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심원마을 주민들 조기 이주 요구

조홍섭 2008. 11. 10
조회수 21674 추천수 0

관광객들 발길 뜸해 "다 죽게 생겼다"
국립공원관리공단도 이주·복원 결론

 

 

untitled-3_copy.jpg


지난 1일은 노동절 휴일이었지만 '하늘 아래 첫 동네'로 유명한 해발 750m의 전남 구례군 산동면 심원마을에는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썰렁했다.

 

이 마을에서 21년째 살며 약초를 팔고 있는 송기홍(56)씨는 "전에는 휴일이면 집집마다 차 댈 곳이 없었다"며 "이제 다 죽게 생겼다"고 한숨을 쉬었다.

 

심원마을 주민들은 요즘 하루빨리 다른 곳으로 이주시켜 줄 것을 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마을이 사라진다는 얘기가 나온 2006년 이후 손님이 뚝 끊겼기 때문이다.

 

고향산장을 운영하는 김학철씨는 "재작년만 해도 고로쇠 수액을 팔아 집집마다 2천만원 가량의 소득을 올렸지만 요즘은 찾는 이가 없어 고작해야 7백만원 올리기도 바쁘다"며 "현상유지가 안돼 빚만 쌓여 간다"고 말했다.

 

심원마을 주민 19가구에 31명은 모두 민박과 산채·약초 판매 등으로 살고 있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주민들은 다섯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적었다. 그러나 1988년 성삼재 관통도로가 뚫린 뒤 탐방객이 급증해 마을로 급속히 커졌다. 그러던 것이 5~6년 전부터 찾는 이들이 줄기 시작했다고 주민들은 말했다.

 

지리산을 찾은 탐방객은 2000년 336만명에서 2006년 262만명으로 줄었다. 입장료가 없어진 지난해 273만명으로 늘었지만, 산행문화가 바뀌어 숙박을 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주민들은 "등산객들이 지리산 와서 구례 땅 한 번 안 밟고 간다"고 하소연한다.

 

마을 주민들은 지난해 보상추진위원회를 꾸려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무익 추진위원장은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에 보상평가 등 이주작업을 서둘러 달라"고 촉구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근 연구용역을 통해 피아골계곡의 직전마을과 함께 심원마을의 이주와 복원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조선 고종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을 형성기의 지역적 특색을 잃고 상업지역이 된데다, 성수기 관광객에 의한 심원계곡의 수질오염이 심각하고 마을을 둘러싼 산사면이 급경사를 이루어 산사태 위험이 크다는 내용이다. 여기에다 마을에 터 잡고 살던 주민들마저 대부분 이주를 원하고 있는 것이다.

 

윤주옥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사무국장은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핵심구역을 보전하고 성삼재 관통도로의 일반차량 통행을 제한하기 위해서도 심원마을 이주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예산확보가 관건이다. 공단은 심원마을 이주 보상과 복원에 약 192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공단은 북한산국립공원 안의 북한동 마을과 송추마을의 이주사업을 2010년을 목표로 이미 추진하고 있다. 송추마을에선 주민들간의 의견 불일치로 이주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안에는 모두 16개 마을에 약 1만1천명이 거주하고 있다.

 

김낙빈 환경부 자연자원과장은 "심원마을의 이주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한정된 이주예산을 쪼개 어느 마을을 먼저 이주시킬지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홍섭 한겨레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