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싫은 삵이 갯골을 뛰어넘는 법

윤순영 2018. 04. 10
조회수 37442 추천수 1

천수만 삵, 무슨 일인지 갯골 건너 대낮 이동

폭이 좁은 곳을 신중히 골라 ‘훌쩍’ 그러나…


크기변환_포맷변환_DSC_0254.jpg » 버젓이 대낮에 나타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삵.


크기변환_포맷변환_DSC_0288_02.jpg » 삵은 콧잔등에서 이마까지 나 두 개의 흰 줄무늬가 특징이다.

지난해 천수만에서 우연히 삵을 만났다. 야행성이지만 낮에 나름대로 급히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나보다. 물론 먹이활동을 위해 이동할 수도 있다. 삵이 낮에 먼 거리를 이동하는 모습은 흔하게 볼 수 없는 일이다. 


삵을 추적하며 따라가는 길은 쉽지 않았다. 삵의 매우 신중하게 은폐해 가며 소리없이 시야에서 몇 번씩 사라지곤 했다. 숨을 죽이고 추적하는 긴장된 시간의 연속이었다.


크기변환_DSC_0263.jpg » 삵이 뒤를 경계한다 .


크기변환_DSC_0266_01.jpg » 그리곤 갈 길을 재촉한다. 삵은 걸을 때 발톱을 숨겨 조용히 움직인다.


생태 변화로 우리나라에서 육식동물인 호랑이, 표범, 늑대가 자취를 감춘 이후 삵과 대적할 동물은 없다. 삵은 우리나라 야생에서 담비와 쌍벽을 이루는 최상위 포식자다. 일반 조류는 물론 두루미의 천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키가 사람만큼 큰 두루미가 삵한테 잡혀 먹이가 되는 일을 종종 본다. 고라니 새끼들도 표적이 된다. 그러나 어떤 요인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근래 들어 천수만에서 삵을 만나는 일이 쉽지 않아졌다. 


크기변환_DSC_0285.jpg » 갈대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 삵.


크기변환_DSC_0288.jpg » 갈대숲으로 들어가 한참 보이지 않더니 갑자기 갯골 언덕 위로 불쑥 나타났다.


살쾡이라고도 불리는 삵은 평야, 산림지대의 계곡, 연안, 비교적 키가 작은 나무로 덮인 산골짜기 개울가에서 주로 살지만, 마을 근처에서 살기도 한다. 산간 벽지에서는 양계장의 닭을 습격하여 잡아먹기도 한다. 단독 또는 한 쌍으로 생활한다. 야행성이지만 외진 곳에서는 낮에도 먹이를 찾아다닌다. 삵은 성질이 사납고 몸이 날쌔며 유연한 탄력성이 있어 나무 위에도 잘 올라간다. 


크기변환_DSC_0303.jpg » 갯골과 맞닥뜨렸다. 건너야 할 상황이다.


크기변환_DSC_0309.jpg » 갯골의 거리를 측정하듯 건너편을 주의깊게 쳐다본다.


크기변환_DSC_0312.jpg » 여의치 않은지 발걸음을 돌린다.


크기변환_DSC_0313.jpg » 갯골 언덕 위로 올라간다.


먹이는 주로 쥐 등 작은 동물로 청설모, 다람쥐, 멧토끼, 꿩, 오리, 곤충 등을 사냥한다. 하지만 기회가 닿으면 자신의 몸집보다 2배 이상의 큰 동물도 공격한다. 작은 체구에 견줘 다부지고 힘이 세다.


크기변환_DSC_0315.jpg » 잠시 걸음을 멈추고 갯골 건너편을 바라본다.


크기변환_DSC_0319.jpg » 미련이 남아 다시 한 번 도전할 셈이다.


기변환_DSC_0322.jpg » 막상 뛰려니 자신이 안 선다. 혹시 물에 빠지면 어쩌나.


크기변환_DSC_0327.jpg » 발길을 돌린다. 더 가까운 곳을 찾아보자.


삵은 고양이처럼 생겼지만 고양이보다 몸집이 크고 꼬리는 굵으며 고리 모양의 가로띠가 있다. 콧잔등에서 이마까지 두 줄의 선명한 흰 줄무늬가 특징적이다. 몸 길이는 약 55~90㎝, 꼬리 길이는 약 25~32.5㎝이다. 불분명한 반점이 많다.


크기변환_DSC_0333.jpg » 여기는 건널 수 있을 것 같다.


크기변환_DSC_0334.jpg » 한쪽 발을 슬쩍 물속에 담그고 갯골 건너를 매섭게 쳐다본다. 뛰어 넘을 기세다.


크기변환_DSC_0337.jpg » 그러나 생각보다 먼 거리다. 물속에 담갔던 발을 뺀다.


삵의 눈은 밤에 먹이를 잡는 데 아주 유리하다. 입을 크게 벌릴 수 있고 머리는 둥글며, 다리가 튼튼하여 날렵하게 잘 달린다. 낚시처럼 생긴 발톱은 자유롭게 안으로 구부릴 수가 있다.


크기변환_DSC_0339.jpg » 더 가까워 보이는 자리를 골랐다.


크기변환_DSC_0342.jpg » 이 자리도 갯골을 뛰어 넘어가기에 여의치 않다. 결정을 내리는 데  답답할 정도로 신중하고 조심스럽다.


크기변환_DSC_0350.jpg » 수차례 갯골을 넘어가려고 자리를 고르더니 이제서야 맘에 드는 자리를 찾은 눈빛이다.


시각·청각·후각이 뛰어나고,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눈동자가 완전히 벌어져 조금만 빛이 있어도 사물을 볼 수가 있다. 짝짓기는 1년에 1회 3월에 시도하며 임신기간은 56∼66일이며 평균 4마리를 출산한다.

 

나무 밑 구멍이나 동굴을 번식지로 쓴다.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보살핀다. 처음에 새끼는 눈도 뜨지 못하고 몸도 가누지 못하나 며칠이 지나면 눈도 뜨고 돌아다닐 수도 있게 된다.


 삵의 갯골 건너뛰기 연속동작


크기변환_DSC_0351.jpg » 이제 뛰어넘을 자리를 정했다.


크기변환_DSC_0357.jpg » 숨을 죽이고 건너뛰기를 할 자세를 잡는다.


크기변환_DSC_0360.jpg » 실수하면 물에 빠진다. 물이 싫지만 어쩔 수 없다. 확실히 하기 위해 물속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 거리를 좁힌다.


크기변환_기변환_DSC_0361.jpg » 물을 박차고 뛰어올랐다.


크기변환_기변환_DSC_0362.jpg


크기변환_기변환_DSC_0363.jpg » 이제 착지만 잘 하면 된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DSC_0364.jpg » 아뿔사, 물에 빠지고 말았다. 그렇게 공을 들였건만 간발의 차이로 삵 체면이 완전히 구겨졌다.


크기변환_포맷변환_DSC_0365.jpg » 마음이 쓰리다. 하지만 어쩌랴. 몸은 이미 흥건히 젖었는데. 아무 일 없는 듯 태연하게 평상심을 되찾는다.


1950년대까지는 우리나라의 산간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었는데, 한국전쟁 이후 쥐약과 살충제의 2차 피해를 입어 점차 희귀동물이 되어갔다.


·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진행 이경희, 김응성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