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인간 동족살해 포유류 6배, 영장류 본성 탓인간 동족살해 포유류 6배, 영장류 본성 탓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10.04

    인류의 동족 살해율은 포유류 평균의 6배, 폭력성은 영장류 계통의 특성사회와 국가 조직의 진보로 살해율 급감…폭력적 본성을 문화로 극복 영국 철학자 토머스 홉스(1588~1679)는 국가의 필요성을 주창한 저서 <리바이어던>에서 자연 상태의 ...

  • 곤충도 감정 있나, 설탕 먹은 벌 낙관적으로 행동곤충도 감정 있나, 설탕 먹은 벌 낙관적으로 행동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9.30

    단것 맛본 뒤영벌은 더 낙관적이고 스트레스서 빨리 회복꿀벌, 가재, 초파리 등서 원시적 감정 발견 잇따라…동물윤리 관심곤충 등 무척추동물도 기초적인 형태의 감정을 느낀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비관적으로 바뀌는 꿀벌, 불안감...

  • 4대강 오염이 부른 낙동강하굿둑 개방 움직임4대강 오염이 부른 낙동강하굿둑 개방 움직임 | 환경상식 톺아보기

    육근형 | 2016.09.29

    4대강 사업의 나비효과, 수질악화가 낙동강하굿둑 개방 논의 불러생태계뿐 아니라 경제적인 관점 필요…관리권한 지자체 이전도 검토해야하굿둑으로 틀어 막혔던 강이 열리고 있다. 부산·경남권을 관통하는 낙동강하굿둑이 이르면 내년부터&nb...

  • 나무는 새싹 뜯는 노루를 침방울로 알아본다나무는 새싹 뜯는 노루를 침방울로 알아본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9.26

    노루 침 속 화학물질이 쓴맛 내는 타닌 합성 부추겨, 입맛 잃게 만들어 피해 최소화나무는 손상입으면 일차로 성장촉진 물질 분비, 이어 포식자 퇴치 이차 대사물질 합성어린나무가 내미는 여린 새싹은 노루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이다. 그렇지만 종종 노루...

  • 생명 기원지에서 외계 생명체를 꿈꾸다생명 기원지에서 외계 생명체를 꿈꾸다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6.09.23

    내비가 "7시간 직진 후 좌회전" 안내하는 오지이자 생명 기원한 오랜 땅덩이지구에 산소와 철 선사한 남세균이 남긴 화석 찾으며 화성 탐사 준비하는 곳 지구는 46억년 전 탄생 직후 외계 행성과 대충돌을 일으켜 달이 떨어져 나갔다. 그 충격으로 지구는 그야말로 녹아버렸고 뜨거운 마그마로 뒤덮...

  • 30년 동면 깨어나 번식, 지구 최강 곰벌레의 비밀30년 동면 깨어나 번식, 지구 최강 곰벌레의 비밀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9.22

    지구 어디나 사는 '작은 거인', 물기 없으면 휴면 빠져 극한 상황 견뎌사람 1000배 방사선 견디는 핵심은 디엔에이 둘러싸는 보호 단백질삼엽충이 바다 밑을 기어 다니던 고생대부터 지구에 살던 원시적인 무척추동물로 곰벌레가 있다. 길이가&nb...

  • 미세먼지 대책도 지역차별, 측정망에 '구멍'미세먼지 대책도 지역차별, 측정망에 '구멍' | 환경상식 톺아보기

    장영기 | 2016.09.20

    충남 2012부터 대기오염 배출량 전년보다 6배로 껑충, 측정소는 그대로미세먼지 사태 되풀이 막으려면 최악 상황 감시 위한 측정망 확충 시급대기질 180국 중 173위2016년 봄 미국 예일대와 컬럼비아대가 공동으로 조사하여 2년마다 집계하는 환경 성과 지수(EPI)가 발표되었다. 20개 분야 환경현황을 종합...

  • 국내 최대 습지, 논에서 만난 늦여름 동물들국내 최대 습지, 논에서 만난 늦여름 동물들 [1] | 사진

    윤순영 | 2016.09.19

    논우렁이부터 벼메뚜기, 참개구리, 저어새로 이어지는 생명의 터전도시를 지키고 생명다양성의 보고이지만 난개발과 매립으로 사라져습지는 생명의 요람이다. 습지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곤충은 잠자리다. 애벌레 단계에서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습지엔 다양한 생물이 그물처럼 얽혀...

  • 지진 걱정 없는 서울에  핵발전소를 짓자!지진 걱정 없는 서울에 핵발전소를 짓자! [1] | 영화로 환경 읽기

    조성화 | 2016.09.15

    영화로 환경 읽기 12. <동경핵발전소>핵발전 유치한 도쿄도지사, 핵발전 옹호할수록 빠져드는 딜레마 풍자서울에서 안 된다면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안 되는 것, 교훈 줘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은 핵발전소를 건설...

  • 동해안 살던 잔가시고기가 어떻게 대구 금호강 갔나동해안 살던 잔가시고기가 어떻게 대구 금호강 갔나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9.14

    한반도 고유종으로수백만년 한반도 자연사의살아있는 증거 139만년 전 빙하기 때 러시아서 남하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에서만 살아 16만~51만년 전 양산단층 운동으로동해 남부 형산강 상류 물길이금호강으로 바뀔 때 흘러들어  동해북부-동해남부-금호강 집단 다른 종보호종에서 빠졌지만 ‘멸종위기’ 집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