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는 없어요…모든 풀은 쓸모가 있답니다”

조홍섭 2008. 10. 17
조회수 33120 추천수 0

‘야생풀 연구 24년’ 강병화 교수의 잡초 이야기

 

 

04849036_20080125.jpg


“잡초요? 평생 연구해도 그런 풀 없던데요.”

 

강병화(61·사진·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씨는 지난 24년 동안 우리 땅에 나는 ‘야생풀’을 조사하고 씨앗을 채집하느라 전국을 누볐다. 그의 관심사는 깊은 산의 희귀식물도 야생화도 아닌 우리 주변의 평범한 풀들이다.

 

“주로 많이 다닌 곳은 시궁창, 논, 개펄 그런 뎁니다.”

 

농과대학에서 농학을 전공한 그는 잡초 연구자들이 모두 제초제에만 관심을 쏟는 것이 의아했다. 잡초를 제대로 연구해 보자고 마음먹었다.

 

btn_movie.gif

 

“잡초란 흔히 원치 않는 식물을 가리킵니다. 밭 냉이는 잡초이고 들판 냉이는 나물이지요. 하지만 농토 밖에도 수많은 풀들이 있습니다. 아직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다 쓸모가 있어요. 잡초는 유용식물입니다.”

 

그 용도는 식용·약용·사료용·꿀채취용·관상용·공업용·퇴비용 등 끝이 없다. 그 효용을 우리가 다 모르거나 잊었을 뿐이다.

 

그는 “먹을 게 부족한 북한이 남쪽보다 약초 연구가 더 잘 돼 있다”고 말했다.

 

잡초 유전자원은 외국으로 유출되고 있기도 하다.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고 영양분이 많은 둥근매듭풀은 미국에서 사료작물로 개량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는 일찌기 잡초의 유전적 가치에 눈 떴다. 1999년엔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고려대에 야생 초본식물자원 종자은행을 설치했다.

 

120124292579_20080126.jpg


현재 강 교수의 연구실에는 그동안 모은 야생풀 약 1600종의 씨앗이 냉동보관돼 있다. 우리나라에서 야생풀의 종자가 체계적으로 보관돼 있는 곳은 여기가 유일하다.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종자는 세 곳의 냉동고에 나눠 보관했다. “씨앗의 수분을 5% 이하로 낮춰 냉동 보관하면 수백년 뒤에도 싹을 틔워 증식할 수 있습니다.”

 

유용성보다 제초제 연구만 하는 데 ‘의문’

국내 야생풀 종자은행 1600종 씨앗 보관

 

3권 무게 15kg짜리 ‘생약자원도감’ 펴내

 

종자를 모으는 일은 간단치 않다. 지난해 오대산에서 노란잔대 씨앗을 얻기까지 네 번 산에 올라야 했다. 꽃으로 종을 가려낸 뒤에도 씨앗이 덜 여물거나 너무 익어 땅에 흩어져 버리기 전에 받으려면 같은 곳을 뻔질나게 다녀야 한다. 덜 익은 씨앗을 보관했다가는 썩어 못 쓰게 된다.

 

그는 “길가에 씨앗을 매단 풀이 보이면 차를 타고 가다가도 내리는 버릇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의 연구실에는 외국에 여행하다 이렇게 채취한 씨앗자루들이 여기저기 널려 있다.

 

종자은행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2004년 끊겼다.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내는 것보다 더 늦기 전에 야생초의 씨앗을 받는 게 급하다는 걸 심사위원들은 이해하지 못하더군요.”

 

120124292628_20080126.jpg


이후 3년간 그는 자칫 쓰레기로 버려질 우려가 있는 조사결과를 책으로 정리하는 작업에 매달렸다. 다음달 출간될 ‘한국 생약자원생태도감’ 세 권에는 3천쪽이 넘는 분량에 12만장의 사진이 담겼다. 평생 발품을 판 결과인 셈이다.

 

무게만 15㎏인 이 책을 출판기념회 참가자에게 나눠 줄 수도 없어, 그는 내용을 간추린 ‘한국 생약자원 생태사진전시회’를 지난 21일부터 고려대 자연계 하나스퀘어 전시관에서 열고 있다. 일반인 누구나 야생초 사진 2천500여장과 종자 샘플을 볼 수 있다. (02)3290-3462.

 

글·사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영상 박수진 피디 jjinpd@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아마존 인턴’의 6주…“뱀, 개구리 덕분에 꿈 같았죠”‘아마존 인턴’의 6주…“뱀, 개구리 덕분에 꿈 같았죠”

    조홍섭 | 2019. 10. 29

    ‘아마존 탐사기’ 낸 전종윤씨일손 부족한 연구기관에 지원페루 열대우림서 생태조사 열대동물 이렇게 예쁠 줄이야손바닥 크기 바퀴벌레와얼굴만 한 개구리도 만나 모기 뜯기...

  • “세계 최빈국이지만 행복한 이유는 ‘자연보전’”“세계 최빈국이지만 행복한 이유는 ‘자연보전’”

    조홍섭 | 2019. 05. 27

    [인터뷰] 부탄 생물성다양성센터 감독관 린첸 도르지환경과공해연구회 ‘30돌 기념’ 초청동북아생물다양성연과 한라산 답사“부탄 고산지대 식물과 비슷해 신기” 열대림~7천m 설산 ‘생물종 핫스폿’벵골호랑이 150마리 전국 ‘어슬렁’“농지 국토 ...

  • 사람 보기 좋은 투명 방음벽, 새들에게는 ‘죽음의 유리벽’사람 보기 좋은 투명 방음벽, 새들에게는 ‘죽음의 유리벽’

    조홍섭 | 2018. 08. 06

    인터뷰-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병원 부장국도 4호선 도롯가 살펴보니어치, 청딱따구리, 솔부엉이…‘새들의 무덤'이 되어 있었다지난해부터 국립생태원 실태 조사 중“최근 설치된 투명 방음벽이 문제고속도로만 30㎞, 서울만 67㎞충돌방지 테이프 붙이고,...

  • “청천강 트인 갯벌 보니, 옛 새만금 생각났다”“청천강 트인 갯벌 보니, 옛 새만금 생각났다”

    조홍섭 | 2018. 06. 11

    인터뷰: 8번 방북한 나일 무어스 '새와 생명의 터' 대표2015년부터 북한 습지 조사한한국 사는 영국인 조류학자9번째 방북하는 길에 만났다“언덕, 초원, 논, 갈대밭, 갯벌…수십년 전 남녘 습지의 모습 간직이미 사라진 종달새·때까치 흔하고문덕에...

  • “새끼 돌보는 어미 새 보면 눈물 납니다”“새끼 돌보는 어미 새 보면 눈물 납니다”

    조홍섭 | 2018. 02. 19

    인터뷰 김성호 서남대 교수산속에서 50일 내리 둥지 지켜보는자신에게는 가혹하지만자연에 따뜻한 ‘김성호 류’전공 시작 못 한 아픔 있어오지 산골짜기 작은 학교라도‘자연강의’ 연 200회 달려간다학교 떠나도 저술과 강연으로생태작가의 길 이제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