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전기 vs 착한 전기

조홍섭 2015. 01. 16
조회수 49217 추천수 0

위험한 원전 늘리고 농민 땅 빼앗는 '나쁜 전기'

지역분산형이고 지속가능한 '착한 전기'  

 

착한전기는가능하다.jpg
 
착한 전기는 가능하다
한승수 지음/한티재·8000원
 
누군가의 눈물과 고통에 얼룩진 전기는 ‘나쁜’ 전기다. 반대로 ‘착한’ 전기는 핵발전과 기후변화의 위험을 피하고 고압송전선으로 애꿎은 농민 땅을 빼앗지 않는다.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인 지은이가 부안 핵폐기장과 밀양 송전탑 문제를 겪으면서 현장에서 깨달은 전력정책의 문제점을 알기 쉽게 간추렸다. “세상을 시끄럽게 만들기 위해” 펴낸 “불온한 소책자”이다.
 

원전 10기 분량의 발전설비가 남아돌면서도 원전과 대규모 석탄발전소를 계속 짓는 나라. 수요가 몰린 수도권에서 먼 바닷가에 초대형 발전소를 몰아 짓느라 초고압 송전망이 자꾸 필요한 나라. 넘쳐나는 전기를 원가 이하로 기업들에 공급해 세계에서 8번째로 전기를 많이 쓰는 나라….

 

이상한 전력정책 뒤에는 발전소와 송전선 건설로 돈을 버는 대기업과 정책결정자, 전문가, 언론이 마피아처럼 연결돼 있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해법은 독일 등에서 입증한 재생가능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분산형 전력체계이다. 전력계획 수립에 시민이 참여하고 산업용 전기요금을 대폭 올려야 한다. 한해 5000억원이 넘는 정부의 핵발전 연구개발 예산을 재생에너지로 돌리고 송전탑 피해를 강요하는 토지수용 등 악법을 개정해야 한다.

 

“전기를 쓰되,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전기를 쓰는 길” 곧 에너지 민주주의로 가야 한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

    조홍섭 | 2019. 08. 02

    프란스 드 발의 동물행동학 역작 “동물, 인지능력과 감정까지 보유” 공감·배려·협력은 사회성 포유류 특징 인간중심주의 벗고 ‘동물성’ 회복해야 “동물도 감정이 있을까?”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해 물을 가치도 없는 질문이다. 그...

  • 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조홍섭 | 2018. 05. 23

    벌-그 생태와 문화의 역사(노아 윌슨 리치 지음, 김슨윤 옮김/ 연암서가, 2만원)꿀벌 경고 페로몬과 비슷한 냄새 풍겨…페로몬 막으려 훈연기 사용높이 나는 드론 수벌만 여왕봉과 짝짓기, 음경 폭발로 ‘비극적 행운’꿀벌 하면 달콤한 꿀과 따끔...

  • 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

    조홍섭 | 2017. 08. 18

    우리 몸은 미생물과 더불어 사는 생태계미생물 통해 자연과 인간 새롭게 보자 주장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에드 용 지음, 양병찬 옮김/어크로스·1만9800원우리 몸속에는 39조 마리의 미생물이 산다. 불청객이 아니다. 미생물은 동물이 출현하기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

    조홍섭 | 2017. 04. 28

    멍게는 조개보다 척추동물에 가까워…바지락 해감은 놀라서 삼킨 것 도루묵 이름 유래에 식자 오만, 어민은 오래전부터 '은어' '도루묵' 불러      우리가 사랑한 비린내 -해양생물학자가 우리 바다에서 길어 올린 풍미 가득한 인문...

  • 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

    조홍섭 | 2016. 12. 02

    몸은 사람세포 10배 ‘세균 생태계’, 가공식품 먹으면서 세균 다양성 낮아져김홍표 교수의 최신 진화생물학, ‘내 몸 속 바깥’ 소화기관의 기원 탐구사람은 찐빵과 도넛 가운데 어느 쪽에 가까울까. 생물학자는 도넛을 가리킨다. 입에서 위장과 창...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