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뜯어먹는 상어’ 첫 확인…북미 귀상어의 식물성 식단표

조홍섭 2018. 09. 07
조회수 17914 추천수 1
보닛헤드상어 먹이 절반 이상이 해초류
섬유질 분해효소 있어 식물로 영양분 섭취
최초 ‘잡식상어’ 바다의 포식자란 통념 깨
해초밭은 ‘어류의 어린이집’…생태계서 중요


s1.jpg » 상어가 ‘바다의 포식자’라는 통념이 북아메리카 연안에 서식하는 보닛헤드상어(위)에는 맞지 않는다. 이 상어는 바다거북이나 듀공처럼 초식동물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D. 로스 로버트슨,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귀상어 무리 가운데 북아메리카 해안에는 머리가 삽날처럼 생긴 ‘보닛헤드상어’가 산다. 다 자라도 대개 1m 안쪽인 이 소형 상어는 따뜻한 바다에서 주로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그런데 미국 해양대기국(NOAA) 과학자들이 2007년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이 상어의 위장 내용물 가운데 60%까지 해초류가 차지하고 있었다(잘피밭 등 해초류는 다시마 같은 해조류와 달리 육상의 꽃이 피는 풀이 바다로 진출한 고등식물이다).

당시 과학자들은 상어가 주 먹이인 새우나 게 등을 해초밭에서 추격하다 우발적으로 풀을 삼켰을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 캠퍼스의 박사과정생인 서맨타 레이는 “우발적이라 하더라도 풀의 양이 너무 많다. (상어가) 어떻게든 풀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난해 ‘내셔널 지오그래픽’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s2.jpg » 해초밭. 꽃이 피는 식물로 해수 정화와 산소 공급, 치어 양육 등에 매우 중요하다. 사진은 해초의 일종인 포스도니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레이와 연구팀은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일련의 실험에 들어갔다. 보닛헤드상어 5마리를 포획해 실험실에서 기르면서 해초류에서 영양분을 섭취하는지 알아보았다. 극단적으로 해초 90%와 오징어 10%로 이뤄진 먹이를 주었다. 해초에는 방사성동위원소를 넣어 영양분의 이동을 추적했다. 상어의 배설물을 모아 분석했다. 상어로부터 수시로 혈액을 채취해 영양분의 섭취를 조사하는 한편 마지막엔 상어를 안락사시킨 뒤 분석했다.

그 결과 왜 이 상어의 뱃속에서 다량의 풀이 나오는지 의문이 풀렸다. 보닛헤드상어는 해초의 가장 단단한 성분인 셀룰로스를 분해해 섭취하는 능력이 있었다. 해초를 분해할 효소를 이용해 해초류 유기물의 50% 이상을 소화했다. 식물 위주의 식단에서도 상어는 체중을 불렸다.

bu4rvykayj2zb4flh5y0.jpg » 최초의 잡식 상어로 밝혀진 보닛헤드상어. 북아메리카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의 따뜻한 바다에 산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보닛헤드상어는 ‘상어는 육식하는 포식자’라는 통념을 깬 최초의 ‘잡식 상어’로 드러났다.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드러나고 있으며 동시에 급속히 줄고 있는 해초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도 이런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레이는 “해초밭은 아주 중요하다. 산소를 생산하고 많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류가 여기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육지에서 흘러오는 유독물질을 거르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해초밭이 쇠퇴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어떻게 보닛헤드상어가 이런 유형의 서식지에 잘 적응했는지 아는 첫걸음이다”라고 온라인 매체 ‘기즈모도’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이 연구는 5일 과학저널 ‘왕립학회보 생물학’에 실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Samantha Leigh et al, Seagrass digestion by a notorious "carnivor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DOI:  10.1098/rspb.2018.158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