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년전 도마뱀 발자국 남해군서 세계 최초 발견

물바람숲 2016. 09. 08
조회수 57850 추천수 0
국립문화재연구소 8일 발표 
전세계 한번도 보고된 적 없는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미국 서부 산쑥도마뱀 발자국과 닮아
‘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로 명명

00501033_20160908.JPG » 경남 남해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지금으로부터 1억년 전 공룡시대에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세계 최초로 한반도에서 발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가천연기념물인 경남 남해군 가인리 화석산지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고 8일 밝혔다. 새 화석의 이름은 ‘한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도마뱀 발자국’이라는 뜻의 ‘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Neosauroides koreaensis)로 붙여졌다.


00501031_20160908.JPG » 남해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과 국내에서 발견된 다른 공룡 발자국들을 비교한 사진들.

이번에 드러난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앞발자국과 뒷발자국 등 모두 8개다.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미국 서부에 널리 살고있는 산쑥도마뱀(Sceloporus graciosus)의 발자국과 닮은 점이 많다고 한다. 연구소 쪽은 “지금까지 전 세계에 단 한 번도 보고된 적이 없는 중생대 백악기의 도마뱀 발자국으로, 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년 전 중생대 백악기의 함안층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함안층은 백악기에 경상남북도 지역에 쌓인 퇴적층으로 그동안 익룡 등의 공룡과 새들의 발자국 화석들이 다수 발견된 지층이다.

이 화석은 2013년 2월16일 경기도 지구과학교사연구회 회원들이 현장에서 지질답사를 벌이다 문해원 교사(창원 회원초등학교)가 처음 발견했다. 그뒤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과 미국, 스페인, 중국의 척추동물 화석 분야 관련 학자들이 공동연구팀을 꾸려 발견된 화석에 대한 연구를 계속 벌여왔다고 연구소 쪽은 전했다.

00501035_20160908.JPG » 남해섬 발견 도마뱀 발자국 화석을 확대한 사진.00501034_20160908.JPG » 남해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과 비슷한 발자국모양을 지닌 미국 서부의 산쑥도마뱀.

지금까지 중생대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2억여년전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린코사우로이데스(Rhynchosauroides)라는 도마뱀의 발자국이 유일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린코사우로이데스와는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이 주목된다. 공룡시대 한반도에 살았던 척추동물들의 종류가 다양했다는 것을 실증하는 근거로도 볼 수 있다는 게 연구소 쪽의 분석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중생대 백악기 관련 연구를 다루는 국제학술전문지(SCI) <백악기연구>(Cretaceous Research)에 ‘아시아 백악기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도마뱀형(lacertiform) 발자국 화석’이란 제목의 논문으로 실려 지난달 26일치 온라인호에 공개됐다. 연구소 쪽은 내년 상반기 경내 천연기념물센터 전시관에서 화석들을 일반 공개할 방침이다.

노형석 기자nuge@hani.co.kr, 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한라산 생성 연대는?…백록담 첫 시추한라산 생성 연대는?…백록담 첫 시추

    허호준 | 2016. 09. 08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고기후 환경 분석 위해백록담 분화구에 3개공 뚫어결과는 11월 말 나올 예정한라산의 생성연대와 제주도의 고기후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백록담 분화구 시추에 들어갔다.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6일 제주...

  • ‘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

    물바람숲 | 2016. 08. 08

    세계지질공원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에서 13~21일 진행사진공모전, 사생대회, 특별탐방해설도 곁들여유네스코가 지질공원의 진수라고 격찬한 제주도 지질공원 트레일 행사가 오는 13일부터 21일까지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 세계지질공원에...

  • 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

    조홍섭 | 2016. 08. 03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2-1> 울릉도 나리분지분화구는 정상인 성인봉이 아니라 섬 중턱 원형극장 같은 나리분지야트막한 알봉은 이중화산의 증거 백두산 천지 같은 칼데라호는?땅속 깊숙이 숨어 하루 2만톤씩 용출하는 식수원...

  • 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

    물바람숲 | 2016. 07. 27

    [생활사진가 장순덕 제주 해녀할망]마을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지질공원 전문 해설사로 물속 지질 생생히 보여주고 싶어방수카메라 손에 쥐어 찍어 보니 물밖이든 물속이든세상은 또다른 별천지 해녀는 얼굴 드러내는 거 싫어해...

  • 동해 최북단 바닷가 장식한 화강암의 최후동해 최북단 바닷가 장식한 화강암의 최후

    조홍섭 | 2016. 07. 18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1-2> 강원평화권-능파대, 서낭바위세월이 빚은 화강암 조각품의 ‘백화점’벌집처럼 구멍 숭숭, 항아리처럼 움푹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암석은 화강암이다. 특히 2억1000만~1억5000만년 전 사이...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