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계 ‘판다’ 흰비오리의 마지막 잠수

윤순영 2019. 03. 29
조회수 13107 추천수 0

눈 주변 검은 점 등 판다 빼닮아…톱날 부리로 물고기 협동 사냥


크기변환_포맷변환_YSY_4242.jpg » 흰색과 검은색 깃털이 잘 어우러진 흰비오리 수컷의 외모는 중국의 자이언트판다를 떠오르게 한다.


흰비오리 수컷을 보면 중국의 희귀포유류 자이언트판다가 떠오른다. 작은 새와 곰을 비교한다는 것이 어울리지는 않겠지만 그런 연상을 하는 이가 많다. 


흰 바탕에 검은 무늬가 닮았다. 특히 눈 주변 검은 점은 똑같다. 흰비오리는 42㎝ 정도의 크지 않은 새이지만 경망스럽게 행동하지 않는 귀엽고 조용한 새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YSY_0116.jpg » 틈날 때마다 깃털 손질을 한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YSY_0131.jpg » 항문 아래쪽에 기름샘이 있어 그곳에 부리와 얼굴을 문질러 기름을 묻힌 뒤 몸의 구석구석에 바른다. 몸단장하고 나면 방수가 되어 물이 묻지 않는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YSY_0144.jpg » 방수가 된 폭신한 깃털이 공기층을 형성해 몸을 따뜻하게 보호해 준다.


흰비오리는 대부분 서너 마리가 무리를 이루어 월동하지만 10~15마리 안팎이 함께 지내기도 한다. 10월 중순에 우리나라에 도래하여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이번 잠수를 끝으로 번식을 위해 툰드라의 호수지대로 이동할 것이다.


흰비오리는 알려진 것과 달리 드물게 관찰할 수 있는 겨울 철새다. 북한에서는 흰비오리를 ‘까치비오리’라 부르는데 까치와 비슷한 흑백의 느낌이 들어서일 것이다.


크기변환_DSC_3087.jpg » 흰비오리가 무리를 지어 사냥에 나서다.


크기변환_YSY_8248.jpg » 흰비오리 암컷.


흰비오리의 작은 무리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먹이를 잡는다. 그물을 쳐 물고기를 몰아가는 형태로 협동 사냥을 한다. 


경계심이 유난히 강해 사람의 접근을 꺼리며, 다른 오리들과 달리 멀리 떨어져 나름대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날 때는 수면 위를 달려야 하며, 긴 목을 앞으로 뻗으면서 난다.


크기변환_YSY_4221.jpg » 청둥오리 무리 앞에서 흰비오리가 홀로 있다.


크기변환_YSY_4145_01.jpg » 청둥오리 앞을 유유히 지나가는 흰비오리.


급히 흐르는 강보다 넓은 강가의 숲과 저수지, 호수, 낮은 지대를 좋아한다. 얕은 물에서는 15~20초 정도 잠수하여 먹이를 잡고 깊은 곳에서는 시간이 좀 더 걸린다. 잠수성 오리들의 먹이 습성은 서로 비슷하여 작은 어류, 조개류, 갑각류, 수초 등을 먹는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YSY_4296.jpg » 휴식을 하면서도 주변을 경계하며 눈치도 살핀다.


크기변환_YSY_0030.jpg » 머리 깃을 내린 것은 주변의 안전이 확보되어 잠시 긴장을 늦춘 상태로 보인다.


오리와 흰비오리는 같은 오리과에 속하지만 부리 모양과 먹이로 구분할 수 있다. 비오리류는 잠수성 오리다. 오리류는 떨어진 낱알이나 수초, 채소류를 주식으로 삼지만 비오리류는 물고기를 주로 먹는다. 


먹이에 따라 부리 형태도 다르다. 오리류 부리는 넓적하지만 비오리류는 물고기 사냥을 위해 부리가 가늘고 윗부리 끝이 갈고리처럼 구부러졌다. 미끄럽고 빠른 물고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톱니 모양의 부리에 한 번 잡힌 물고기는 빠져나가기 힘들다.


기변환_YSY_0338.jpg » 목욕을 즐기는 흰비오리.


기변환_YSY_0340.jpg » 깃털에 맺은 물방울을 털어내는 흰비오리.


흰비오리 수컷은 멀리서 보면 몸 전체가 흰색으로 보이지만, 눈 주변에 검은색 반점이 있고 옆구리에는 검은색의 가로줄 무늬가 나 있다. 또 등과 가슴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뒷머리에는 흰색과 검은색 댕기가 있다. 암컷의 머리는 붉은 갈색이고 등은 회색, 배는 흰색이다. 날 때는 날개에 흰색과 검은색의 무늬가 뚜렷하다.


크기변환_SY3_8647.jpg » 두 쌍의 흰비오리 부부가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크기변환_YSY_8234_01.jpg » 물을 가르며 멀리 이동하는 흰비오리.


암컷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머리에서 뒷목까지 적갈색이다. 턱과 목에 흰색의 경계가 명확하다. 암컷과 수컷 모두 다리는 푸르스름한 회색, 부리는 회색이다. 


흰비오리는 유라시아 대륙의 아한대에서 번식하며 큰 하천, 강변 숲에 있는 참나무나 버드나무 등의 나무 구멍을 이용한다. 때로는 인공 새집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알은 크림색이 도는 흰색으로 5~14개를 낳는다. 유럽, 카스 피해, 인도 북부, 중국 동부, 일본에서 월동한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 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 2020. 05. 15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 2019. 12. 23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