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타가오리는 왜 숲으로 갔을까

조홍섭 2012. 06. 02
조회수 26063 추천수 0

육지와 바다 생태계 연결  팔미라 환초 만타가오리 연구로 드러나

숲에 모여든 새 배설물이 결국 어류 불러…어부섬의 비밀 밝혀져

 

mulgun_03.jpg

▲남해 물건리 방조 어부림 전경(오른쪽 활처럼 휜 숲). 사진=남해군청.

 

경남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바닷가에는 바다를 끌어안고 있는 초승달 모양의 멋진 숲이 있다. ‘물건리 방조 어부림’이란 이름이 붙어 있는 전통 마을숲이다. 2002년 태풍 루사가 방파제를 넘어섰지만 이 숲에 가로막혀 마을의 피해를 줄여준 마을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370년 동안 바닷바람과 파도를 막아준 방풍림이다. 그런데 왜 ‘물고기를 주는 숲’이란 뜻의 ‘어부림’(魚付林)이란 이름이 붙었을까.
 

남해안에는 완도 갈문리 어부림, 여수 장수리 어부림 등 10여개의 어부림이 있고 이곳에서 풍어제를 지내는 등 어촌 마을의 생태경관을 이루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숲이 물고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어부림은 물고기가 서식하고 산란하기 적당하도록 수온 등 환경을 조성하는 숲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정어리가 산란하러 오는 홋카이도 강 하구의 숲에 이런 이름을 붙인다. 물건리에서도 주민들은 과거 바다에 그늘을 드리울 만큼 숲이 울창했을 때는 물고기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물 반 고기 반’이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과연 숲은 고기를 부를까.
 

mulgon forest.jpg

▲물건리 포구의 낙조. 방조제가 막히지 않고 숲이 더 울창했을 땐 `물반 고기반'이었다고 주민들은 말한다. 사진=한겨레 사진 디비.

 

미국 캘리포니아대 과학자들이 육지와 바다 생태계가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돼 있는지를 정교하게 밝힌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 대상지는 열대 태평양의 팔미라 환초였다.

 

애초 연구자들의 관심사는 열대 바다에 사는 거대한 만타가오리였다. 길이 7m, 무게 3t에 이르는 이 가오리는 고래상어처럼 플랑크톤을 먹이로 삼는 수수께끼의 생물이다. 무선추적기를 단 만타가오리의 신호를 따라가던 해양생물학자는 특이한 사실을 발견했다. 가오리가 천연림이 있는 섬의 특정 해안에만 출몰하고 사람이 코코넛야자를 재배하는 곳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640px-Manta_birostris-NOAA.jpg

▲거대한 만타가오리. 사진=미국립해양대기국(NOAA), 위키미디어 코먼스.

 

Manta_ray_from_Yap.jpg

▲열대 바다에 사는 만타가오리는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연골 어류로 바다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조사 결과 천연림과 인공림의 가장 큰 차이는 새들이 깃들기 좋은가였다. 붉은발부비 등 바닷새들은 해안 숲에서 번식하는데 단순하고 불안정한 인공 야자숲보다는 복잡하고 흔들리지 않는 천연림을 선호했다. 새의 밀도는 천연림이 야자 재배지보다 4.8배 높았다.
 

새들이 깃든다는 건 새들의 배설물이 숲에 쌓인다는 걸 뜻한다. 배설물 속의 질소 성분은 먼바다에서는 귀한 영양물질이다. 천연림 토양의 질소는 야자숲보다 5.1배 많았고 당연히 이곳의 낙엽 속에도 질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었다. 또 천연림을 흐르는 개울 속의 질소는 야자 재배지에서보다 26.5배 농도가 높았다.
 

바다로 흘러들어간 영양물질은 식물플랑크톤을 번창하게 하였고 이는 다시 동물플랑크톤의 증가로 이어졌다. 연구자들은 새 배설물 속 질소 동위원소를 추적해 같은 영양물질이 육지에서 바다로 이동했음을 확인했다. 이로써 플랑크톤을 먹는 만타가오리가 왜 천연림이 있는 해안 근처를 좋아하는지가 분명해졌다. 실제로 이 가오리 세마리에 무선발신기를 달아 추적한 결과 야자를 심은 해안에는 전혀 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lmyra_atoll_Pollock_Kydd Pollock_yale_e360.jpg

▲만타가오리의 먹이그물을 연구한 태평양 팔미라 환초의 모습. 사진=키드 폴록, <예일 e-360>.

 

native_palm.jpg

▲팔미라 환조의 자생림(A)과 야자 재배림(B)은 새의 서식 여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사진=더글러스 맥컬리 등, <사이언티픽 리포츠>.

 

1_srep00409-f1.jpg

▲자연림에 깃든 새가 만타가오리의 서식으로 이어지는 생태계 먹이사슬의 모형. 그림=더글러스 맥컬리 등, <사이언티픽 리포츠>.

 

그렇다면 우리의 어부림도 한때 새들을 끌어들여 그 영양물질이 물고기를 불렀을까. 안타깝게도 그런 연구가 없을뿐더러 요즘엔 비료 등 인위적 영양물질이 이미 과잉이어서 새의 배설물은 물고기를 유인하기는커녕 적조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맹자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일을 비유해 ‘연목구어’(緣木求魚)라 했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자연이 살아 있을 때 나무는 실제로 물고기를 부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의 원문 정보

Douglas J. McCauley,Paul A. DeSalles,Hillary S. Young, Robert B. Dunbar,Rodolfo Dirzo,Matthew M. Mills & Fiorenza Micheli
From wing to wing: the persistence of long ecological interaction chains in less-disturbed ecosystems
Scientific Reports Volume:2, Article number:409
doi:10.1038/srep00409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