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은 바닷속 먹이를 소리로 사냥할까?

조홍섭 2020. 03. 26
조회수 21106 추천수 0
물고기 포획 직전 짧은소리 질러…먹이 교란 가능성

pe1.jpg » 잠수하는 젠투펭귄. 펭귄이 물속에서 사냥할 때 소리를 낸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후나코시 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바닷새인 펭귄은 육지에서 꽤 시끄럽게 운다. 그러나 바다 표면은 물론이고 깊은 바닷물 속으로 잠수해 먹이를 붙잡기 직전에도 울음소리를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바닷새가 육지에서 시끄럽게 우는 이유는 자명하다. 바다에서 사냥을 마치고 둥지로 돌아와 짝이나 새끼를 찾기 위해 다양한 신호음을 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냥에 나선 펭귄도 소리로 소통한다는 사실은 최근에야 밝혀졌다. 이원영 극지연구소 박사 등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젠투펭귄이 사냥에 앞서 바다 표면에서 소리로 동료 펭귄을 불러모은다고 2017년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보고했다.

pe2.jpg » 바다 표면에서 유영하는 젠투펭귄. 사냥에 앞서 신호음으로 무리를 모은다는 사실을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밝힌 바 있다. 프리야 벤카테쉬,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앤드리아 사이보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만델라대 동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은 다양한 펭귄에 소형 비디오카메라를 부착해 조사한 결과 먹이를 포획하기 직전 아주 짧은소리를 지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자들은 임금펭귄, 젠투펭귄, 마카로니펭귄 등 3종의 펭귄 25마리에 부착한 소형 비디오카메라에 녹화된 10시간 분량의 영상을 조사한 결과 203개의 소리가 녹음된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속이 다른 펭귄 3종이 모두 먹이 사냥 때 소리를 내는 것으로 보아 펭귄에 일반적인 행동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펭귄이 물속에서 소리를 내는 행동이 이상하지 않은 것은, 고래, 물범, 바다거북 등 다른 해양 포식자들에서도 발견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펭귄은 대부분의 시간을 바다에서 보내는 해양동물이고, 형태와 행동, 생리가 물속 생활에 적합하도록 진화했다.

펭귄은 먹이를 포획하기 직전 매우 짧은 0.06초 동안 680∼1097㎐의 소리를 냈다. 이런 행동은 무리와 함께 있을 때가 아닌 홀로 먹이를 향해 돌진하기 직전에 나타나 소통이 아니라 사냥을 위한 행동일 것으로 연구자들은 보았다. 죽은 먹이를 주는 사육 수조에서는 보기 힘든 행동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펭귄은 왜 이런 소리를 낼까. 먼저 연구자들은 이런 소리가 펭귄이 숨을 참는 과정에서 저절로 나는지 아니면 의식적으로 내는지 알아봤다. 음파의 특성이 소음이 아닌, 조절해 내는 억양이 있는 소리였고, 바닥에 잠수해 먹이를 포획하기 직전에만 낸다는 점에서 의식적으로 내는 소리라고 연구자들은 판단했다.

또 사냥감도 갑각류나 연체동물보다는 재빠른 물고기를 사냥할 때 이런 소리를 자주 냈다. 임금펭귄은 수심 100∼250m까지 잠수해 심해어를 주로 사냥한다.

연구자들은 “펭귄이 왜 사냥 때 짧은소리를 지르는지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며 몇 가지 가설을 내놓았다. 먼저 돌고래 등 해양 포유류가 소리로 먹이를 제압하는 것처럼 소리를 사냥 도구로 쓸 가능성이다.

연구자들은 “포획 0.1초 전이라면 먹이와 매우 가까운 거리여서 먹이 동물이 소리를 듣거나 느꼈을 것”이라며 “먹이가 도망치려 할 때 소리 또는 진동파를 내쏘아 멈칫하는 순간 잡아먹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조사한 임금펭귄 한 마리는 먹이 사냥 때 소리를 3차례나 반복해 내기도 했다. 도망치거나 저항하는 먹이를 소리로 제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pe3.jpg » 무리 지어 헤엄치는 젠투펭귄. 사냥할 때 내는 소리는 동료들과의 소통일 수도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다른 가능성으로, 연구자들은 무리가 사냥할 때 먹이를 발견했다거나 어디에 있는지를 동료에게 알리는 소통 수단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먹이 포획이나 사회적 소통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단지 먹이를 찾은 흥분을 표현한 행동일 수도 있다고 연구자들은 덧붙였다.

인용 저널: PeerJ, DOI: 10.7717/peerj.8240

조홍섭 기자 ecothink@han.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