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현장서 사라진 고라니, 그 후

김봉균 2017. 02. 16
조회수 19695 추천수 0

신고 받고 출동한 사고지점에 핏자국만 남아, 2차 사고 막으려 수색

마침내 농수로 안에서 발견된 고라니는 이미 다른 사고로 발 하나 못써


g10.JPG » 우여곡절 끝에 구조한 고라니는 이미 다른 사고로 다리 하나를 거의 잃은 상태였습니다.


어느 한적한 도로에 고라니가 차에 치인 채 쓰러져 있다는 신고를 받았습니다. 다친 고라니가 계속 도로 위에 머문다면 다른 차량에 의한 새로운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죠. 신고자에게 적어도 고라니를 갓길로 옮겨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녀석을 포획할 도구를 챙겨 현장으로 향했습니다. 


신고자가 말한 장소에 도착했지만, 아무리 살펴봐도 고라니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도로 위에서 약간의 혈흔을 발견할 수 있었고, 적어도 고라니가 차에 치여 얼마 전까지 이곳에 있었으리란 합리적인 의심을 할 수 있는 상황이었죠.


g1.JPG » 사고 현장에 도착했지만 어디에도 고라니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고라니가 아픈 몸을 이끌고 어딘가로 이동했거나,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 누군가가 고라니를 가져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 전자를 가정해 주변에 고라니가 있는지부터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도로 양쪽에는 작은 건물과 농토가 곳곳에 펼쳐져 있었습니다. 의심되는 이곳저곳을 살펴보았지만 고라니를 찾을 수 없었고 흔적조차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수색 대상은 경사가 급해 접근을 막는 울타리가 설치된 곳이었습니다. 보통 고라니라면 뛰어넘기에 그리 높은 정도는 아니었지만 차량에 치인 상태로 이곳을 넘어가긴 어려울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g2.JPG » 도로 옆 울타리 넘어 있는 농수로, 설마 고라니가 이곳을 뛰어넘어 갔을까요?


고라니를 발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울타리를 넘어 수색을 시작했습니다. 경사를 따라 내려가니 농경지가 펼쳐져 있었고 그곳에 작은 수로가 있었습니다. 무심코 수로를 살피는데, 아니나 다를까, 수로 바닥에 고라니의 발자국이 떡하니 찍혀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g3.jpg » 수로 바닥에 찍혀있는 고라니의 발자국.


이 고라니 발자국이 정말 우리가 찾던 녀석의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녀석의 것인지 확인해야 했습니다. 만약 녀석이 맞는다면 포획해 상태를 살피고 필요하다면 구조센터로 데려가 치료를 해야 했죠. 수로 내부로 이어지는 발자국을 따라 들어가기로 합니다. 


g5.JPG » 야생동물을 구조하는 과정은 무엇보다 구조자의 안전을 우선 고려해야 합니다. 물론, 그만큼 중요한 것은 고라니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겠죠.


수로 내부의 구조가 어떨지는 들어가기 전엔 알 수 없습니다. 갑자기 물이 깊어질 수도 있고, 어두운 곳이니 내부의 구조물로 인한 사고 역시 조심해야 하죠. 장화를 신고, 라이트를 들고 조심스럽게 내부로 들어갑니다.


g7.JPG » 고라니의 발자국을 따라 수로 내부로 계속해서 들어갑니다. 부디 별일이 없어야 할 텐데요.


g8.JPG


한참을 들어가자 인기척이 들려왔습니다. 라이트를 비춰보니 저 멀리에 고라니가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녀석을 추적한 결과, 다행히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죠. 


사고를 겪고, 낯선 환경에 놓여 예민해졌을 녀석을 포획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접근했습니다. 많이 지쳤는지 녀석은 그다지 힘껏 저항하지 못했고, 결국 포획할 수 있었습니다. 이 어두운 곳까지 다친 몸을 이끌고 힘겹게 와야 했던 녀석이 딱하게만 느껴졌습니다.


수로 내에 갇혀있던 고라니를 포획하는 현장 영상입니다.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해보시죠! 



아마 이러했을 겁니다. 차에 치이는 사고를 겪은 고라니는 불행 중 다행인지 충돌 자체가 생명을 앗아갈 정도로 심각하진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정신을 차리긴 했지만 불편한 몸을 이끌고 현장을 제대로 벗어나는 것까지는 어려웠겠죠. 


도로 옆 울타리를 넘은 뒤 아마도 발을 헛디뎌 경사면을 데굴데굴 굴러갔을 겁니다. 그러다가 수로에 떨어졌고, 빠져나오기 위해 헤매던 중 자신도 모르게 더 깊이 들어가 어두운 곳에 갇혀버린 것이죠.


g9.JPG » 어두운 곳에서 웅크리고 있던 고라니가 다시 밖으로 나올 수 있었습니다.


녀석의 상태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오른쪽 뒷다리의 골절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습니다. 자세히 살펴본 결과 다리의 골절은 차량 충돌 사고를 겪은 최근이 아닌 조금 더 오래전에 생긴 상처였습니다. 살아가다가 어떠한 사고를 겪어 사실상 다리를 잃은 상황이었고, 세 다리로 살아가는 것이 녹록지 않았는지 꽤 수척하고 마른 상태였습니다.


다리를 다친 것도 서러운데, 또 차에 치이고, 경사로를 구르고, 수로에 빠지고 얼마나 서러웠을까요? 무엇보다 이런 불편한 상황에서도 꼭 도로를 건너야만 했는지, 그 삶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웠을지 여실히 느껴져 안타까웠습니다. 

g10.JPG


10-1.jpg » 오늘의 사고 이전에 이미 오른쪽 뒷다리를 잃는 사고를 겪었던 고라니였습니다.

g10.JPG

고라니는 조금 더 안정을 취한 다음 며칠 뒤 오래전 부러진 다리를 제거하는 수술을 할 예정입니다. 여러분에게 이 고라니가 세 다리로나마 다시금 힘차게 일어나 박차고 나가는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 누구보다 오늘 하루를 고단하게 보냈을 고라니에게 많은 응원을 부탁드릴게요.


g11.JPG » 어두웠던 터널을 지나온 고라니의 삶에도 빛이 비치길 응원해 주세요.


글·사진 김봉균/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재활관리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최근기사 목록

  • 다친 동물들을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매일의 사투다친 동물들을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매일의 사투

    이준석 | 2018. 08. 01

    야생동물 구조센터 24시먹이 조르는 어린 새, 포유류 배변 유도와 분유 주기재활훈련, 투약, 강제 급식…쉴 새 없이 울리는 신고 전화청소도 필수, 자원활동가 도움 절실…최선 다해도 또 죽음졸린 눈을 비비며 도착한 구조센터에 발을 딛는 순간부...

  • 밀어닥치는 어린 죽음, 동물구조센터의 ‘잔인한 봄’밀어닥치는 어린 죽음, 동물구조센터의 ‘잔인한 봄’

    이준석 | 2018. 04. 26

    소쩍새, 수리부엉이, 삵, 고라니…여름 전쟁터 앞둔 폭풍 전야충돌, 둥지 파괴, 납치 등 어린 생명의 고통과 죽음 몰려들어꽃샘추위가 지나고 벚나무는 꽃잎을 떨어뜨려 푸릇한 요즘 새들은 저마다 둥지를 짓느라 분주하고, 여름 철새는 하나둘 돌아...

  • 몸에 좋고 맛도 좋다? 겨울잠 깬 뱀들의 수난시대몸에 좋고 맛도 좋다? 겨울잠 깬 뱀들의 수난시대

    김봉균 | 2018. 03. 14

    좁은 덫에서 서로 짓눌려 죽고, 독사 섞여 풀기도 힘들어잘못된 보신 문화 여전…인공증식 핑계로 단속도 힘들어가을에서 겨울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뱀을 구조해 달라는 신고가 들어오면 센터 직원들은 바짝 긴장합니다. 뱀을 다루는...

  • 고라니 먹은 독수리는 왜 납중독에 걸렸나고라니 먹은 독수리는 왜 납중독에 걸렸나

    김봉균 | 2018. 01. 31

    농약, 납 총탄 등 사체 먹은 맹금류 피해 잇따라고라니 사체 먹이로 주기 전에 엑스선 촬영해야매년 겨울철이면 최상위 포식자에 속하는 독수리나 흰꼬리수리 같은 대형 맹금류가 구조되어 들어옵니다. 녀석들은 덩치도 크고 하늘에서 바람을 타고 ...

  • 버려진 밭 그물, 새들에겐 ‘죽음의 덫’버려진 밭 그물, 새들에겐 ‘죽음의 덫’

    김봉균 | 2018. 01. 02

    새매, 물까치 등 걸려 서서히 죽어가제구실 못해도 방치, 주인·당국 무관심야생동물이 살아가는 길을 방해하는 것은 무수히 많다. 갑자기 눈앞을 가로막는 회색빛 건물과 유리창이 즐비하고, 눈부신 빛과 굉음을 내뿜으며 내달리는 자동차와 도로 역...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