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라기 여치가 부른 바리톤 세레나데 복원

조홍섭 2012. 02. 08
조회수 24942 추천수 0

내몽골서 발견한 완벽한 곤충 화석 바탕으로 '최초의 노래' 되살려

암컷 유인 위한 노래, 천적 동물의 청각 발달 촉발했을 것

 

jurassic.jpg

▲쥐라기 때의 내몽골 상상도. 침엽수와 거대 양치류의 숲이 펼쳐졌다. 사진=PNAS.

 
중국 수도사범대학의 고생물학자인 구준지는 내몽골에서 놀랍게 잘 보존된 곤충화석을 발견했다. 날개와 미세한 발성구조까지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이 화석의 주인은 1억 6500만년 전에 살았던 여칫과의 철써기였다.
 
연구진은 이 놀라운 화석에 생명을 불어넣어 쥐라기 곤충의 소리를 되살리자고 마음먹었다. 세계적인 곤충의 발성 및 청각 생체역학자인 영국 브리스톨 대학 페르난도 몬테알레그레-자파타 박사와 곤충진화학자인 마이클 엥겔 미국 캔자스 대 박사가 합류했다.

 

jurassic2.jpg

▲쥐라기 철써기의 화석. 미세한 발성기관까지 잘 보존돼 있다. 사진=PNAS.
 
주로 열대 숲에 많이 사는 철써기는 한 쪽 날개 끝을 다른 날개와 비벼 소리를 내며, 날개 끝에 난 홈의 모양에 따라 종마다 우는 소리가 다르다.
 
연구진은 현존하는 59종의 철써기 표본을 모두 들여다 보며 쥐라기 철써기와 발성기관이 유사한 것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날개 끝 홈의 종류와 크기를 모두 고려해 복원한 소리는 단순한 스타카토 톤이었다. 소리는 0.016초마다 되풀이되는 6.4킬로헤르츠의 저음이었다.

 

쥐라기 철써기의 노랫소리

 

  몬테알레그레-자파타는 보도자료에서 “이 철써기의 저음 노래는 쥐라기 숲의 약간 성긴 환경에서 먼 거리까지 전달하는데 잘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의 철써기가 모두 밤에 노래하는데 비춰 이 철써기도 밤에 짝을 찾기 위해 노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쥐라기 내몽골에는 침엽수림과 거대한 양치류 숲이 펼쳐졌고 파충류, 양서류, 그리고 포유류가 살아있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따라서 당시의 숲은 개구리와 철써기의 울음으로 제법 시끄러웠을 것이다.
 
 몬테알레그레-자파타는 “쥐라기 철써기의 노래는 곤충을 잡아먹던 다른 동물들도 청각 능력을 발달시켰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아마도 그 결과 나중에 철써기가 짝짓기에 초음파를 발달시켰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6일치 온라인판에 실렸다.

 
 
 Wing stridulation in a Jurassic katydid (Insecta, Orthoptera) produced low-pitched musical calls to attract females
 Jun-Jie Gua,Fernando Montealegre-Zb, Daniel Robertb, Michael S. Engela, Ge-Xia Qiaod, and Dong Ren
 www.pnas.org/cgi/doi/10.1073/pnas.1118372109

♣H6s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몬테알레그레-자파타는 보도자료에서 “이 철써기의 저음 노래는 쥐라기 숲의 약간 성긴 환경에서 먼 거리까지 전달하는데 잘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의 철써기가 모두 밤에 노래하는데 비춰 이 철써기도 밤에 짝을 찾기 위해 노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쥐라기 내몽골에는 침엽수림과 거대한 양치류 숲이 펼쳐졌고 파충류, 양서류, 그리고 포유류가 살아있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따라서 당시의 숲은 개구리와 철써기의 울음으로 제법 시끄러웠을 것이다.

 

800px-Broadwinged_Bush_Katydid.jpg

▲현존하는 철써기의 모습. 사진=고든 로버트슨, 위키미디어 커먼스.

 

몬테알레그레-자파타는 “쥐라기 철써기의 노래는 곤충을 잡아먹던 다른 동물들도 청각 능력을 발달시켰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아마도 그 결과 나중에 철써기가 짝짓기에 초음파를 발달시켰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6일치 온라인판에 실렸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Wing stridulation in a Jurassic katydid (Insecta, Orthoptera) produced low-pitched musical calls to attract females

Jun-Jie Gua,Fernando Montealegre-Zb, Daniel Robertb, Michael S. Engela, Ge-Xia Qiaod, and Dong Ren

"http://www.pnas.org/cgi/doi/10.1073/pnas.1118372109">www.pnas.org/cgi/doi/10.1073/pnas.1118372109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상실감 딛고 날아오르는 황새처럼, 윤도현 뮤직비디오상실감 딛고 날아오르는 황새처럼, 윤도현 뮤직비디오

    조홍섭 | 2016. 11. 09

    박시룡 교수 수채화 배경 재탄생한 `다시 날자 황새야'텃새화 좌절 이기는 황새처럼 국민도 “소망 갖고 다시 날자”황새 복원을 지휘하고 있는 박시룡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장이 직접 그린 수채화가&...

  • ‘악마 낚시꾼’ 심해아귀, 580m 바다밑 동영상 첫 촬영‘악마 낚시꾼’ 심해아귀, 580m 바다밑 동영상 첫 촬영

    조홍섭 | 2014. 11. 27

    가시등지러미 끝에 발광 살점 미끼로 유인몸의 작고 흰 반점 통해 먹이 접근 알아채     몸의 절반이 넘는 거대한 입과 한 번 물면 결코 놓아주지 않는 길고 날카로운 이….  심해어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런 모습의 물고기가 있다. 바...

  • 달려나가다 뒤돌아봤다. “고마워요”달려나가다 뒤돌아봤다. “고마워요”

    | 2013. 03. 13

    지난 두달 동안 구조 야생동물 16마리 방생 동영상 모음 농약 중독 일찍 발견되면 회복 쉬워, 총상은 방생 전무     올 1월과 2월은 작년 같은 기간에 견줘 2배 가까운 동물이 구조되어 하루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갔습니다. 2013...

  • ‘세계에서 가장 귀여운’ 사막 개구리 화제‘세계에서 가장 귀여운’ 사막 개구리 화제

    조홍섭 | 2013. 02. 21

    새끼 손톱 크기에 맑은 울음소리…나미비아 사막 모래언덕 서식 낮동안 모래속 은신하다 밤에 똥 속 벌레 사냥, 다이아몬드 광산개발로 멸종위기   Worlds Cutest Frog - Desert Rain Frog   작은 얼굴에 큰 눈, 괴상하게 생겼지만 맑고 귀...

  • 고릴라가 애벌레를 만났을 때고릴라가 애벌레를 만났을 때

    조홍섭 | 2012. 10. 11

    애벌레를 향한 고릴라의 지긋한 눈길 캐나다 캘거리 동물원 창살 속 고릴라는 무슨 생각을 하나   애벌레가 궁금한 고릴라(캘거리 동물원 유튜브 동영상)   캐나다 캘거리 동물원의 고릴라 우리에서 애벌레 한 마리가 창살을 가로지르고 있...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