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으면서 전기 생산해 휴대폰 통화

조홍섭 2008. 10. 22
조회수 29640 추천수 0

인체는 움직이는 ‘발전소’

1.6㎏ 장치 무릎에 대 최고 13W까지 생산 가능
‘1톤 축전지’ 몸 지방, ‘다이어트+에너지’ 겸용

 

 

걷는 동작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 ‘파워브레이크’

 

사람은 걸으면서 가속과 감속을 되풀이 한다. 바닥을 밀어내 추진력을 얻은 뒤 땅에 내딛는 순간 급제동을 건다. 빙판길에서 주로 미끄러지는 발이 내딛는 발인 것은 이 때문이다. 마치 얼음판 위에서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밟을 때 미끄러지는 것과 같다.

 이런 걷는 동작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를 캐나다의 연구팀이 고안했다.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최근 인터넷 판에서 맥스 도닐란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 교수팀이 개발한 ‘파워 브레이크’를 소개했다.

 

“감속 돕기 때문에  걷기 편해져”

 

power_brakes.jpg무릎에 부목처럼 대는 이 장치는 사람의 걷는 행동을 전기로 바꿔 주는 장치다. 핵심은 땅에 내딛기 직전 다리의 근육이 움츠러들며 감속하는 동작에서 정교한 톱니를 돌려 전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연료겸용차(하이브리드카)에서 감속할 때 브레이크의 에너지가 열로 방출되지 않고 축전지에 저장되는 것과 마찬가지 원리다.

 

발 한쪽에 이 장치를 설치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전압은 천천히 걸었을 때 5W이다. 도닐란은 <비비시>와의 인터뷰에서 “최고 13W까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정도의 전기라면 휴대폰으로 30분간 통화할 수 있다.

 

무게 1.6㎏인 이 장치를 달고 걸을 때 부담을 주지 않도록 다리를 뻗을 때, 곧 가속할 때는 작동하지 않도록 센서를 달았다. 연구팀이 6명의 자원자를 상대로 실험한 결과 이 장치를 달아도 산소 소비량은 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감속을 돕기 때문에 오히려 걷기가 편해진다”고 말한다.

 

‘전기 배낭’은 보병의 미래 전원으로 유망

 

사람의 걷는 동작에서 전기를 얻으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backpack.jpg로렌스 로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생물학자는 2005년 전기를 생산하는 배낭을 선보였다. 사람은 걸으면서 끊임없이 4~7㎝ 높이로 상하운동을 하는데, 이 기계적 운동을 이용해 발전을 한다는 것이다. 이 배낭을 메고 부지런히 걸으면 7.4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문제는 배낭의 무게가 38㎏에 이르는 등 적잖은 부담이 된다는 점이다. 야간 투시경이나 지피에스 등 첨단 장치가 필수품이 되고 있는 보병의 미래 전원으로 유망하다. 이들이 무거운 배터리를 지고 다니지 않으려면 인체에서 에너지를 ‘수확’하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법이다.

 

미국과 영국 육군은 보병의 군화에서 전기를 얻으려는 실험을 계속해 왔다. 군화가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되풀이하는데 착안했다. 힘을 가하거나 변형을 했을 때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물질을 이용하면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등에서 연구하고 있지만 출력은 1W가 안 된다.

 

발전용 손잡이 달려있는 라디오, 손전등, 휴대폰 선봬

 

주변을 둘러보면 인체의 힘을 이용해 자가발전을 하는 사례는 의외로 많다. 발전용 손잡이가 달려있는 라디오, 손전등, 휴대폰이 시판되고 있다. 개도국의 저소득층을 위한 1백 달러짜리 랩톱에도 이런 장치가 부착될 전망이다. 일본의 세이코는 1988년에 팔의 흔드는 힘으로 충전이 되는 손목시계를 내놓았다.

 

새로운 아이디어도 속출한다. 체육관의 러닝머신이나 무도장 또는 지하철 역사처럼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역사 등에서 사람이 밟는 에너지를 활용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인체를 이용한 자가발전에 관심이 쏠리는 가장 큰 이유는 소량의 전기를 늘 필요로 하는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휴대폰, 피디에이, 엠피3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인공장기, 페이스메이커, 인슐린 펌프 등 의료용 응용분야도 넓다. 게다가 인력을 이용한 발전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우리 몸에 축적된 지방은 1t 무게의 축전지와 맞먹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그런 잠재력을 지닌 지방을 쓰지 않고 아껴서 무엇 하랴.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