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보기 힘든 항라머리검독수리 성체 촬영 성공

김진수 2016. 03. 22
조회수 44332 추천수 1

‘수리의 제왕’ 검독수리 번식지 알타이를 찾아②

세계적 멸종위기종, 숲속이나 호수가 소형 동물엔 공포의 대상 
휴양지 같은 자연보호구역, 밤이면 모기 공습에 눈뜨기도 힘들어

 
항라머리검독수리 3-5.jpg » 둥지에서 날아 나오는 항라머리검독수리. 국내에서 성체를 보기는 힘들다. 먹이를 전달한 뒤 둥지 주변을 둘러보며 한참을 경계하더니 어미 새가 제법 위엄 있는 모습으로 날고 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서식지로 알려진 러시아 서 시베리아의 자비아로브스키이 자연 보호구역(Zavyalovskiy Nature Reserve)으로 향했다.
 
시베리아와 알타이 지역 맹금류 생태를 연구하고 보호하고 있는 ’시베리아 에코 센터’ 엘비라 대표가 10여m 높이의 나무를 오르기 시작했다. 매년 둥지에 있는 어린 새에게 이동경로 파악을 위한 인식표(가락지)를 채우기 위해서다.
 
항라머리검독수리 1-1.jpg » 둥지에 올라간 맹금류 전문가가 어린 새 포획 순간을 노리고 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1-2.jpg » 카메라를 든 손을 둥지로 들어올려 사진을 찍고 있다.
   
둥지에 오른 엘비라는 먼저 능숙한 솜씨로 사진을 찍고 새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린 뒤, 놀란 새가 도망가거나 저항하지 못하도록 어린 새의 눈을 가렸다. 그 뒤론 일사천리다.
 
날지 못하지만 덩치가 제법 크고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맹금류를 안전하게 제압했다. 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준비해간 인식표(가락지)를 다리에 채웠다.
 
나무 위 둥지는 보통 접근이 어렵고 움직일 공간이 좁아 작업이 꽤 까다로운 편이다. 새가 둥지에서 떨어져 부상당할 우려도 있지만 암벽 등반도 가능한 베테랑답게 무사히 나무를 내려왔다.
 
항라머리검독수리 2-1.jpg » 동료이자 남편 이고르가 나무에 오르기 전 장비를 함께 점검하고 있다. 이 장비는 이고르가 학창시절 나무를 쉽게 타기 위해 직접 만들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2-2.jpg » 남편이 만든 장비를 이용해 둥지까지 올라가고 있는 엘비라. 부부가 함께 조사를 다닐 때도 부인 엘비라는 나무타기 같은 힘든 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항라머리검독수리 2-3.jpg » 둥지에서 포획한 어린 항라머리검독수리를 들어 보이고 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2-4.jpg » 가락지 작업을 하는 동안 어미 새가 걱정스러운 듯 둥지 주변을 계속 선회하고 있었다.  
 
날지 못하는 어린 새는 천적의 손쉬운 먹잇감에 불과하다. 새끼를 기르는 기간 동안 어미 새는 새끼와 둥지로부터 잠시도 눈을 뗄 수 없다. 둥지를 드나들 때도 주변 천적에 들키지 않게 최대한 조심한다고 한다.
 
이런 시기에 사람과 같은 침입자가 둥지에 접근하면 부모의 경계심은 아마 최고조로 올라갈 것이다. 위장 텐트를 이용해 아무리 잘 숨는다 해도 야생에서 어미 새가 먹이를 물고 둥지로 날아드는 장면을 지켜보기가 쉽지 않게 된다.
 
항라머리검독수리 3-1.jpg » 어미를 기다리는 둥지의 어린 새.   
 
항라머리검독수리 3-2.jpg » 둥지에서 좀 떨어진 나무 사이에 숨어 지켜보는 사이 어미가 둥지 반대편 쪽에서 날아들었다. 하지만 나무에 가려 어미와 어린 새의 모습이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  

항라머리검독수리 3-3.jpg » 어미가 사냥해 온 먹이를 입에 물고 있다.  
 
처음 위치에선 커다란 나무에 가려 둥지 위 새의 모습을 제대로 담을 수 없었다. 가지 많은 커다란 소나무가 새에겐 최적이겠지만, 사진을 찍으려니 애물단지였다.
 
둥지 위 새의 모습이나 먹이를 물어 주는 어미 새 찍기는 포기하고 어둠을 틈타 반대편으로 위장 텐트를 옮겼다. 새로 옮긴 장소는 나뭇잎에 가려 둥지가 아예 보이지 않았다. 대신 날아드는 통로를 지켜 어미 새의 비행 모습을 지켜볼 수 있기를 바랐다.
 
항라머리검독수리 3-4.jpg » 먹이 사냥에 성공한 어미 새가 다시 둥지로 날아들었다. 다행히 새끼에게 먹이를 건넨 뒤 둥지 옆 나뭇가지로 옮겨 앉았다.  
  
항라머리검독수리 3-6.jpg » 날개 길이가 꽤 길고 넓다.  
  
날아 나올 때 예상했던 방향과 조금 다른 곳으로 날았다. 카메라가 끝까지 새를 쫒지 못했지만 어른 항라머리검독수리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국내에서는 좀체 보기 힘든 종이었다.
 
항라머리검독수리는 극히 적은 수가 우리나라를 찾아와 겨울을 난다. 하지만 대부분 먹이 경쟁에서 밀린 미성숙 새이거나,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기 때문에 성조의 모습은 좀체 보기 어려운 편이다.
 
항라머리 3-7-김신환.jpg » 올 겨울 충남 서산 천수만에서 발견된 항라머리검독수리. 어린 새라서 몸의 흰색 점이 선명하다. 사진=김신환   
 
이 새는 몸통과 날개 윗면, 어깨 깃에 특징적인 황갈색 커다란 반점이 흩어져 있다. 깃털의 마모가 심하거나 털갈이를 하면 사라지는데 영어식 이름 ‘큰 점 수리’(Greater spotted Eagle)은 어린 새의 특이한 모습을 보고 지은 셈이다.
 
몸체나 부리의 크기가 검독수리나 흰꼬리수리만큼 크거나 위용이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나무가 우거진 숲이나 숲 주변 호수의 쥐나 토끼 같은 작은 포유류에겐 공포의 대상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이 종을 적색자료목록에 취약종(VU)으로 분류해 놓고 국제적으로 보호를 촉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4-1.jpg » 자비아로브스키이 자연 보호구역은 커다란 호수 주변으로 소나무가 울창하다. 나무 자원 확보를 위해 인공으로 나무를 심어 놓은 곳이다. 지역이 넓고 나무가 울창해 다양한 야생동물도 서식하고 있다. 광활한 풍광이 시베리아의 원시림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이곳에서 3일 정도 머물며 알타이 지역 맹금류 탐사 일정의 마지막 야영을 했다.

 

항라머리검독수리 4-2.jpg » 바닥의 고운 흙과 넓은 호수 때문에 해변의 휴양지 같은 분위기도 나지만 해가 떨어지면 상황이 바뀐다. 날이 환할 땐 꼼짝하지 않던 모기가 활동을 시작하면 ’모기 세상’이 된다. 얼마나 많이 날아다니는지 국내에서 준비해 간 모기 기피제도 무용지물이다. 모기 때문에 눈을 뜨고 있기도 어렵게 된다. 모기의 천적인 잠자리가 활동을 중단하기 때문이란다. 해가 지고 이슬이 내리기 시작지면 잠자리는 날개가 젖어 날아다니기 어려워진다. 이때를 틈타 숲의 모기들이 모두 나온다는 것이다.

 

항라머리검독수리 4-3.jpg » 별이 많은 하늘에 별똥이 떨어진다.

 

항라머리검독수리 4-4.jpg » 소나무 숲 군데군데가 물에 잠겨 습지로 변했다. 지난해 봄 비가 많이 내려 이 지역 곳곳이 자동차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됐다.

 

항라머리검독수리 4-5.jpg » 여행 일정 내내 거친 알타이 지역을 거침없이 달린 러시아제 미니 버스(UAZ-2206). 생김새 때문에 일명 `빵차‘라고도 불리는데, 고장 난 속도계 유리에 금이 갔다. 차창은 작고 에어컨이 없어 불편했지만 두 번의 펑크 외엔 큰 말썽이 없었다.

 

알타이/ 글·사진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