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검은코뿔소의 비극적 종말

조홍섭 2017. 10. 20
조회수 22663 추천수 1
런던자연사박물관 국제 야생동물 사진가 전 대상작
불법 침입해 물웅덩이서 밀렵, 가까이서 마지막 사격

Memorial to a species.jpg » 밀렵꾼이 총으로 죽인 뒤 코를 잘라 간 검은코뿔소를 담은 사진이 영국자연사박물관이 주관하는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가 공모전 대상작으로 뽑혔다. 브렌트 스터튼, 영국자연사박물관 제공.

흉하게 잘려나간 뿔이 아니라면 거대한 코뿔소는 곧 일어서 사바나로 걸어갈 것 같다. 앞발은 꿇고 뒷발은 세운 상태였고 눈은 반쯤 떴다.
 
남아프리카 사진기자인 브렌트 스터튼(48)은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검은코뿔소의 밀렵현장을 수십 차례 취재했다. 흘루흘루웨 임폴로지 자연보호구역에서 그는 밤새 밀렵해 뿔을 잘라 간 코뿔소 사체를 발견해 촬영했다. 뿔을 노린 밀렵꾼은 5㎞ 떨어진 마을의 주민으로 의심되며, 불법으로 보호구역에 침입해 물웅덩이에 잠복해 있다 접근한 검은코뿔소를 소음기를 단 강력한 사냥용 라이플로 쏜 것으로 추정된다. 부검 결과 코뿔소는 첫 사격을 받고 짧은 거리를 달아난 뒤 무릎을 꿇었는데, 가까운 거리에서 머리에 마지막 사격을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진은 19일 영국자연사박물관이 발표한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가 공모전 2017’의 대상작으로 뽑혔다. 심사위원인 로스 키드먼 코크스는 “그처럼 비극적인 장면을 조각상 같은 힘을 지닌 거의 장엄하게 표현한 사진으로서 최고의 상을 받을 만하다.”라고 이 박물관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Yathin S Krishnappa_Diceros_bicornis_(Etosha).jpg » 살아있는 검은코뿔소의 모습. 나미비아 에토샤 국립공원에서 촬영된 것이다. 야틴 S. 크리슈나파,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검은코뿔소는 한때 개체수가 많았지만, 밀렵과 서식지 훼손으로 격감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등급 가운데 가장 높은 ‘위급 종’으로 지정돼 있다. 야생에서는 약 3000마리가 남아 있다. 밀렵 된 코뿔소 뿔은 남아프리카에서 중간 상인에 의해 모잠비크를 거쳐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에서 고가의 약재로 팔린다. 전문가들은 코뿔소 뿔이 손톱과 같은 성분으로 특별한 약효가 없다고 본다.

The good life.jpg » 젊은 서부고릴라의 평화로운 모습을 담은 사진 젊은 야생동물 사진가 공모전 대상작으로 뽑혔다. 다니엘 넬슨, 영국자연사박물관 제공.

이번 공모전에서 젊은 야생동물 사진가 부문의 대상으로는 코뿔소와는 대조적으로 평화적인 고릴라 사진이 선정됐다. 네덜란드 사진가 다니엘 넬슨(18)은 콩고공화국 오드잘라 국립공원에서 빵나무 열매를 쥐고 느긋한 표정을 짓고 있는 젊은 서부고릴라를 담았다. 평화로워 보이는 이 고릴라도 검은코뿔소처럼 밀렵, 질병, 서식지 파괴로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여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