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생성 연대는?…백록담 첫 시추

허호준 2016. 09. 08
조회수 58342 추천수 0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고기후 환경 분석 위해
백록담 분화구에 3개공 뚫어
결과는 11월 말 나올 예정

0906_512.jpg »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가 처음으로 6일 백록담 분화구 안에서 생성연대 측정과 제주도의 고기후 환경 연구를 위해 시추작업을 하고 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공

한라산의 생성연대와 제주도의 고기후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백록담 분화구 시추에 들어갔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6일 제주도 고기후·고환경 연구로 제주도의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퇴적층 분석을 통해 생성연대를 측정하기 위해 백록담 예비 시추작업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세계유산본부는 이날 백록담 분화구 속 6개 지점에서 1개 지점은 지름 8㎝, 깊이 20m로 뚫고, 나머지 5개 지점은 지름 8㎝, 깊이 10m로 뚫었다. 앞서 세계유산본부는 지난 6월 백록담 퇴적층에 대한 물리적 탐사작업을 벌여 토양층 깊이를 확인했다. 이번 시추를 통해 백록담 분출 시기의 정확한 연대를 측정하고, 가뭄과 홍수 등 고기후 변화를 분석하는 한편, 토양 분석을 통해 고대 식물상 규명도 시도할 계획이다.

세계유산본부는 시추 작업을 위해 지난 2일부터 헬기를 이용해 시추 장비를 백록담 분화구로 실어 나른 뒤 현장에서 장비를 조립해왔고, 기술진은 이날 비상용 모노레일을 이용해 해발 1500m 지점 진달래밭대피소까지 이동한 뒤 1시간30분 남짓 걸어서 이동했다. 7~8일 이틀 동안 본격 시추작업을 벌이고, 9일부터는 시추기를 해체한 뒤 다시 헬기로 장비를 이송할 계획이다.

세계유산본부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맡겨 지난 4월부터 올해 말까지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의 지형·지질, 동식물, 기후 등 주요 영향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용역을 벌여왔다. 연구원 쪽은 시추시료 분석과 해석 등을 한 뒤 11월 말 최종보고회를 열 예정이다.

정세호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생물자원연구과장은 “국내에는 고환경연구센터가 없다. 국내의 대표적 산인 한라산에서 시추해 분석하면 한반도 고환경연구센터의 전초기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질학계는 그동안 한라산과 백록담이 현재 모습을 갖춘 것은 2만5000년 전으로, 180만년에 이르는 제주 형성사에서 비교적 최근의 일로 보고 있다. 

제주/ 허호준 기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허호준 한겨레신문 기자
이메일 : hojoon@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1억년전 도마뱀 발자국 남해군서 세계 최초 발견1억년전 도마뱀 발자국 남해군서 세계 최초 발견

    물바람숲 | 2016. 09. 08

    국립문화재연구소 8일 발표 전세계 한번도 보고된 적 없는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미국 서부 산쑥도마뱀 발자국과 닮아‘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로 명명지금으로부터 1억년 전 공룡시대에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세계 최초로 한반도...

  • ‘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

    물바람숲 | 2016. 08. 08

    세계지질공원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에서 13~21일 진행사진공모전, 사생대회, 특별탐방해설도 곁들여유네스코가 지질공원의 진수라고 격찬한 제주도 지질공원 트레일 행사가 오는 13일부터 21일까지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 세계지질공원에...

  • 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

    조홍섭 | 2016. 08. 03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2-1> 울릉도 나리분지분화구는 정상인 성인봉이 아니라 섬 중턱 원형극장 같은 나리분지야트막한 알봉은 이중화산의 증거 백두산 천지 같은 칼데라호는?땅속 깊숙이 숨어 하루 2만톤씩 용출하는 식수원...

  • 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

    물바람숲 | 2016. 07. 27

    [생활사진가 장순덕 제주 해녀할망]마을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지질공원 전문 해설사로 물속 지질 생생히 보여주고 싶어방수카메라 손에 쥐어 찍어 보니 물밖이든 물속이든세상은 또다른 별천지 해녀는 얼굴 드러내는 거 싫어해...

  • 동해 최북단 바닷가 장식한 화강암의 최후동해 최북단 바닷가 장식한 화강암의 최후

    조홍섭 | 2016. 07. 18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1-2> 강원평화권-능파대, 서낭바위세월이 빚은 화강암 조각품의 ‘백화점’벌집처럼 구멍 숭숭, 항아리처럼 움푹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암석은 화강암이다. 특히 2억1000만~1억5000만년 전 사이...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