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류에서 개구리가 살아남는 법, 빨판과 초음파

조홍섭 2018. 04. 10
조회수 24787 추천수 1
급류에 휩쓸리지 않으려 올챙이 배에 빨판 진화
보르네오 급류 개구리는 소음 이기려 초음파로 울어

f1.jpg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열대우림에서 새로 발견된 급류 개구리(학명 Sumatrana Crassiovis) 올챙이. 입 아래 배에 물살에 휩쓸리는 것을 막기 위한 빨판이 달렸다. 우밀라엘라 아리핀 제공.

공룡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개구리는 현재 4800여 종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간다. 오랜 진화의 역사를 간직한 만큼 생존을 위한 기기묘묘한 전략을 구사하는 종도 많다. 

특히 개구리 종 다양성이 높은 동남아시아와 인도 서고트 지역에서 온대 지역의 ‘연못 속 개구리’와는 전혀 다른 개구리가 잇따라 발견됐다. 알을 거치지 않고 올챙이를 직접 낳거나, 올챙이를 땅속에 숨기고, 암컷이 우는 개구리 등…여기에 급류 개구리가 추가됐다. 

열대우림의 세찬 계류 속에도 개구리가 산다. 경쟁이 심한 고요하고 잔잔한 웅덩이를 피해 개울가 급류지대로 왔지만 이곳에서 살아가려면 특별한 적응을 해야 한다.

f3.jpg » 신종으로 등록된 급류 개구리(학명 Sumatrana Crassiovis)의 성체 모습. 우밀라엘라 아리핀 제공.

독일 함부르크대 등 국제 연구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외딴 열대림에서 특이한 개구리를 발견했다. 이 개구리는 큰 바위가 많은 개울가에 살며 개울 안 물이 흘러넘치는 바위 위에 알을 낳는다. 연구자들은 이 개구리 올챙이의 배에서 다른 개구리에는 볼 수 없는 컵 모양의 구조를 발견했다. 

올챙이는 바닥의 조류 등을 갉아먹기 위해 입을 중심으로 한 원반 구조가 배 앞부분에 있는데, 이 올챙이는 그 아래에 빨판을 갖추었다. 주 저자인 우밀라엘라 아리핀 함부르크대 동물학자는 “배 빨판은 급류가 흐르는 개울에서 물살에 휩쓸려 나가지 않도록 해 올챙이가 이 특별한 서식지에 살아남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동물분류학 및 진화’ 최근호에 실렸다.

f2.jpg » 배에 빨판이 달린 올챙이가 서식하는 수마트라 섬 열대림의 급류 모습. 우밀라엘라 아리핀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에 발견한 급류 개구리 2종을 새로운 종으로 보고했을 뿐 아니라, 이들이 기존의 개구리 무리와는 분류학적으로 전혀 달라 ‘수마테라나’라는 새로운 속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한편, 급류의 시끄러운 소리를 이기고 짝짓기 소통을 하기 위해 초음파로 우는 개구리도 발견됐다. 샌드라 구테 프랑스 소르본대 동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이 동남아의 급류 개구리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구리가 높은 소리로 암컷에게 신호를 보냈다. 

70종의 급류 개구리가 평균 4∼10㎑의 소리로 울었는데, 특히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급류 개구리는 20㎑가 넘는 초음파 영역의 소리로 울었다. 급류 옆 나뭇잎에 앉아 암컷을 부르는 이 개구리 수컷의 소리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영역을 넘어서 전혀 들리지 않는다. 중국의 급류 개구리는 높은음과 함께 부분적으로 초음파가 섞인 소리로 울어 우는 소리가 들렸다.

Sandra Goutte.jpg » 계류의 소음을 이기기 위해 초음파로 우는 급류 개구리(학명 Huia cavitympanum). 보르네오 섬에 산다. 샌드라 구테 제공.

연구자들은 “급류지대가 아닌 곳의 개구리는 암컷을 부르고, 수컷끼리 경쟁하며, 포식자를 피해 다양한 우는 소리를 진화시켰지만 급류 개구리에서는 환경소음을 피하기 위해 우는 소리가 단순해졌다”라고 논문에서 밝혔다. 이 연구는 2016년 과학저널 ‘진화’에 실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Umilaela Arifin et al,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a taxonomically unstable ranid from Sumatra, Indonesia, reveals a new genus with gastromyzophorous tadpoles and two new species, Zoosyst. Evol. 94 (1) 2018, 163–193, DOI 10.3897/zse.94.22120

Sandra Goutte et al,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call evolution in torrent-dwelling frogs, Evolution,70-4: 811826, doi:10.1111/evo.1290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