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의 밀담 ‘엿들은’ 새는 13종

조홍섭 2018. 05. 02
조회수 19720 추천수 1
되지빠귀, 소쩍새, 산솔새…한반도 여름 대표 새 다 나와
새벽이었다면 더 많이 왔을 것…“우포늪 수준 다양성”

되지빠귀2.jpg » 도보다리 정상회담 자리에 낭랑하게 울려퍼진 새소리의 주인공 되지빠귀.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4월27일 역사적 남북정상회담의 ‘하이라이트’는 도보다리에서 이뤄진 산책과 벤치 대화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40분 동안 배석자 없이 밀담을 나눴다. 이 과정은 전세계에 생중계됐지만 대화 내용은 들리지 않은 채 새소리만 가득했다. 어떤 새들이 이 세기적 밀담을 ‘엿들었을까’.

05950138_P_0_.JPG » 도보다리 벤치에서 벌어진 남과 북 정상의 대화 내용은 들리지 않았다. 생중계 방송에선 새소리만 가득했다. 청와대 제공

새소리 전문가인 하정문 서울대 행동생태 및 진화연구소 박사에게 분석을 의뢰했더니, “40분 동안 영상에 녹음된 소리로 확인할 수 있는 새는 모두 13종이었다. 한반도의 여름을 대표하는 새는 모두 (도보다리 주변에) 나왔다”고 지난 30일 말했다.

당시 상황을 새소리와 함께 재구성하면 이렇다. 우선 두 정상이 도보다리로 이동할 때 멀리 ‘꿔~꿩’ 하는 꿩 우는 소리와 함께 빠른 속도로 짹짹거려 구르는 듯한 방울새 소리가 들렸다. 높은 음으로 ‘끼끼끼끼끼~’ 하는 독특한 청딱따구리 소리도 울려 퍼졌다.

03056786_P_0_청딱따구리.JPG » 청딱따구리는 번식기를 앞두고 높고 독특한 소리로 운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이 벤치에 앉아 북한 쪽 취재기자를 물리쳤을 때, 본격적인 단독 대화의 시작을 알리려는 듯 크고 맑은 새소리가 한동안 들렸다. 네티즌들이 “청아하다” “예쁘다”고 평한 이 소리의 주인공은 흔치 않은 여름 철새인 되지빠귀였다. 5~6월 산란기를 앞두고 짝을 찾아 목청껏 노래하는 이 새는 한반도를 비롯해 동북아에 서식하며 크고 아름답게 지저귀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낮인데도 소쩍새가 “솥 적다”며 풍년을 예고했고, 산솔새도 이곳이 숲임을 알렸다. 그밖에도 섬휘파람새, 오색딱따구리, 알락할미새 등 도시에서 쉽게 보지 못하는 새는 물론 우리에게 익숙한 박새, 직박구리, 멧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도 도보다리 벤치 주변에서 소리로 존재를 드러냈다.

05950808_P_0.JPG » 도보다리 전경. 습지와 산자락의 특징이 어울려 한반도의 전형적인 생태계를 보뎠다. 청와대 제공.

하 박사는 “이 새들은 강을 끼고 있는 산자락 생태계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인식 우포 자연학교장은 “새들의 활동이 뜸한 오후에 이 정도라면 새벽에는 (도보다리 주변에) 더 많은 새가 나올 것이다. 람사르협약 지정 습지인 우포늪의 새벽에 요즘 나타나는 새가 15종인데 그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40여분 동안 관찰한 것만 13종이므로, 도보다리 주변의 종 다양성은 더 높을 수도 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