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속살만 빼먹는 뱀 아세요?

조홍섭 2018. 06. 18
조회수 17805 추천수 1
아래턱 밀어넣고 굽은 이로 살 물어 끄집어 내
4종은 멸종 위기…신종 명명권 경매해 보호기금

ba1.jpg » 새로 발견된 달팽이 먹는 뱀의 일종(학명 Sibon bevridgelyi). 알레한드로 아르테아가 제공.

남아메리카 열대림에는 달팽이를 전문으로 잡아먹는 나무 뱀이 산다. 달팽이는 부드러운 속살을 단단한 껍질로 보호하지만, 이를 돌파할 수 있다면 먹이 걱정을 덜 수 있다. 지금까지 무려 70종의 작은 나무 뱀이 달팽이만을 먹는 ‘미식가’로 확인됐다. 여기에 신종 5종이 추가됐다.

알레한드로 아르테아가 미국 뉴욕시 자연사박물관 박사과정생 등 조사팀은 2013∼2017년 동안 에콰도르의 우림 3곳에 대한 일련의 탐사 끝에 3종의 새로운 달팽이 먹는 뱀을 발견했고, 이어 페루의 건조한 숲에서 2종을 추가로 확인해 공개 과학저널 ‘주키스’ 14일 치에 보고했다. 이들 신종 5종 가운데 4종은 이미 멸종위기 상태에 놓여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ba2.jpg » 달팽이를 입에 물고 있는 신종 나무 뱀의 일종(학명 Dipsas bobridgelyi). 매티스 홀랜더스 제공.

아르테아가는 “가끔 이 뱀이 달팽이를 입에 문 채 나무에 매달린 모습을 보기도 한다”고 온라인 과학 사이트인 ‘라이브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흔히 생각하듯이 이 뱀이 달팽이 껍질에 입을 대고 알맹이를 후루룩 빨아먹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 뱀은 뭉툭한 주둥이를 달팽이 집 안으로 밀어 넣고 길고 섬세한 이로 미끈거리는 속살을 확실하게 문 뒤 끄집어내는데, 몇 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ba3.jpg » 새로 발견된 달팽이 먹는 뱀의 일종(학명 Sibon bevridgelyi). 작고 독이 없는 나무 뱀이다. 알레한드로 아르테아가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신종을 발표하면서 특별한 이벤트를 벌였다. 연구자에게 있는 신종의 이름을 붙이는 권한을 경매에 부쳐 얻은 이익으로 종 보전을 위한 토지 매입에 썼다. 신종 3종에 대한 명명권은 열대림 트러스트(RT)와 저명한 조류학자이자 보전론자인 보브 리즐리에게 팔렸는데, 그 돈으로 발견된 종이 서식하지만 보호구역이 아닌 땅 72㏊를 사 보호구역에 편입하도록 했다.

ba4.jpg » 신종 달팽이 먹는 뱀의 일종(학명 Dipsas klebbai). 이미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알레한드로 아르테아가 제공.

아르테아가는 “신종의 학명은 일반인과 과학계 모두가 쓰는 이름이다. 사람들에게 종의 이름을 짓도록 하고 대신 그 종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데 기부하도록 하는 게 어떠냐”고 말했다. 신종의 이름은 대개 발견 장소나 생물의 특징에 따라 짓지만, 최근에는 사랑하는 사람이나 유명인사를 이름에 넣기도 한다(▶관련 기사: ‘버니샌더스거미’, ‘디카프리오거미’가 진짜 있다고?).

한편, 달팽이를 먹이로 삼는 이런 적응은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지만, 동시에 아래턱의 구조가 달팽이를 먹기 쉽도록 바뀌면서 달팽이와 민달팽이 이외의 다른 먹이는 먹지 못하게 됐다. 일종의 전문화의 함정이다.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야에야지마 고유종인 이와사키달팽이뱀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오른쪽으로 감긴 달팽이를 전문으로 잡아먹도록 턱이 비대칭 형태로 진화했는데, 그 결과 왼쪽으로 감긴 달팽이는 잘 사냥하지 못한다.

Masaki Hoso.jpg » 일본 야에야지마 고유종인 이와사키달팽이뱀. 마사키 호소,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Arteaga A, Salazar-Valenzuela D, Mebert K, Peñafiel N, Aguiar G, Sánchez-Nivicela JC, Pyron RA, Colston TJ, Cisneros-Heredia DF, Yánez-Muñoz MH, Venegas PJ, Guayasamin JM, Torres-Carvajal O (2018) Systematics of South American snail eating snakes (Serpentes, Dipsadini), with the description of five new species from Ecuador and Peru. ZooKeys 766: 79-147, doi: 10.3897/zookeys.766.2452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