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스터리 야생 소, 발견 20년 뒤에도 감감 | 환경뉴스
2012.05.23
|베트남-라오스 국경 정글 서식하는 은둔형 희귀동물 `사올라' 밀렵으로 멸종 위기…살아있는 개체 본 과학자 없어 ▲수수께끼의 동물 사울라. 곧고 긴 뿔이 상상의 동물 유니콘을 연상시켜 아시아 유니콘이라고 불린다. 사진=윌리엄 로비처드. 1992년 세계 동물학계는 베트남과 라오스 국경에서 이...
-
찻잔 앞에서, 시간은 강물처럼 흐르고 | 김성만의 봄마다 피어나는 새싹처럼
2012.05.21
|채색과 유하의 한반도 도보 여행기 ⑩ 동강 제장마을 시민의 힘으로 지켜낸 자연, 1990년대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성과 이 아름다움 사라지지 않길…칠족령 전망대에서 기원 날이 밝자 제장마을의 자태가 드러났다. 칠족령에서 내려온 숲이 끝나고, 그 부분에서 사과밭이 이어졌다. 그 양편으...
-
바다로 간 `붕어'…바다에 물고기가 빈약한 이유 | 환경뉴스
2012.05.19
|대멸종으로 빈 바다에 담수어가 진출 드러나 남획으로 다시 비어 가는 바다…참조기 풍어는 붕괴의 조짐 ▲가장 큰 담수어의 하나인 아마존의 아라파이마. 담수어는 대다수 해수어의 조상이다. 사진=T. 뵐클러, 위키미디어 코먼스. 생명은 바다에서 기원했지만, 바다가 생물로 가득 차자 포식...
-
지구의 총천연색 새 얼굴 | 동영상
2012.05.17
|러시아 최신 기상위성이 촬영, `아찔하게 아름다운' 지구 모습 지구표면 자연현상 관측 위해 지난해 발사한 정지위성 ▲러시아 기상 위성 일렉트로-엘 No.1이 촬영한 지구 모습. 사진=NTs OMZ 러시아 연방 우주국이 지난해 1월20일 발사한 기상위성 일렉트로-엘 No.1이 보내온 이미지...
-
치타와 매는 왜 눈이 큰가, 그리고 사람은? [2] | 환경뉴스
2012.05.17
|최대 속력 빠를수록 눈 크다…새 이어 포유류에서 밝혀져 사람 눈 커진 이유는 사회적 소통이 중요했기 때문 ▲지상에서 가장 빠른 치타는 체중 대비 눈의 크기가 가장 큰 포유류이기도 하다. 사진=에릭 다멘, 위키피디어 코먼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치타와 매인데, 이들의 모습...
-
지리산의 찬란한 봄, 그래서 더 미안하다 [1] | 윤주옥의 낮고 느리게
2012.05.17
|법도 기준도 상식도 뛰어넘은 지자체의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욕구 환경부는 6월 시범사업지 선정 예정 지난 3월 26일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에서 ‘지리산 케이블카 백지화 공동행동’(이하 지리산 공동 행동) 발족식을 열었다. 반야봉이 푸른빛을 띠고, 노고단으로 오르는 길엔 눈이 쌓여있던 날이었다. ...
-
갑갑해 어찌 살았나, 풀려난 돌고래 단숨에 140㎞ 헤엄 [3] | 환경뉴스
2012.05.15
|제돌이의 미래, 터키 큰돌고래 톰과 미샤 지난 9일 야생 방사 6년만의 자유 만끽, 숭어 사냥하고 친구들과 어울려 ▲터키 히사뢰뉘 앞바다의 가두리에서 야생 적응 중인 톰과 미샤. 사진=제프 포스터. 터키의 큰돌고래 톰과 미샤와 마침내 바다로 돌아갔다. 야생 적응 훈련 끝에 야생 방사된...
-
리차드 오배리, 제돌이 도우러 한국 오다 [1] | 인터뷰
2012.05.11
|‘돌고래 자살’ 겪으면서 돈·명예 포기하고 보호운동 뛰어들어 “서울시, 강력한 메시지 던진 셈…제돌이 야생방사 돕고싶다” ▲서울대공원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의 야생방사 장소로 거론되는 제주도 동쪽 연안을 둘러보고 있는 리차드 오배리. “돌고래 야생방사 성공을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하냐고요? 내가 ...
-
식충식물 '뱃속’에서 먹이 찾는 개미 | 환경뉴스
2012.05.07
|보르네오 잠수 개미, 벌레잡이통풀 소화액 바닥에서 벌레 잔해 물고 나와 식충식물은 소화 지원, 부패 방지 도움 받을 것으로 추정 ▲벌레잡이통풀에 구멍을 뚫고 공생하는 잠수 개미. 사진=마크 모페트. 토양의 영양분이 극도로 부족한 열대지방에는 질소와 인 같은 양분을 얻기 위해 벌...
-
찬란한 오월, 수컷들의 '장끼' 자랑 | 사진
2012.05.04
|갑옷 입고 투구 쓴 장끼 전사들의 사랑 싸움 한창 위험 무릅쓴 과시 행동과 울음, "꿔~꿩" 5월은 생명의 계절이다. 초록빛 신록이 움트는 숲속에는 생명이 기지개를 켠다. 숲은 살아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우렁찬 장끼(수꿩)의 목소리가 숲속을 울려퍼진다. 바야흐로 까투리(암꿩)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