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당신 몸에 사는 100조마리당신 몸에 사는 100조마리 | 조홍섭

    조홍섭 | 2012.08.10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가 우리 몸에서 생태계 이뤄, 내 몸의 주인은 세균? 미생물은 퇴치가 아니라 공존의 대상, 우리 몸에 1만종 무게만 1~2㎏     항균비누로 깨끗이 샤워를 하고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이어 구강청정제로 입안을 말끔히 가셔낸다. 혀로 느껴지는 매끈한 이와 보송보송한 피부...

  • 새 대가리? 까마귀는 7살, 앵무새는 3살 아이 지능 드러나새 대가리? 까마귀는 7살, 앵무새는 3살 아이 지능 드러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8.09

    까마귀는 목 좁은 물단지에 돌 넣어 수위 높여, 이솝 우화 그대로 회색앵무는 빈 상자 흔들면 소리 없음에서 먹이 없음 추론        이솝 우화에 영리한 까마귀에 관한 이런 이야기가 있다. 목마른 까마귀가 물이 반쯤 찬 물단지를 발견했지만 부리가 물에 닿지 않았다. 생각 끝...

  • 식수대란 오기 전에 4대강 수문을 열라식수대란 오기 전에 4대강 수문을 열라 [8] | 환경뉴스

    앞산꼭지 | 2012.08.08

    독성 남조류 대구 식수원 위협…식수대란 우려 환경부 '폭염 탓' 설득력 없어, 낙동강엔 물 넘쳐흘러…4대강 사업이 근본 원인   녹조현상이 날이 갈수록 수그러드는 것이 아니라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강과 낙동강에 이어 영산강과 금강까지 4대강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4...

  • 신종 오색조 페루 운무림서 발견신종 오색조 페루 운무림서 발견 | 사진

    조홍섭 | 2012.08.07

    붉고 노란 깃털 화려, 쌍쌍이 열매 따먹어 미국 코넬대 연구진, 페루 안데스의 험준한 열대림서 발견       화려한 깃털을 지닌 오색조과의 새로운 새가 페루의 운무림에서 발견됐다.  미국 코넬대 조류학자들이 2008년 페루 쪽 안데스 산의 외딴 지역을 탐사하면서 발견한 이 새는 주로 짝을...

  • 새들이 더위를 이기는 뾰족한 방법, 부리새들이 더위를 이기는 뾰족한 방법, 부리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8.07

    혈관 많아 체온보다 5~10도 높아, 깃털 없어 열 방출 쉬워 물 적고 더운 염습지 참새 부리 더 커 …먹이뿐 아니라 열이 부리 진화에 작용     찰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에 들렀을 때 섬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의 핀치가 사는 것을 관찰했지만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 장정 셋이 못당한 `뱀장어 꼬리의 힘'장정 셋이 못당한 `뱀장어 꼬리의 힘' [1]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황선도 | 2012.08.06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⑨ 뱀장어(하) 남획과 댐 건설로 금값보다 비싸진 실뱀장어…전용 어도 설치 등 대책 절실 '뱀장어 회' 없는 건 핏속 독성 때문, 익히면 쉽게 사라져     ■ ㎏에 4000만원, 귀하신 몸 실뱀장어 종묘라고 하는 것은 양식할 때 어미로 키우기 위한 종자, 즉, 물...

  • “강에 가면 강이 고맙다고 말하는 것 같아”-차윤정 4대강사업 환경부본부장“강에 가면 강이 고맙다고 말하는 것 같아”-차윤정 4대강사업 환경부본부장 | 취재수첩

    조홍섭 | 2012.08.04

    강은 정말 행복한가 과거엔 생태학자, 지금은 4대강 부본부장‘박쥐의 고통’ 토로한 차윤정씨와의 논쟁     4대강 사업이 사실상 준공에 이르렀다. 16개 보 가운데 11개는 이미 준공 허가를 받는 등 이달 안에 본류의 작업은 끝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3일 환경단체인 녹색연합과 <...

  • 다리 자르고 도망치는 심해 오징어다리 자르고 도망치는 심해 오징어 [1] | 동영상

    조홍섭 | 2012.08.03

    캘리포니아 연안 서식, 포식자 움켜쥔 다리 끝 잘라내고 몸뚱이는 도망 잘린 다리는 꿈틀대며 빛을 내 포식자 주의 끌어   심해오징어가 다리를 자르는 모습 유튜브 동영상(스테파니 부시)   대형 심해 오징어가 포식자로부터 공격당하면 자신의 다리를 잘라내고 도망치는 행동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

  • 나무껍질에 교묘히 숨어드는 나방 의태의 비밀 밝혀져나무껍질에 교묘히 숨어드는 나방 의태의 비밀 밝혀져 | 환경뉴스

    조홍섭 | 2012.08.03

    서울대 연구진, 나방의 '자리 잡기 행동' 처음 밝혀…배경과 완벽하게 어울리는 자리로 이동 이동 전보다 의태 효과 2배, <진화생물학> 발표     19세기 영국 공업지대에 살던 회색가지나방은 옅은 회색 날개에 반점이 난 모습이어서 회색과 흰색 지의류가 자라는 나무껍질에 앉으면 찾...

  • 민물장어의 심해여행, 사랑과 죽음을 위해민물장어의 심해여행, 사랑과 죽음을 위해 [2]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황선도 | 2012.08.01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⑧ 뱀장어(상) 민물에서 7년 성숙하면 태평양 마리아나 해저산맥으로 3000㎞ 여행 알에서 깬 댓잎뱀장어 해류 바꿔 타고 다시 민물로 돌아와      ■ 풍천장어의 비밀   뱀장어하면, 그 맛있다는 고창 선운사 풍천장어를 떠올린다. 그러나 '풍천'에...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