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2신…슬픔은 계속되고 있다

조홍섭 2011. 04. 27
조회수 15381 추천수 0
 ‘재앙의 시각’ 추모 미사 일제히 열려

 체르노빌의 눈물…암으로 숨졌지만 인과관계 안 밝혀져
 
 

크레바로치카 라이사 (3).JPG

▲남편을 4년 전 암으로 잃은 크레바로치카 라이사(64)가 추모미사에서 흐느끼고 있다.

 

 
새벽 1시24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시각입니다.
 

매년 4월26일 이 시간에는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여러 곳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미사와 집회가 열립니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키예프의 체르노빌 성당 그리고 체르노빌의 소방대원 기념비 또 체르노빌 직원들이 프리퍄티에서 옮겨간 신도시 슬라부티치 등 세 곳에서 열립니다. 슬라부티치에 가서 사람들을 만나보고 싶었지만, <한겨레>에 사흘 연속 실리는 체르노빌 특집의 ‘폭풍 마감’을 하느라 지금 머무르고 있는 호텔에서 가까운 체르노빌 성당으로 갔습니다.
  

미사는 새벽 1시 좀 안 돼서 시작됐습니다. 미사를 집전하는 신부와 수사들, 추모객들 그리고 기자들이 각각 30%씩, 나머지 10%가 경찰이었던 것으로 (혼자) 집계했습니다. 사고 초기 방사능에 노출돼 숨진 기념비 앞에서 미사가 집전됩니다. 기념비에 써진, 이들의 태어난 날과 숨진 날을 헤아려보았더니, 대부분은 20대 초반의 나이이고, 그해 5월초에 숨졌더군요. 사고 초기 소방대원으로 투입된 사람들은 건장한 20대가 대부분이었다고 합니다.
 
 

2.jpg

▲26일 새벽 1시24분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체르노빌 희생자를 추모하는 미사가 열렸다. 

 


 

미사는 정확히 1시24분에 끝났습니다. 그런데 한쪽에서 할머니 한 분이 서럽게 울고 있었습니다. 기자들이 달려가 사진을 찍기에, 저도 가서 찍고 봤습니다만(기자들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 분의 눈물이 궁금해 나중에 따로 여쭤봤습니다.
 

자신의 남편이 4년 전에 갑자기 암으로 숨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젊을 적부터 수도 키예프에서 살면서 체르노빌에 각종 생필품을 공급하는 일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신은 남편의 죽음이 체르노빌과 관련이 있다고 믿고 있고, 지금도 거의 매달 체르노빌의 성당에 들어가 기도를 한다고 했습니다. 독실하신 할머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체르노빌에서도 유일하게 그 성당에 방사능 낙진이 떨어지지 않았어요.”
 
 

3.jpg

▲상실의 아픔에 더해 그 원인을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 안타까움에 체르노빌 주민의 슬픔이 커진다.


 

할아버지의 죽음이 방사능 때문인지 다른 원인 때문인지는 알 길이 없습니다. 방사성 물질은 분명히 발암물질이지만, 아주 작은 저선량 노출의 경우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힘드니까요. 호텔로 돌아오면서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가 가져다준 피해는 이런 사회심리적 공포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에 머물렀던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아프면 그곳이 떠오르며 공포에 몸서리칠지 모릅니다.
키예프(우크라이나)/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 관련 기사 보러 가기 -->

[체르노빌 원전재앙 25년 현장을 가다]

④ 추모 시민들은 “원전반대” 정부는 과거 잊은듯 “증설”

③ 재앙 겪고도 원전 늘려…‘에너지독립’ 빗나간 선택

② 안전하다며 쉬쉬…원전의 ‘비밀주의’
① 시간이 멈춰선 땅 체르노빌 “인류는 핵재앙서 뭘 배웠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