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라 하지 않나

조홍섭 2008. 11. 08
조회수 29571 추천수 0

언론이 감춘 ‘태안 기름유출’ 가해자

 

사고 배 명칭 따 이름 짓는 게 국제적 관행
인재인데도 천재처럼…삼성중 뺀 채 ‘예인선’

 

Untitled-3 copy.jpg


 

제5금동호 사고(1993), 시프린스호 사고(1995), 제1유일호 사고(1995), 호남사파이어호 사고(1995), 제3오성호 사고(1997)….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주요 유조선 기름유출사고의 명칭이다. 모두 사고를 일으킨 배의 이름을 땄다. 이런 이름짓기는 ‘엑손 발데즈호 사고’처럼 국제적으로도 일반적인 관행이다.

 

그런데 왜 언론에서는 이번에 벌어진 사고를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라 하지 않고 ‘태안 기름유출사고’라고 부를까?  언론학자들이 이런 잘못된 이름짓기는 가해자는 사라지고 피해자만 부각시킨 언론의 잘못된 보도태도에서 비롯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언론재단 등 세미나서 비판…성희롱 ‘우 조교 사건’도 마찬가지

 

31일 충남 태안군 안면읍 오션캐슬에서 한국언론재단, 충청언론학회, 환경운동연합이 공동으로 연 세미나 참가자들은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서 언론의 구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언론이 특정 사건을 이름 짓는 방식은 그 사건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보여주는 핵심적 프레임”이라고 주장했다. 1993년 서울대 교수가 여성 조교 우씨를 성희롱한 사건을 언론이 ‘우 조교 사건’으로 부르면서 가해자인 남자교수는 사건의 중심에서 사라지고 피해자만 주체로 떠오른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Untitled-2 copy.jpg


그는 이번 사고가 인재(人災)인데도 대부분의 언론은 마치 지진이나 태풍이 난 것처럼 ‘천재’(天災)로 다룸으로써 재난을 빚은 회사에 보도의 초점이 맞춰지는 것을 피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보도에서 사고의 중요한 당사자인 삼성중공업이라는 실명을 명시하지 않고 ‘예인선’이라는 익명으로 처리한 예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자원봉사는 태안 살리고, 자원봉사 보도는 삼성만 살렸다” 꼬집어

 

‘삼성 텔 미’란 환경단체가 만든 동영상이 온라인상에서 인기를 끈 것도, 일반 시민들은 기업의 책임에 높은 관심을 갖는데도 언론보도가 이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이 교수는 주장했다.

 

그는 이번 사고에 대한 언론보도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재앙의 원인과 책임소재는 제대로 규명하지 않고 자원봉사자들의 미담만을 전달하기에 바빴던 점”이라고 지적했다. 자원봉사의 기여와는 별개로, 언론은 자원봉사를 미화하는 보도를 쏟아내면서 책임소재 규명 등 정작 중요한 현안들을 묻어버렸다는 것이다. 그는 “자원봉사는 태안을 살리고, 자원봉사 보도는 삼성만 살렸다”고 꼬집었다.

 

Untitled-1 copy.jpg


“재난 발생지가 농수산물 생산지일 땐 지명 쓰지 않는 것 상식”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재난 발생지가 주요한 농수산물 생산지일 때는 자칫 지역민의 생계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지명을 이름에 쓰지 않는 것이 상식”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이 사건을 ‘삼성중공업 서해 기름오염사고’라고 부르고 있다.

 

이처럼 관례에도 어긋나고 지역에 해로운 명칭이 통용되도록 방치한 것은 지자체가 미디어 홍보대책에 나설 겨를과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점도 지적됐다. 장호순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9·11 사태 때 줄리아니 뉴욕시장은 하루에도 몇 번씩 언론브리핑을 하면서 뉴욕이 관광과 상업의 중심지로서 이미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애썼다”며 “태안군에서 그런 고도의 미디어 홍보대책이 이뤄지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도권매립지는 애초 ‘김포 매립지’였으나 김포 주민들의 강력한 요청으로 환경부가 이름을 바꿔 주었다.

 

한편, 이번 사고가 재난인데도 방재기관의 의무가 있는 언론이 피해자를 위한 보도가 아니라 시청자나 독자 중심의 보도로 일관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연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언론이 피해자들을 위한 정확한 피해통계나 피해보상·배상 등 생계대책을 보도하는 데 매우 인색했다”며 “반면 아주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단어를 사용해 오염피해나 오열하고 분노하는 장면들을 클로즈업시켜 상업화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태안/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