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어 생태관광 인기

조홍섭 2012. 03. 14
조회수 57170 추천수 0

잠수복 입고 코 앞에서 대형 상어 먹이 먹는 모습 관찰

연구 결과 상어 행동 변화 없어…상어 지느러미 산업보다 경제적

 

shark.jpg

바하마의 잠수 상어관광. 잠수복을 입을 관광객들이 거대한 뱀상어가 먹이를 찾아 배회하는 모습을 보고 있다. 사진=짐 애버네티.

 

쉽게 보기 힘든 상어가 눈앞에서 먹이를 물어뜯는 광경은 드문 구경거리이다. 하지만 최근 세계적으로 잠수복을 입고 물속에 들어가 먹이에 이끌린 대형 상어를 보는 생태관광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상어 관광은 지느러미를 잘라내느라 상어를 죽이는 것보다 경제적 가치도 높고 상어 자원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상어 먹이 주기가 장기적으로 상어의 행동과 생태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먹이에 의존한 상어가 자연에서 먹이를 찾지 않고 관광지에만 머무는 행동변화가 한 가지 예이다.
 

projects-right.jpg

▲상어가 생태관광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마이매미 대.

 

나일 해머슈라그 미국 마이애미 대 연구교수 팀은 국제학술지 <기능 생태학>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이런 논란에 한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해머슈라그는 바하마에서 상어 잠수 관광이 인기를 모으고 있는 반면 바다 건너 플로리다에서는 상어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가 금지돼 있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그는 열대 바다의 최고 포식자인 뱀상어에 전파 발신장치를 붙인 뒤 인공위성을 이용해 장기간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tiger-sat-tag.jpg

▲전파 발신장치를 단 뱀상어. 사진=마이애미 대.

 

그 결과 바하마의 뱀상어는 우려했던 것처럼 관광지 근처에만 머물지 않는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바하마의 뱀상어는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멕시코만류를 따라 대서양 한가운데로 무려 3500㎞나 돌아다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머슈라그는 “바하마에서 잠수관광이 상어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적어도 다른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기까지는 경제적, 보전적 혜택을 낳는 상어 생태관광을 막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상어 생태관광이 상어 지느러미 산업보다 지역경제에 더 낫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해머슈라그 박사팀의 상어 연구 개요 동영상

 

 

■ 기사가 인용한 원문 정보

Hammerschlag N, Gallagher AJ, Wester J, Luo J, Ault JS. 2012.

Don’t bite the hand that feeds: assessing ecological impacts of provisioning ecotourism on an apex marine predator.

Functional Ecology, doi: 10.1111/j.1365-2435.2012.01973.x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