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 생각 나면…추억의 뜸부기 소리

윤순영 2016. 07. 04
조회수 38355 추천수 0

농촌 하면 떠오르던 흔한 새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논의 은둔자, 영역 지킬 땐 꼿꼿이 서 가슴으로 외쳐

 

크기변환_1.jpg » 뜸부기 수컷의 당당하고 아름다운 모습. 이마에 뿔처럼 솟은 붉은 벼슬이 우뚝하다.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 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 제

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최순애 작사 박태준 작곡의 <오빠생각>은 <고향의 봄> <반달>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랑받는 동요 가운데 하나다. 최순애(1914~1998)는 13살이던 1927년 일제를 피해 고향을 떠난 오빠를 그리며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나라를 잃은 설움과 흩어진 가족을 그리워하는 마음에서 지은 이 노래는 시대를 건너뛰어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았다. 최씨는 '뜸부기 할머니'란 별명으로 불렸지만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뜸부기는 보기 힘든 새가 됐다.


최순애를 인터뷰한 <경향신문> 1981년 5월23일치 기사는 "특유의 울음소리로 해서 농촌의 대표적인 새로 꼽히던 뜸부기가 근래에 와서 그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뜸부기 할머니'는 안타까와 했다."라고 적었다. 이미 35년 전에 뜸부기는 노래로만 친숙한 새였다. 현재 뜸부기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크기변환_DSC_6100.jpg » 논둑 위에 올라서서 사방을 살펴보는 뜸부기.

 

크기변환_DSC_5882.jpg » 뜸부기는 본능적으로 몸을 숨기고 움직이는 습성이 있다.

 

크기변환_DSC_6532.jpg » 매년 찾아오는 터전이지만 왠지 낮설어 주변의 환경부터 살펴본다.

 

논에서 들려오는 뜸부기 소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들을 수 있던 정겹고 아주 친숙한 소리였다그러나 어느덧 우리 곁에서 뜸부기 소리는 사라졌다.

 

크기변환_DSC_6145.jpg » 논둑 위에서 날아오르는 뜸부기.

 

크기변환_DSC_6146.jpg » 다른 곳으로 자리를 이동하고 있다.

 

뜸부기를 닭하고 비슷하여 '뜸부기 닭'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수컷의 붉은 이마판을 보면 작은 익룡이 떠오르기도 한다.

 

크기변환_DSC_6493.jpg » 암컷보다 먼저 도착해 영역을 소리로 표시하고 암컷을 부르는 수컷 뜸부기.

 

크기변환_DSC_6334.jpg » 몸을 부풀렸다 숨을 내쉬듯 울어대는 뜸부기 수컷.

 

크기변환_DSC_6343.jpg » 목에서 나는 가벼운 소리가 아니고 가슴으로 울어대는 뜸부기.

 

번식기 때 뜸부기 수컷은 논둑에서 소리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그러다 사람의 기척만 느끼면 슬며시 논고랑으로 모습을 숨긴다.


뜸북이는 '뜸북 뜸북'하고 울지 않는다. 오히려 '듬, 듬, 듬'에 가깝다. 울 때는 몸을 부풀려 고개를 아래로 숙이면서 끄덕이고 몸까지 들썩 들썩인다. 뜸부기 수컷은 암컷을 보면 필사적으로 접근하려 한다.

 

크기변환_DSC_7535.jpg » 벼 포기 사이에 있는 뜸부기.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_7531.jpg » 벼 포기에 숨어 빼꼼이 얼굴만 내민 뜸부기.

 

지난 65일 한강 하구의 농경지에서 뜸부기를 만났다. 반가움과 추억이 밀려왔다가까이 있는 듯 소리가 들려 뜸부기를 보려고 헛고생하며 논을 헤맨 기억이 있다. 뜸부기를 아는 모든 사람들에게는 이런 어린 시절의 추억이 소리로 남아 있을 것이다.

 

크기변환_DSC_7564.jpg » 뜸부기는 몸을 숨기고 둥지를 틀며 생활하는데 논은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터전이다.

    

크기변환_DSC_7591.jpg » 몸을 치켜세워 주변을 살펴보는 뜸부기.경계를 좀처럼 늦추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_7527.jpg » 벼 포기에 숨어 울어대는 수컷 뜸부기.

 

뜸부기는 여름철새여서 중부지역에는 6월초에 수컷이 먼저 찾아오고 약 15일 후에 암컷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아직 암컷 뜸부기는 눈에 띄지 않는다. 흐린 날과 이른 아침, 늦은 저녁에 많이 울고 대낮에는 뜸부기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다.


크기변환_DSC_6291.jpg » 가슴 깃털을 세우는 뜸부기.


크기변환_DSC_6296.jpg » 마음껏 날개를 펼쳐 기지개를 켠다.

 

크기변환_DSC_6321.jpg » 깃털을 다듬는 뜸부기.

 

6월 말이면 모를 낸 벼가 제법 자라 뜸부기 목만 보이게 된다. 7월 중순이면 뜸부기는 벼에 가려 보기 힘들고 소리를 듣고 그곳에 있다는 것을 짐작할 뿐이다


뜸부기는 경계심이 무척 강해 벼 고랑 사이로 다니지 않고 포기에 몸을 숨기며 활동한다. 좀처럼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크기변환_DSC_6631.jpg » 논둑을 따라 자리를 옮기는 뜸부기.

 

크기변환_DSC_6632.jpg » 습지에 사는 뜸부기의 발가락은 다리보다 더 길어 보인다.

 

크기변환_DSC_6685.jpg » 곁눈질로 주변을 살핀다.

 

크기변환_DSC_6651.jpg » 논둑을 따라 멀리 자리를 옮기는 뜸부기.

 

7월초부터 9월 초순까지 벼 포기를 모아 둥지를 만들기도 하고 논가나 평지의 풀밭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36개의 알을 낳고 논에서 살아가는 메뚜기, 우렁이, 등 곤충과 수생생물 이외에 어린 싹이나 풀씨도 잘 먹는다. 10월 초순경이 되면 대부분 남하한다.

 

크기변환_DSC_7640.jpg » 저녁 무렵 논의 물꼬를 보기 위해 오토바이를 탄 농부가 뜸부기 곁으로 다가선다.

 

크기변환_DSC_7606.jpg » 논에 숨어 울어대던 뜸부기가 화들짝 놀라 날아오른다.

 

크기변환_DSC_7607.jpg » 어느새 벼잎 끝에는 저녁 이슬이 맺혀 있다.

 

크기변환_DSC_7609.jpg » 뜸부기가 옮겨 다니는 자리는 대부분 정해져 있어 크게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다.

 

뜸부기 수컷의 몸 길이는 40내외이며 암컷은 33로 수컷보다 작다. 수컷의 몸통은 회색빛이 감도는 흑색으로 배에 회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부리는 황색, 긴 다리는 황색과 녹색이 섞여 있다.

 

크기변환_DSC_6611.jpg » 뜸부기는 경계심도 강하지만 때론 논둑에 올라와 당당하게 서기도 한다.

 

암컷은 수컷의 겨울 깃과 비슷한 색깔로, 머리 꼭대기는 어두운 갈색이고, 목옆은 진한 황색이며, 턱 밑과 멱은 흰색이다. 등과 날개는 황색으로 진한 갈색으로 반점 모양이 있다.

 

크기변환_YSY_4504.jpg » 암컷 뜸부기.

 

크기변환_YSY_4619.jpg » 암컷 뜸부기의 옆 모습 수컷과 달리 이마 판에 벼슬이 없다.

 

크기변환_YSY_4607.jpg » 여유롭게 기지개를 켜는 뜸부기 암컷.

 

뜸부기는 한국, 일본, 중국 남부 등 동아시아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동남아에 걸쳐 산다. 2005317일 천연기념물 제446호로 지정되었고, 20125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크기변환_DSC_6610.jpg » 물끄러미 드넓은 농경지를 바라보고 있는 수컷 뜸부기의 뒷모습.

 

■ 뜸부기의 비상 연속 사진

 

크기변환_DSC_6535.jpg

 

크기변환_DSC_6536.jpg

 

크기변환_DSC_6537.jpg

 

크기변환_DSC_6538.jpg

 

크기변환_DSC_6539.jpg

 

크기변환_DSC_6540.jpg

 

·사진/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