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뿌리는 새' 큰부리새가 사라지면 열대림도 위험하다

조홍섭 2013. 05. 31
조회수 33262 추천수 0

커피와 사탕수수 농장으로 조각난 브라질 남동부 열대림, 다양한 큰부리새도 멸종위기

씨앗 나르던 큰 새 줄어들면서 야자 등 과일나무의 씨앗도 작아져…장기적으로 숲 쇠퇴 우려

 

bra1.jpg » 흠왕부리새. 열대우림에서 씨앗을 퍼뜨리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큰부리새류는 발가락이 앞뒤로 2개씩 나 있는 등 딱따구리류와 가깝다. 사진=린돌포 소우토, <사이언스>

 

브라질 남동부 대서양 쪽에는 방대한 열대림이 펼쳐져 있었지만 1800년대부터 커피와 사탕수수 농장이 들어서면서 숲은 조각났다. 또 사람들이 큰 새를 중심으로 사냥을 하면서 흠왕부리새 등 이 지역을 대표하는 열매를 먹는 대형 조류가 사실상 멸종상태에 빠졌다.
 

문제는 열매를 먹는 큰 새들이 씨앗을 전파하는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열매를 먹고 씨앗을 배설물과 함께 퍼뜨리던 대형 조류가 미미한 숫자밖에 남지 않게 된 브라질 대서양 열대림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bra.jpg » 큰부리새의 서식지인 브라질 남동부의 대서양 쪽 열대림. 현재는 조각나 자투리만 남았다. 그림=마우로 갈레티 외, <사이언스>

 

마우로 갈레티 브라질 에스타두알 파울리스타 대 조류학자 등 연구자들은 31일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서 이런 대형 조류의 감소가 이곳 생태계의 핵심종인 야자의 씨앗 크기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은 22개 야자 종을 대상으로 열매를 먹는 대형 조류가 있는 곳과 없는 곳을 비교해 이런 결과를 얻었는데, 사람의 영향으로 진화론에서는 매우 이른 100년도 되지 않아 씨앗의 크기가 줄어드는 결과가 초래됐다.
 

bra2.jpg » 야자 열매를 먹는 노란발찌르레기. 이들은 대형 조류가 사라진 숲에서 주로 작은 씨앗이 든 열매를 먹는다. 사진=린돌포 사우토, <사이언스>

 

씨앗의 크기가 줄어들면 발아 성공률이 떨어지고 묘목의 크기도 작아지는 등 종의 장기적 생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씨앗 크기마다 이를 퍼뜨리는 새가 따로 있기 때문에 번식에도 지장을 받게 된다.
 

연구진은 이런 결과에 비춰 대형 척추동물의 급속한 감소가 열대림의 진화와 조성에 전례 없는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bra4.jpg » 야자 열매를 먹는 중부리새. 열대림의 씨앗을 멀리 옮기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사진=에드손 엔드리고, <사이언스>

 

bra5.jpg » 브라질 대서양 열대림에서 가장 큰 새인 자쿠팅가. 길이 63~74㎝로 날씬한 칠면조처럼 생겼다.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위기이다. 사진=에드손 엔드리고, <사이언스>  

 

bra7.jpg » 대형 조류가 씨앗을 옮기는 야자나무 유테르페 에둘리스. 브라질 대서양 열대림의 지배종이다. 사진=페드로 조르다노, <사이언스>  

 

bra6.jpg » 야자나무 유테르페 에둘리스의 다양한 열매. 큰 열매는 대형 조류만이 먹을 수 있다. 사진=에드손 엔드리고, <사이언스>

 

bra8.jpg » 브라질 대서양 열대우림의 모습. 씨앗을 퍼뜨릴 큰 새가 사라진 숲의 미래는 암울하다. 사진=페드로 조르다노, <사이언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Functional Extinction of Birds Drives Rapid Evolutionary Changes in Seed Size
Mauro Galetti, Roger Guevara, Marina C. Côrtes, Rodrigo Fadini, Sandro Von Matter, Abraão B. Leite, Fábio Labecca, Thiago Ribeiro, Carolina S. Carvalho, Rosane G. Collevatti, Mathias M. Pires, Paulo R. Guimarães Jr., Pedro H. Brancalion,Milton C. Ribeiro, Pedro Jordano

Science 

10.1126/science.1233774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