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을 템스강· 센강처럼? 유럽 강은 옛 우리 강 변신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10.19
|미국과 유럽연합은 댐을 해체하고 재자연화해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해유럽 겉모습만 따르려 하지 말고 개발이익 국가가 환수하는 제도 배워야이명박 전 대통령은 유럽의 라인-마인-도나우(RMD) 운하를 본받아 우리나라의 강을 운하로 만들어 부자 나라...
-
구름쥐, 뱀장어 모양 양서류…필리핀은 생물종 보고 | 환경뉴스
2016.10.18
|고산지대서 신종 포유류 28종 등 발견 잇따라민다나오 한 지역서만 양서·파충류 126종 확인필리핀은 반군 활동 등 불안한 정치 상황과 잦은 납치와 살인 사건으로 얼룩져 있지만 세계적인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다. 특히 필리...
-
침팬지도 '흙수저' 있다, 곰베 국립공원 40년 관찰 [2] | 환경뉴스
2016.10.17
|수컷은 젊을 때 정상 도전 뒤 지위 하락, 암컷은 차례 기다리기 장기 전략모녀 연대 암컷은 다른 출발선, 이주 암컷 누르며 안정적 지배질서 굳혀침팬지 사회에서 사회적 서열은 중요하다. 높은 서열일수록 양질의 먹이를 먹고 건강상태가 좋아 많은 자식을 남길 수 있다. 그런데 사회적 지위...
-
닷거미 수컷 처음이자 마지막 섹스 뒤 암컷 먹이로 | 환경뉴스
2016.10.14
|짝짓기 도중 심장 멈추고 암컷 먹이 자청, 수컷 먹은 암컷 새끼 2배덩치 큰 암컷 피하기 힘들고, 첫 수컷 정자 수정 가능성 커 도망 포기덩치 작은 수컷이 커다란 암컷의 눈치를 보며 접근해 구애하다, 또는 용케 짝짓기를 마친 뒤&...
-
박쥐 먹고 사는 동굴 악어는 주황색으로 변색 중 | 환경뉴스
2016.10.13
|아프리카 가봉 동굴서 박쥐와 귀뚜라미 주식, 바깥보다 건강상태 좋아동굴 생활 맞춰 신체변화 없지만, 박쥐 배설물 잠겨 살아 피부 ‘표백’난쟁이악어는 사하라 이남의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서부인 가봉, 감비아, 콩고민주공화국 등에 사는&n...
-
화장품은 되는데 치약은 안 된다? 모든 성분 공개해야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10.11
|적어도 위험 없음이 확실해진 뒤 제품화, 사전예방 강화 필요구멍 뚫린 화학물질 규제, 환경부로 창구 일원화해 강화해야화학물질로 인한 피해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지만 요즘처럼 우리를 불안하게 한&n...
-
필리핀해~한반도, 슈퍼태풍 고속도로 되나 | 환경뉴스
2016.10.10
|북위 34도까지 바짝 다가온 ‘슈퍼태풍'최근 40년 동안 최고 도달지점북위 28도에서 ‘6도’ 북상한반도 턱밑까지 올라와 최근접 슈퍼태풍은 27도 도달 ‘매미'빈도 변함 없어도 강도는 세져‘한반도 안전지대' 머잖아 끝날 수도 지난 5일 부산에 상륙해 짧은 시간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
-
‘방랑자’ 펭귄이 첫번째 알을 버리는 이유 [1] | 환경뉴스
2016.10.07
|한반도 10배 남극해 영역 이동 중 알 낳을 준비, 과부하가 부실한 첫째 알로나중에 진화한 장거리 이동이 초래한 진화 ‘부적응’, 생식체계 고치기보다 쉬워황제펭귄처럼 유명하지는 않지만 남극해에는 왕관처럼 휘날리는 멋진 노랑색 눈썹과 수수께끼의&nb...
-
참새가 다시 돌아왔다, 그 본성대로 [1] | 사진
2016.10.06
|사람들의 삶과 가장 친근했던 그들아침을 열고 저녁을 알렸다허수아비에, 공기총에 쫓기고포장마차 안주감으로쌀값이 떨어지고 농촌은 늙어가고이젠 그들을 거들떠도 안 본다그들도 더 이상 겁내지 않는다사람 곁에서 떼지어 논다 '짹, 짹’ 참새는 재잘거리며 아침을 열고 저녁을 알렸다. 자연이 사는 ...
-
인공증식 황새·따오기, 준비 안된 자연 복귀 | 환경뉴스
2016.10.05
|지난해 9월 예산 15마리 풀어놨는데1년만에 감전사 등으로 3마리 죽어 절반은 방사지 주변 머물고나머진 서해안 중심으로 남북 오가 먹이 많고 친환경농업 등 필요한데지자체와 주민 아무런 대책 없어 정부당국 예산 지원 끊어인공번식지 황새 번식조차 중단 검증된 서식지인 김해 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