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장릉연못에 원앙이 그린 오색 수채화

윤순영 2018. 11. 02
조회수 34219 추천수 0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

먹이 주기 9년 만에 300여 마리 장관 이뤄

상수리 따먹고 집단 목욕도…짝짓기 앞둔 단장 온 힘


크기변환_YSY_8771.jpg » 원앙 수컷 깃털이 단풍 물결과 닮았다.


원앙이 9월27일 경기도 김포시 장릉 저수지를 찾았다. 2009년 봄 장릉에서 원앙 6마리를 처음 만난 후 먹이 주기를 시작한 지 9년 만에 300여 마리로 늘어났다. 해마다 장릉을 찾는 원앙 덕분에 “장릉에서 원앙을 만나다”라는 원앙 먹이 주기와 조류사진전이 해마다 열리기도 한다.


크기변환_DSC_7122.jpg » 김포 장릉 저수지.


크기변환_DSC_4496.jpg » 원앙의 평화로운 한 때.


크기변환_YSY_0654.jpg » 은밀하게 숨어 이동하는 원앙.


크기변환_YSY_0643.jpg » 부리가 붉은 원앙은 아직 깃털을 변환하지 못한 수컷 원앙이다.


산세가 완만한 장릉에 있는 소규모 저수지는 단풍이 수채화를 그려놓은 듯하다. 여기에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원앙이 가을을 더욱 발그레 수놓는다.


짝짓기를 앞두고 수컷 원앙의 깃털이 아름다운 색으로 변환하여 암컷에게 자태를 뽐낸다. 아직 변환 중인 수컷 원앙은 갈 길이 바쁘다.


수컷 원앙의 깃털 색이 고울수록 암컷 원앙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 수컷 원앙은 다음 해 봄까지 아름다운 깃털을 유지한다.


크기변환_DSC_4555.jpg » 저수지의 낮은 나뭇가지에는 지정석이 정해져 있어 서열이 낮으면 감히 넘볼 수 없는 규율이 마련돼 있는 듯하다.


크기변환_DSC_5910.jpg » 깊어가는 가을이 평화롭다.


크기변환_YSY_9695.jpg » 몸단장은 수컷의 필수적인 수단이다. 깃털이 고와야 기회가 온다.


크기변환_YSY_9738.jpg » 그렇다고 암컷이 몸단장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수컷들은 깃털을 애지중지하며 시간이 날 때마다 손질한다. 깃털이 훼손되면 예비 신랑 축에 끼지도 못하는 처량한 신세가 되기 때문이다.


저수지 수면 위로 원앙 무리가 바쁘게 움직인다. 벌써 사랑의 열기로 가득하다. 암컷을 둘러싼 수컷들의 경쟁이 치열하고 올해 태어난 새끼들은 덩달아 정신이 없다.


나무에도 원앙이 주렁주렁 달려 있다. 화려한 원앙의 깃털이 울긋불긋 단풍처럼 물들어 보인다. 수면에 반영된 단풍은 거꾸로 뒤집어 놓은 하늘빛 같다. 


크기변환_DSC_5087.jpg » 물 가장자리에 숨어 있던 원앙. 사람들의 방해를 받아 나오고 있다.


크기변환_YSY_0864.jpg » 바쁘게 물 가운데로 향하는 원앙.


크기변환_YSY_0740.jpg » 포근한 낮잠 시간.


크기변환_YSY_9937.jpg » 암컷 원앙은 한 마리인데 수컷 원앙 경쟁자가 너무 많다.


10월 20일 원앙 개체수가 점점 늘어나 300여 마리에 이른다. 12월에 이곳 저수지가 얼면 남하했다가, 다시 번식지를 향해 올라오는 내년 3월에 만날 수 있게 된다. 북상과 남하 시기에 머무는 기간은 70~80일 정도다. 원앙의 먹이가 잡식성이라지만 상수리나무에 올라가 상수리 열매를 따 먹는 것은 처음 본다. 날개를 퍼덕이며 균형을 잡고 물갈퀴 발로 제법 나뭇가지를 잘 탄다.


크기변환_YSY_0060.jpg » 상수리나무로 향하는 암컷 원앙.


크기변환_YSY_0106.jpg » 열매를 신중하게 고른다.


크기변환_YSY_0107.jpg » 와앙- 한 번에 꿀꺽 삼킨다.


원앙은 사람들이 무관심하면 자리를 뜨지 않지만 관심을 가지고 보거나 접근하면 눈치를 살피고 유유히 물살을 가르며 피한다. 그러다 매우 놀라면 수면을 박차고 날거나 나무에서 내려와 수면 위로 미끄러지듯 날아간다.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그 자리로 돌아와 휴식을 취한다.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곳이라 이런 행동이 하루에도 대여섯 번씩 되풀이된다. 이미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사람들과 친숙해지는 과정을 거치고 있지만 야생의 본능이 살아 있어 경계심이 매우 강하다.


크기변환_DSC_4771.jpg » 저수지 수면으로 낮게 뻗은 나뭇가지는 원앙의 쉼터다.


크기변환_YSY_0718.jpg » 수면을 박차고 나가는 원앙 수컷.


크기변환_YSY_0486.jpg » 수면 위를 날고 있다.


크기변환_DSC_4513.jpg » 늦은 오후가 되자 잠시 휴식을 취하는 원앙.


원앙은 개인의 지정석과 영역이 있고 무리를 나누어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아마도 평소에 친숙한 관계를 유지하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장릉 저수지의 원앙은 이른 새벽부터 활발하게 활동한다. 오전 9시께 휴식에 들어가고 11시께 깃털 고르기, 오후 1시께에는 집단으로 목욕하는 장관이 펼쳐진다.


크기변환_YSY_0521.jpg » 목욕은 하루 중 빼놓을 수 없는 일과다.


크기변환_YSY_9882.jpg » 무리를 이루었을 때 함께 목욕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크기변환_DSC_5969_01.jpg » 단풍도 물들고 원앙도 물들었다.


크기변환_YSY_9920.jpg » 틈만 나면 깃털 손질은 여전하다.


물가에서 먹이를 먹는 모습이 온종일 눈에 띄지 않는다 했더니 은밀하게 물 밖으로 걸어 나와 열매와 곤충, 애벌레 등을 섭취한다. 평화로운 저수지의 가을이 원앙과 함께 깊어간다. 새들은 서식지를 정할 때 환경적 요인과 기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밀하게 움직인다.


크기변환_DSC_3791.jpg » 물장구치며 노는 모습은 원앙의 일상이다.


크기변환_YSY_8432_01.jpg » 수컷 원앙이 암컷 원앙을 내친다. 원앙은 짝이 있을 때 “당신만을 사랑해”라는 행동을 한다. 그러나 감쪽같이 바람을 피운다. 자리싸움은 항상 있는 일이다.


크기변환_YSY_9722.jpg » 쫓겨나는 암컷 원앙.


크기변환_YSY_8484.jpg » 기지개 운동을 하며 몸을 푸는 원앙 수컷.


그러나 사람의 눈에는 평범하게 보일 뿐이다. 자연을 인간 중심으로 보기 때문이다. 수많은 새가 번식하고 월동하는 ‘정해진 자리’는 약속의 땅이다. 우리가 그 땅을 훼손시키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그 땅을 찾아올 것이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