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화장장 열로 물 데우는 수영장, 으스스?화장장 열로 물 데우는 수영장, 으스스?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2.24

       영국 소도시 전면적인 활용 계획에 시끌 “주검을 연료로 쓰느냐는 정서적 거부감”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화장장의 폐열로 마을 수영장 물을 데우려는 곳이 있다.영국 버밍햄에서 24㎞ 남쪽에 위치한 인구 8만의 소도시 레디치 시에서 이런 사업계획을 세워 화제가...

  • 립스틱 짙게 바르고 봄바람 난 떡납줄갱이립스틱 짙게 바르고 봄바람 난 떡납줄갱이 | 사진

    조홍섭 | 2011.02.18

      산란기 앞두고 꽃단장한 수컷의 치명적 유혹  눈동자의 윗 부분과 등·배지느러미도 선홍색   ▲산란기의 떡납줄갱이 수컷.   ▲산란기를 맞아 입술연지를 바른 것처럼 입이 붉게 물든 떡납줄갱이 수컷.     강에는 봄이 더디 온다. 집안 어항은 그 반대다.우리 집 어항의 떡납줄...

  • 따뜻한 겨울 서늘한 여름, 패시브하우스 뜬다따뜻한 겨울 서늘한 여름, 패시브하우스 뜬다 [3]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2.16

    혹한이라도 햇살 들면 금방 25도 ‘훈훈한 동굴’‘바람 도둑’ 꽁꽁…탱크 포격 훈련소리도 ‘잠잠’  “올 겨울 혹독하게 추웠지만 집 안에서 추웠던 기억이 없어요. 더웠던 적은 있지만요.”1월에 기온이 영하 25도까지 내려간 적도 있다는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에 지은 단독주택에서 지난 ...

  • 지구의 식탁은 이미 안녕하지 않다지구의 식탁은 이미 안녕하지 않다 | 조홍섭

    조홍섭 | 2011.02.08

    40년 뒤 인구 90억…기후변화로 식량 거품 예고한국도 세계화 휩쓸려 식량 자급률 27%로 위기   설 식탁은 풍성했다. 떡국, 갈비찜, 잡채, 전…. 하지만 떡국이 갈비찜보다 칼로리가 높고 이를 상쇄하려면 3시간 반쯤 걸어야 한다는 등의 ‘설 음식 괴담’이 인터넷과 스마트폰 앱에 떠돌아서인지, ...

  • 새만금 상괭이 150여 마리 떼죽음 ‘생태 재앙’새만금 상괭이 150여 마리 떼죽음 ‘생태 재앙’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2.08

    멸종위기 소형 고래, 내부 개발 방조제 안 둥둥“호 물 무리하게 빼 염도 낮아져 얼음 얼어 익사”   멸종위기에 놓인 소형 고래인 상괭이 150여 마리가 내부 개발이 진행중인 새만금 방조제 안쪽 해역에서 떼죽음한 채 발견됐다. 국제적 보호종인 상괭이가 그물에 걸리거나 기름오염 때문에 1~2마...

  • 임진강 빙애여울 두루미의 마지막 월동임진강 빙애여울 두루미의 마지막 월동 | 사진

    조홍섭 | 2011.02.07

    시베리아와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을 끝낸 두루미의 겨울철 안식처 하나가 사라진다.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의 두루미 월동지인 장군여울과 빙애여울이 올 여름부터 군남댐이 물을 채우면서 사라지기 때문이다.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이사장 윤순영)는 7일 현지조사 결과 임진강의 군남댐 하류를 찾는 두루미...

  • 늑대, ‘최강 동안’ 변신으로 성공했다늑대, ‘최강 동안’ 변신으로 성공했다 [9] | 조홍섭

    조홍섭 | 2011.02.01

    늙어도 앳된 애완견으로 ‘진화’해 사람 사랑 듬뿍원숭이보다 지능 낮지만 눈치 9단으로 생존 탁월  지금은 우리 곁을 영원히 떠났지만 우리 집 반려견 초롱이는 언제 봐도 귀여웠다. 요크셔테리어 특유의 털북숭이 얼굴에 숨겨진 커다란 눈동자, 짧은 주둥이와 반짝이는 검은 코, 전체적으로 동글동글한...

  • '4대강, 막대한 예산 부어도 완공 못할 것'"4대강, 막대한 예산 부어도 완공 못할 것"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1.31

    30여년 환경운동의 '버팀목' '음식쓰레기0' 몸소 실천도"현정부 '학자괴롭히기'심해" 소신바꾼 전문가들에도 '일침'    온산공단 공해병 논란, 영종도 신공항 건설, 시화호 오염, 새만금 간척, 한반도 대운하, 4대강 사업….  지난 30여년 동안 우리 사회를 달군 굵직한 환경사건들이다....

  • 포도, 8천 년 동안의 ‘금욕’으로 ‘약골’만포도, 8천 년 동안의 ‘금욕’으로 ‘약골’만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1.26

    농약 없인 못 살아…접붙이기와 꺾꽂이 증식 탓유전자 칩 활용한 새로운 육종방법으로 돌파구   포도는 인류가 가장 먼저 재배하기 시작한 작물의 하나다. 약 8000년 전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 지금의 터키 자리에서 과수가 된 포도는 5000년 전쯤 서쪽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와 요르단 계곡, ...

  • 영구동토 밑에 ‘인류 미래’ 보관하는 종자 저장소영구동토 밑에 ‘인류 미래’ 보관하는 종자 저장소 [2] | 조홍섭

    | 2011.01.21

    20여억 점 길게는 2만년 유지, 작물다양성 곳집기후변화, 야생작물 탐색보다 빠르면 식량 재앙 1941년 7월 히틀러의 군대가 폴란드를 넘어 소련으로 침공했다. 스탈린은 독일에 빼앗겨서는 안 되는 문화유산을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로부터 급히 옮겼다. 거기에는 에르미타시 박물관의 미술품과 함께...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