 보고서가 나왔다. 1990년과 견줘 지난해 온실가스가 내는 온난화 효과는 34% 증가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온실가스 연보>가 처음으로 바다 산성화 항목을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wmo.jpg » 연도별 온난화 효과 도표. 맨위 검은 실선은 모든 온실가스의 효과를 합친 것이다. 미래의 효과는 감축 시나리오별 예상치이다. 그림=세계기상기구(WMO)

 

화석연료를 태워 나온 이산화탄소가 모두 대기로 가는 것은 아니다. 온실가스의 4분의 1은 바다로, 다른 4분의 1은 숲과 흙 등 생태계가 흡수한다. 그런데 인류가 내놓은 이산화탄소를 묵묵히 처리해주던 바다와 토양이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바다는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그 양을 인류 개인으로 환산하면 매일 4㎏꼴이다. 무한할 것 같던 바다의 포용력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은 산업화 이전의 70% 수준으로 떨어졌고, 금세기말에는 다시 20%로 줄어들 것이라고 이 연보는 경고한다. 이런 바다의 산성화는 지난 3억년 동안 유례 없는 일이다.
 

이산화탄소는 바닷물에 녹아 약산성을 띠는 탄산이 된다. 이는 연쇄적으로 바다 생물의 뼈대와 껍질을 이루는 탄산칼슘 형성을 방해한다. 산호나 게·새우 같은 갑각류, 플랑크톤 등이 치명타를 입는다.

 

최근엔 해양생물의 껍질이 ‘녹아내리는’ 외형적 피해를 넘어 생리기능과 발달이 저해돼 결국 생존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산성화된 바닷물에서 물고기는 신경과 감각체계가 교란해 행동 장애와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NOAA_pteropod-dissolving-shel_sl.jpg » 대표적인 해양 동물 플랑크톤 프테로포드. 바닷물이 산성화하면서 갑각이 약해지고 있다. 사진=미해양대기국(NOAA) 

토양 속엔 대기보다 2배나 많은 탄소가 유기물 형태로 간직돼 있다. 특히 그 절반 이상이 극지방 동토에 들어 있는데 만일 온난화로 동토의 유기물이 분해돼 이산화탄소가 대량 방출되는 사태가 벌어질까봐 우려돼왔다. 다행히 미생물이 토양의 탄소 방출을 억제하기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나 북극의 ‘탄소 폭탄’은 가능성으로 남은 상태였다.
 

그런데 이런 가설이 맞는지 북극에서 아마존까지 세계 22곳의 토양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가 과학저널 <네이처> 최근호에 실렸다. 결론은 극지방으로 갈수록 온도 상승에 따라 토양 미생물의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현재의 기후모델이 방대한 토양 속 탄소를 과소평가했음이 분명해진 것이다.
 

01057949_P_0.jpg » 화력발전소 등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탄소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된다. 그러나 시작부터 봐주기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탁기형 기자

 

바닷속과 땅속에까지 기후변화의 심상치 않은 조짐이 보이고 있지만 인류의 대응은 굼뜨기 짝이 없다. 영국 피더블유시(PwC)가 해마다 집계하는 저탄소 경제 지표(LCEI)를 보면, 국내총생산(GDP) 단위당 탄소를 얼마나 방출하는지를 가리키는 탄소집약도가 지난해 세계적으로 평균 1.2% 줄었다.

 

2100년까지 유엔이 기후재앙을 막기 위한 목표로 제시한 ‘2도 상승’을 달성하려면 해마다 6%를 줄여야 하는데 목표의 5분의 1에 그친 것이다. 저마다 사정을 내세워 할 일을 뒤로 미룬 것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기업의 부담을 고려해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완화하고 저탄소차 협력금 제도 시행을 연기하면서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부담은 다음 정권에 떠넘겼다.
 

기후정상회의가 오는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다.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한 141개국 정상이 참가할 예정이다. 내년이 협상 시한인 새 기후체제 합의를 위한 정치적 동력을 얻기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마련한 자리다.

 

반 총장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분명한 목표와 과감한 행동”을 주문하고 있다.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대기업에 휘둘리면서도 박 대통령은 또 “기후변화 대처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할 것인가.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