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큘라 송곳니 지닌 초식 공룡 발견 | 환경뉴스
2012.10.05
|2억년 전 남아프리카 살던 소형 공룡, 60년 전 발굴 화석에서 '재발견' 고슴도치처럼 억센 강모 덮이고, 앵무새 부리 모양 입 지녀 턱 위·아래로 삐죽 튀어나온 긴 송곳니와 앵무새 부리처럼 생긴 입, 여기에 고슴도치 모습의 억센 강모를 가진 초식 공룡이 발견됐다. 폴 세레노 미국 시...
-
차로 개 끌고, 짐짝처럼 포개 운반해도 모두 무혐의 [8] | 환경뉴스
2012.10.04
|학대 규정 모호, 고의 아니었다고 잡아떼면 `무혐의'…선진국선 학대 구체적 나열해 처벌 동물을 물건 취급하는 민법 개정도 과제…녹색당·카라 동물보호법 개정 토론회 열려 “한 국가의 위대함과 도덕성은 그 나라의 동물들이 어떻게 대우받고 있는지를 보면 알 수 있다.” 마하트마 간디가 ...
-
바다목장으로 거듭나는 '고슴도치 섬' 위도 | 환경뉴스
2012.10.02
|홍길동의 율도국, 심청전의 인당수…수많은 전설 어린 섬 위도 수산자원 보전과 생태관광으로 새로운 파시 열리려나 물고기를 따라다녀야 할 팔자인 수산 전문가에게 현장 조사하러 들렀던 해안 포구와 섬, 그 와중에 만난 사람들은 단순 여행자의 그것과는 다른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불규칙하...
-
척추 달린 곤충?-3억년 전 곤충 입체 모습 복원 | 환경뉴스
2012.09.28
|바퀴벌레 조상, 원시 양서류에 피하려 진화 추정 곤충화석을 엑스선 스캔으로 입체 영상 만들어 약 3억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살았던 지금은 멸종한 곤충의 화석이 입체 영상으로 복원됐다. 러셀 가우드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등 연구진은 온라인 동료평가 학술지 <플로스 원> 최...
-
"추석 쇠러 왔어요", 겨울철새 큰기러기 벌써 한강에 [1] | 환경뉴스
2012.09.28
|올해도 어김없이 9월15일 한강 하구 도착, 가을의 전령 떨어진 낱알 먹으러 먼 길 왔지만 농경지는 매립돼 갈수록 축소 큰기러기가 지난 9월15일 한강 하구에 어김없이 찾아왔다. 지난해와 비슷한 시기이다. 그렇지만 벼 이삭에 푸른 기운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계절은 이른 ...
-
<침묵의 봄> 발간 50돌, 한국엔 `침묵의 환경행정' | 환경뉴스
2012.09.27
|살충제 위험 제기로 현대 환경운동 촉발…레이철 카슨은 2년 뒤 유방암 사망 우리나라 4대강 공사, 시멘트공장·가습기소독제 건강피해에도 환경당국은 `침묵' 지금부터 50년 전인 1962년 9월27일 미국에서 책이 한권 출판됩니다. 제목은 '침묵의 봄'입니다. 디디티로 대표되는 살충제...
-
백두산 화산 “잠에서 깨어났다” | 환경뉴스
2012.09.26
|중국 백두산 화산 관측소서 11년간 측정 자료 분석 결과 아이슬란드 화산도 1994년부터 전조 보이다 2010년 폭발 백두산 화산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서기 1000년께 ‘밀레니엄 분출’이라고 불리는 지난 200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폭발을 일으킨 백두산은 그 후 소규모 활동을 계속해...
-
너구리 '봉숭아 학당', 땅파기 시범조교 긴급투입 [5]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2.09.24
|자연방사 앞두고 먹이 찾기 공부 시작, 조교는 먹보 '짬밥이' '역시 몸을 움직여야 밥도 맛있지'…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일환 대전에 있는 보문고등학교 이건익 학생이 자원봉사를 하러 왔지요. 학교에서 생물동아리를 하고 있고 동물에도 무척 관심이 많았습니다. 자원봉사를 더 하려고 ...
-
극한 여행자 큰뒷부리도요, 200시간 논스톱 비행 [1] | 환경뉴스
2012.09.21
|순풍 타고 3000m 상공에서 태평양 종단 비행 8일…먹지도, 마시지도, 자지도 않아 체중 절반 지방 태워 물과 에너지로, 쓰지 않는 창자 등 장기 줄여 새만금 갯벌이 망가진 뒤 우리나라 최대의 도요·물떼새 도래지가 된 금강 하구 유부도에 “뿅~뿅~뿅~” 하는 청다리도요의 맑은 울음소리가...
-
러닝의 예언을 아십니까?…지구의 성장 한계 10% 남았다 | 조홍섭
2012.09.21
|2050년까지 인구, 소비 증가로 자원 수요 2배…지구 감당 못한다 지구 생물권 토대인 육상식물 광합성량으로 `지구 한계' 계산, <사이언스> 발표 태풍이 이례적으로 연달아 세 번씩 한반도에 상륙했다. 올여름 북극 얼음의 크기는 사상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벌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