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는 정말 앙숙일까

조홍섭 2012. 08. 31
조회수 31557 추천수 0

본능 넘어 상대 몸짓 언어 배우는 소통 능력 커

고양이 6개월, 개 한 돌 이전 함께 키우면 쉽게 적응

 

Claudio Matsuoka_Beagle_and_sleeping_black_and_white_kitty-01.jpg » 개와 고양이는 알려진 것보다 서로 잘 지낸다. 사진=클라우디오 마츠오카, 위키미디어 코먼스

 

요즘 시대의 화두는 ‘소통’이다. 대선 후보의 가장 중요한 자질의 하나로도 소통 능력을 꼽는다. 동물세계에서도 소통은 없어서 안 되는 생존 수단이다. 게다가 종의 차이를 뛰어넘는 소통도 흔하다.
 

흔히 개와 고양이는 천성적으로 맞지 않아 아옹다옹 다투는 관계로 묘사된다. 사회성 동물로 붙임성이 좋은 개와 독립적 성격으로 자기 영역을 중시하는 고양이는 모두 육식성 포유류 집단을 가리키는 식육목에 속하지만 각각 개과와 고양이과를 대표할 정도로 다르다.
 

행동도 종종 정반대다. 고양이는 화가 나면 꼬리를 홰홰 내두르는데 개는 반가울 때 그런다. 개가 으르렁거리면 조심하라는 경고이지만 고양이의 그르릉 소리는 기분 좋다는 표시다. 개가 귀를 뒤로 젖히면 쓰다듬어 달라는 뜻이지만 그런 고양이를 만지다간 할퀴이기 십상이다.
 

이렇게 사사건건 반대이니 만나면 싸움부터 하겠다고 짐작하면 오산이다. 실제로 개와 고양이를 함께 기르는 사람들에게 들어보면 싸우는 것보다 형제처럼 잘 지내는 관계가 훨씬 많다. 개와 고양이는 소통법을 알기 때문이다.

Rufus Sarsaparilla_761px-041115_Brindle_Boxer_and_house_cat.jpg » 어릴 때부터 함께 기를수록 종간 소통이 쉬워진다. 사진=루푸스 사르사파릴라,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스라엘 과학자는 개와 고양이가 이처럼 엇갈리는 행동 신호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연구했더니 놀랍게도 대부분 자기 종에게는 정반대의 의미가 있는 상대의 몸짓언어를 잘 이해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예를 들어 고양이는 코를 맞대고 인사를 하는 습성이 있는데, 개는 서로 엉덩이 냄새를 맡기는 해도 코를 맞대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는 이런 인사법을 배운다.
 

개와 고양이가 이처럼 차이를 넘어 소통을 할 수 있는 데는 오랜 가축화 과정 속에서 주인의 행동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을 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육종이 기본적으로 어릴 때 형질을 어른이 되어서도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새로운 상황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측면도 있다.
 

물론 개와 고양이 사이의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몇 가지 요령이 필요하다. 먼저 어릴 때 만날수록 좋다. 고양이는 여섯달 이전, 개는 한돌 이전이면 훨씬 쉽게 상대를 받아들인다.
 

개와 고양이를 처음부터 함께 키운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개와 고양이 어느 쪽을 먼저 집에 들일지도 신경써야 한다. 언뜻 고양이는 외톨이에 자기 영역을 중시해 남을 받아들이길 꺼리고 반대로 개는 사회성 동물이어서 훨씬 관용적일 것 같다. 그러나 실상 이런 순서에 민감한 것은 개이고 고양이는 대범한 편이다.
 

개는 고양이보다 가축화가 훨씬 많이 진행돼 있어 사람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높다. 다시 말해 주인의 관심을 독차지하는 게 개에게는 아주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나중에 들여 온 고양이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걸 시기하고 이상행동을 보일 수 있다. 고양이뿐 아니라 아기가 태어나도 비슷한 반응을 보이는 개가 있다.
 

656px-What_Kind_of_Dane_Are_You_.jpg » 무슨 얘길 하는 걸까? 동물 종을 넘어선 소통은 흔하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종을 넘어선 소통이 가축에게만 있는 건 아니다. 일본사슴은 일본원숭이가 녹나무 열매를 먹을 때 내는 소리를 알아듣는다. 일본원숭이의 특정 울음소리는 일본사슴에게 만찬 초대사이다. 다른 종의 경계음을 듣고 도망치는 단순한 행동보다 차원이 높다.
 

곤충 세계에는 더 미묘하고 복잡한 소통이 흔하다. 딱정벌레 애벌레가 뿌리를 갉아먹으면 식물은 화학물질을 내뿜어 경계 신호를 보낸다. 잎을 갉아먹는 애벌레는 그 신호를 보고 다른 식물로 방향을 돌린다. 땅속과 땅 위의 벌레가 ‘초록 전화’(식물)를 이용해 소통하는 셈이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Interrelationships of dogs (Canis familiaris) and cats (Felis catus L.) living under the same roof
N. Feuerstein, Joseph Terkel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113 (2008) 150–165

doi:10.1016/j.applanim.2007.10.010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