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웅덩이에 외계인?

윤순영 2011. 10. 04
조회수 191938 추천수 2

개구리와 물고기 잡아먹는 물속의 폭군 물장군 자세히 들여다 보니

부성애 지극한 멸종위기종, 가로등 불에 날아들기도

 

_7565.jpg 
▲물장군의 정면 모습

 

물장군은 이름처럼 몸집이 커 몸 길이가 5㎝가 넘는 것도 있다. 우리나라 노린재 무리 가운데 가장 크다. 어릴 때 개울에서 물고기를 잡다가 족대에 걸린 물장군을 보고 혼비백산 놀란 기억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 곤충은 앞다리가 낫 모양으로 매우 튼튼하게 발달되어 있고 날카로운 발톱이 달려 있어 처음 보면 겁을 먹을 만하다.

 

물장군은 곤충이지만 어류나 포유류 등을 잡아 먹는 포식자다. 물웅덩이, 연못, 늪, 물이 고인 하천에서 수초에 몸을 감추고 접근하는 올챙이, 개구리,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 체액을 빨아먹는다.


물장군의 성충은 5월~9월에 나타나며 가로등 빛에 날아들어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습지가 사라지면서 이제는 희귀해져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의 보호종이기도 하다.

 

7670.jpg

▲배추 잎에 읹은 물장군.

 

7664.jpg

▲물장군의 옆 모습



9월24일 아침 아파트 옥상에 올라가 분재에 물을 주고 있는데 화분에 심어 놓은 배추 위에 물장군이 앉아 있었다.

 

7717.jpg

 물장군의 배면 모습

 

어릴 때 고기를 잡으며 흔히 보던 물장군이었지만 정말 우연히 옥상에서 마주치니 신기하고도 반가왔다. 밤에 아파트 가로등 빛을 따라 왔다가 날이 밝기 전에 물웅덩이로 돌아가지 못한 것 같다.

 

_7652.jpg

 위에서 내려다 본 물장군의  눈

_7659.jpg 
▲아래 송곳 모양의 호흡기관



앞다리는 근육질의 운동선수처럼 강하게 생겼다. 발톱이 매우 날카로운 낫 모양으로 생겨 먹이가 걸려들면 도저히 빠져나가지 못할 것 같다. 눈은 잠수부 물안경을 쓴 것 같은데 공상과학 영화의 외계인처럼 보이기도 한다. 등은 철갑옷을 입고 있는 듯 단단하다.

 

7634.jpg 

▲낫처럼 생긴 앞발과 발톱


7662.jpg 

▲매우 날카로운 발톱

7566.jpg

▲잠수 안경을  쓴 듯한  눈



두 번째 다리와 세 번째 다리엔 긴 털이 부드럽게 나 있고 발톱도 2개다. 만져 보니 사슴벌레 만큼이나 힘이 세다.

 

7699.jpg  
▲보디빌더의 상체 같은 앞다리  모습.

7750.jpg

▲철갑을 입은듯한 등 

 

촬영을 마치고 인근에 있는 물웅덩이로 데려갔다. 물장군은 물 냄새를 맡고 웅덩이로 서서히 다가간다.

 

7732.jpg 
물웅덩이

7740.jpg 

▲물웅덩이로 들어가고 있다.

7742.jpg 

▲수영을 시작하는 물장군.



물가에서 잠시 멈칫거리더니 매끄럽게 수영을 해 물속으로 들어간다. 첫 번째 앞다리는 앞으로 내밀고 두 번째 세 번째 다리가 노를 젓는 듯 움직인다. 다리에 나 있는 털이 추진력을 주는 것 같다.

 

_7690.jpg

두 번째 다리와 세 번째 다리에 난 긴 털이 수영을 돕는다.

 

꼬리 뒤에서 물방울이 올라온다. 호흡을 한 것 같다. 쏜살같이 자신의 몸과 색깔이 비슷한 곳으로 몸을 감추고 잠복을 한다.

 

7756.jpg 

▲호흡기관에서 물방울이 올라온다.
7793.jpg 

▲위장 색을 찾아가는 물장군

7774.jpg

▲완벽하게 몸을 숨긴 물장군 다시 사냥이 시작될 것이다.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다. 물장군은 타고난 은둔의 사냥꾼이다. 수컷은 알에서 자식이 태어날 때까지 맹렬하게 지키는 강한 부성애를 지닌 곤충이기도 하다.

 

7728.jpg 

▲동전과 비교해 본 물장군의 크기.

 

윤순영/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