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피우는 코끼리? 소화불량 막는 별식

조홍섭 2018. 03. 28
조회수 23818 추천수 0
인도 밀림 산불현장서 ‘연기’ 뿜어내는 야생코끼리 발견
재 불어내고 숯 섭취 행동 추정…원숭이도 숯을 해독제로

_100579947_thesmokingelephant.png » 산불이 난 숲 바닥의 재를 코로 집어든 뒤 잎에 넣기 전에 바람을 불어내는 야생 인도코끼리의 모습. 야생동물보전협회(WCS) 인도 지부 제공.

야생동물보전협회(WCS) 인도 지부 직원들은 인도 남서부 나가라홀 국립공원에 무인카메라를 설치한 뒤 호랑이와 그 먹이동물을 장기 모니터링하고 있었다. 카메라를 점검하러 가던 도중 이들은 특이한 광경을 목격했다. 야생 아시아코끼리가 담배를 피우는 것이었다.

현장에서 이를 목격한 비나이 쿠마르 부지부장은 “산불을 막기 위해 일부러 소규모 불을 질러 반쯤 탄 축축한 활엽수림을 지나는데 길가에 출현한 암컷 코끼리가 한 번도 보지 못한 이상한 행동을 했다”고 23일 지부 누리집에 올린 글에 적었다. “코끼리는 코로 재를 한가득 집어 들어 입 가까이 가져간 뒤 훅 분 뒤 나머지를 입에 가져갔다”며 “꼭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었다”고 그는 전했다.

이 모습을 담은 영상을 본 이 지부의 코끼리 전문가 바룬 고스와미 박사는 “코끼리가 숯을 먹으려는 것 같다”고 누리집에서 밝혔다. 그는 “숯은 영양분이 없지만 독성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난 데다 배변을 쉽게 하는 완하제 기능을 해 야생동물이 종종 이용한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독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숯을 섭취하는 콜로부스원숭이의 행동은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 탄자니아 잔지바르 섬에는 인도에서 들여온 인도아몬드와 망고나무가 있는데, 그곳에 사는 붉은콜로부스원숭이는 단백질이 풍부한 이 나무의 잎을 즐겨 먹는다. 문제는 이 잎에는 단백질뿐 아니라 페놀이라는 독성물질도 들어있다는 사실이다. 나무가 초식동물에 대한 방어수단으로 이차 대사산물을 만든 것이다.

Olivier Lejade_1280px-Red_Colobus_7-1.jpg » 탄자니아 잔지바르 섬의 붉은콜로부스원숭이. 즐겨먹는 나뭇잎의 독성을 없애기 위해 숯을 먹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올리비에 르제이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원숭이의 해결책은 바로 숯을 먹는 것이다. 산불이 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만든 숯가마를 찾아가 숯을 앞다퉈 가져와 먹는다. 숯은 단백질은 그대로 두고 페놀만 흡수해, 이 지역 원숭이는 다른 지역 집단보다 출생률이 높다.

숯을 독성물질 중화에 활용하는 예는 사람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나 이번 관찰로 야생 인도코끼리가 숯을 ‘야생 치료’로 이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아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