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영하 27도에 애벌레 꼬물꼬물, 붉은점모시나비 생활사 밝혀져영하 27도에 애벌레 꼬물꼬물, 붉은점모시나비 생활사 밝혀져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6.06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생태와 생활사 밝혀 본격 증식 길 터 1월에 알에서 깨 5~6월 나비로…7일 삼척 서식지에 20쌍 방사   ▲애벌레의 먹이식물인 기린초에서 꿀을 빠는 붉은점모시나비.   지난 4일 오전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하대리에 위치한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를 찾았다. 멸종위기종인 붉은점모...

  • 다람쥐 6남매 생명 탄생의 신비, 75일 동안의 기록다람쥐 6남매 생명 탄생의 신비, 75일 동안의 기록 [3]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김성호 | 2012.06.05

    빈 딱따구리 둥지에 보금자리, 어미 임신 출산 육아 헌신 첫째부터 줄줄이 세상 밖 첫 나들이, 세수도 알아서 척척     숲에 깃든 동물에게 5월과 6월은 결실의 계절입니다.   동물들이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낳아 키워내는 과정에 동행하다 보면 삶의 모습이 많이 바뀌게 됩니다. 적어도...

  • 숲속의 외과의사 까막딱다구리, 3년째 번식 성공숲속의 외과의사 까막딱다구리, 3년째 번식 성공 [4] | 사진

    윤순영 | 2012.06.03

    나무 깊숙히 숨은 곤충 잡아먹어 숲의 건강 되찾아 줘 숲 쩌렁쩌렁 울리는 '목탁 새'…파랑새, 원앙, 다람쥐에 '주택 공급' 구실도   ▲까막딱다구리 수컷.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이며 머리 위 전체가 붉은 특징이 있다.   ▲까마막딱다구리 암컷. 뒷머리만 붉어 수컷과 구...

  • 만타가오리는 왜 숲으로 갔을까만타가오리는 왜 숲으로 갔을까 [2] | 조홍섭

    조홍섭 | 2012.06.02

    육지와 바다 생태계 연결  팔미라 환초 만타가오리 연구로 드러나 숲에 모여든 새 배설물이 결국 어류 불러…어부섬의 비밀 밝혀져   ▲남해 물건리 방조 어부림 전경(오른쪽 활처럼 휜 숲). 사진=남해군청.   경남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바닷가에는 바다를 끌어안고 있는 초승달 모양의 ...

  • 어미 잃은 너구리 7형제, 제발 정들지 말아야 할 텐데어미 잃은 너구리 7형제, 제발 정들지 말아야 할 텐데 [2]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영준 | 2012.05.31

    김영준의 야생동물 구조 24시 ① 너구리 7형제 번식기 맞아 어린 너구리, 고라니, 삵 등 잇따라 구조 '얼마나 아팠을까'…구멍난 상처, 저절로 붙은 골절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근무하는 수의사 김영준입니다. 물바람숲의 새로운 필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야생동물 구조라는 것이 피상적인 상...

  • 당신 눈앞의 새는 어린 공룡당신 눈앞의 새는 어린 공룡 [7]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5.29

    어린 공룡 특징인 짧은 얼굴, 큰 눈과 뇌 성체 새가 간직 '새는 살아있는 공룡' 주장 뒷받침, <네이처> 논문   ▲아프리카 초원에 서식하는 뱀잡이수리. 새는 살아있는 공룡이란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문이 나왔다. 사진=케빈 로, 위키미디어 코먼스.   2억년 가까이 지구를 지배하던 공룡이 ...

  • 자병산의 '비명' 듣고 도시문명을 생각하다자병산의 '비명' 듣고 도시문명을 생각하다 [4] | 김성만의 봄마다 피어나는 새싹처럼

    김성만(채색) | 2012.05.28

    채색과 유하의 한반도 도보 여행기 ⑪ 자병산 석회석 광산 잘려나간 자병산 인공계곡의 공포, 상상했던 것보다 큰 규모에 놀라 산을 송두리째 뽑아 버리는 건 어머니를 야금야금 갉아먹는 셈   ▲우리는 걷는다. 걸어보지 않은 누군가는 '몇 걸음 걸어 보고 뭘 느끼겠는가?'라며 깔볼지 몰라도,...

  • 뱃속의 고라니 눈 감다. 차에 치인 엄마를 따라뱃속의 고라니 눈 감다. 차에 치인 엄마를 따라 | 야생동물 구조 24시

    조홍섭 | 2012.05.26

    야생동물구조센터 잔인한 봄, 번식기 봄철엔 매일이 전쟁공사장서 집 잃은 아기 삵들, 유리창 부딪혀 눈먼 새들…치료받고 나간 고라니는 결국 로드킬 ▲차와 충돌해 골반이 무너진 암컷 고라니가 지난 21일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응급 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 21일 오후 충남 예산군 공주대 예산캠퍼...

  • 런던동물원의 펭귄 풀이 펭귄 비치로 바뀐 이유런던동물원의 펭귄 풀이 펭귄 비치로 바뀐 이유 [4] | 취재수첩

    남종영 | 2012.05.25

    걸작 디자인의 펭귄 풀 69년만에 폐쇄, 지난해 동물복지 고려한 펭귄 비치 열어 사람 구경보다 동물 생태 우선 고려…제돌이 방사 계기로 우리 동물원도 참고할만     ▲1934년 지은 런던 동물원의 펭귄 풀. 당시로선 혁신적이었지만 지금은 동물복지를 위해 폐쇄돼, 문화유산으로 전시되고 ...

  • 소시지만한 노래기, 걷는 선인장, 스폰지밥…2012 신종 톱10소시지만한 노래기, 걷는 선인장, 스폰지밥…2012 신종 톱10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5.24

    국제 종 탐사 위원회, 생물다양성 감소와 신종 발견 관심 높이려 선정 기상천외한 생물 세계… "우리는 지구에 대해 얼마나 모르고 있나"   ▲미얀마에서 발견된 세계적 멸종위기종 재채기 원숭이. 사진=토마스 가이스만, 포나 앤 플로라 인터내셔널.   들창코에 빗방울이 떨어지면 재채기를 하는 원...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