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년만의 200만 마리 쥐 사상 최대 박멸작전
▲ 쥐약을 싣는 헬기. 사우스 조지아 섬에는 2대의 헬기가 한 달 동안 50t의 쥐약을 살포했다.
“200년 만에 처음으로 안심하고 둥지를 틀었어요.”
만일 남대서양에 사는 새들이 말을 한다면 이렇게 입을 열었을 것이다.
알바트로스, 펭귄, 바다제비 등 바다새 새끼 수백만 마리가 해마다 그만한 숫자의 집쥐들에 잡아먹혔다. 그러나 쥐들의 잔치에 올 봄부터 중대한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사상 최대 규모의 쥐 퇴치 사업이 영국령 사우스 조지아 섬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우스 조지아 섬 전경. 18세기 말부터 물개, 고래 잡이 배가 드나들면서 집쥐를 옮겨왔다
.
남미 끄트머리에서 약 2000㎞ 떨어진 대서양의 제법 큰 외딴 섬인 사우스 조지아는 물고기가 많은 풍요로운 곳이었다. 수많은 새와 물개, 고래가 이곳에 모여들었다.
1775년 제임스 쿡이 발견한 이래 1700년대 말~1800년대 초에 걸쳐 영국과 미국의 물개잡이 어선이 처음 진출했고 고래잡이 어선이 뒤를 이었다.
사람들이 들락거리면서 집쥐들이 배의 로프를 타고, 또는 난파한 배에서 헤엄쳐 섬에 정착했다. 쥐들은 곧 엄청난 먹잇감이 기다리고 있음을 알아챘다.
▲사우스 조지아 섬에 둥지를 튼 알바트로스(왼쪽)과 사우스 조지아 논종다리.
사우스 조지아 섬은 현재도 세계 최대 규모의 바다새 서식지이다. 새들은 바다에서 먹이를 찾지만 알은 육지에서 낳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남극에 가까운 기후 조건 때문에 섬에는 나무 한 그루 없다. 새들은 땅 위나 땅 속에 둥지를 만들어 번식했다. 이들은 처음 보는 쥐를 피할 줄도 모르고, 또 피할 곳도 없다.
이 섬에 서식하는 새는 모두 29종이며 이 가운데는 사우스 조지아 논종다리와 사우스 조지아 고방오리처럼 세계적으로 희귀한 새들도 포함돼 있다.
쥐 피해는 일상적으로 계속됐지만, 기후변화는 과학자들이 더는 지체할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을 초래했다. 기온이 오르면서 섬을 몇 개로 나누던 빙하가 점차 녹아 천연의 차단벽이 사라져 국지적이던 쥐 피해가 섬 전체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우스 조지아 섬의 쥐 확산을 막아주는 천연 방벽인 빙하. 기후변화로 녹고 있다.
환경보호단체인 사우스 조지아 헤리티지 트러스트는 섬 당국의 허가를 받아 바다새 서식지 복원 프로젝트를 출범시키고 지난 3월 1단계 사업을 벌였다.
총 면적 8만㏊인 섬의 13%에 28일 동안 헬기 2대가 50t의 쥐약이 묻은 펠릿을 살포했다. 단 한 마리의 쥐도 남김없이 죽이기 위해 1㏊당 2㎏의 쥐약을 뿌렸다.
쥐약 성분은 브로디파쿰으로 내출혈과 장기 기능 마비를 일으킨다. 쥐는 자연먹이보다 이 펠릿을 더 좋아한다. 또 빛을 무서워하게 만들기 때문에 쥐약을 먹은 쥐는 대개 굴속에서 죽게 된다.
과학자들은 생태계에 끼칠 부작용도 평가했다. 약 성분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식수원 오염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쥐약이나 죽은 쥐를 먹을 가능성이 있는 오리, 스쿠아, 갈매기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기로 했다.
▲밧줄을 타고 배에서 탈출하는 집쥐.
쥐 퇴치 사업은 오는 2015년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사업 책임자인 토니 마틴 영국 던디대 교수는 사우스 조지아 헤리티지 트러스트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1단계 사업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새들은 200년 만에 처음으로 쥐 없는 세상에서 안심하고 둥지를 틀었다”고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