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로 돌아가는 토종 돌고래 오월이

물바람숲 2015. 10. 21
조회수 34240 추천수 0
144533002944_20151021.JPG » 바다로 돌아가는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 해양수산부 제공

144533003114_20151021.JPG »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가 야생 적응 훈련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지난해 5월 상처를 입은 채 발견된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가 21일 경남 거제 앞바다에서 자연으로 돌아간다.

해양수산부는 오월이가 건강과 야생성을 완전히 회복한 것으로 판단해 21일 경남 거제 장목면 이수도 앞바다에서 풀어준다고 20일 밝혔다. 방사 지점은 오월이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발견된 부산 기장에서 가까운 거제 앞바다로 정했다. 오월이는 지난 9월30일 이곳 가두리에서 야생 적응 훈련을 받아왔으며, 연구를 위해 위성항법장치(GPS)를 몸에 붙인 채 방사된다.

오월이는 지난해 5월 부산 기장 앞바다에서 큰 상처를 입은 채 발견됐다. 당시 호흡이 불안정하고 염증이 심각했으며 탈진 상태였다. 오월이는 해양 동물 구조·치료 기관인 ‘씨라이프 부산 아쿠아리움’으로 옮겨져 치료와 재활을 받아왔다.

144533003187_20151021.JPG » 야생 적응 훈련 중인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 해양수산부 제공

144533002988_20151021.JPG » 야생 적응 훈련 중인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 해양수산부 제공

144533003075_20151021.JPG » 야생 적응 훈련 중인 토종 돌고래 상괭이 오월이. 해양수산부 제공

[오월이 가두리 이동 영상]

[오월이 야생적응 훈련장 영상]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