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1년치 전기요금 내준다면 직장동료라도…1년치 전기요금 내준다면 직장동료라도… | 영화로 환경 읽기

    김희경 | 2016.07.05

    영화로 환경읽기 9. <내일을 위한 시간>일광욕과 개 산책 이면의 진짜 유럽 노동자의 삶소비와 돈과 성장주의 너머 세상 보는 눈 가져야나도 그들도 돈이 필요하다. 샌드라는 아팠던 모양이다. 힘겹게 병세를 완화하고 직장으로...

  • 오빠 생각 나면…추억의 뜸부기 소리오빠 생각 나면…추억의 뜸부기 소리 [1] | 사진

    윤순영 | 2016.07.04

    농촌 하면 떠오르던 흔한 새에서 멸종위기종으로논의 은둔자, 영역 지킬 땐 꼿꼿이 서 가슴으로 외쳐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 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 제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nbs...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 조홍섭

    조홍섭 | 2016.07.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해는 ‘지나친 세계화의 종말 내지 약화’인 듯하다. 브렉...

  • 무늬와 색까지 호박에 보존된 공룡시대 새무늬와 색까지 호박에 보존된 공룡시대 새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6.30

    9900만년 전 나뭇진에 빠져 갇힌 어린 새 날개 발견깃털 3차원 구조와 무늬, 색깔 생생…마지막 몸부림도중생대 백악기는 공룡의 시대였지만 다양한 새들이 살았다. 가장 개체수도 많고 다양한 종류인 에난티오르니테스는 부리에 이가&...

  • DMZ 생물 탐사, 야생자두 등 신종·미기록종 쏟아져DMZ 생물 탐사, 야생자두 등 신종·미기록종 쏟아져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6.29

    24시간 동안 1541종 확인해 생물다양성 보고 입증, 서울숲의 2배야생자두 신종, 무당벌레붙이·꼬마꽃벌 류 각 1종은 미기록종 후보 비무장지대(DMZ)와 그 주변인 민통선 일대는 생태계의 보고로 꼽힌다. 개발압력이 높은 온대지역이면서도 한국전쟁 이후 60여년 동안 민간인의 접근이 금지 또는 제한됐기 때...

  • 땅에 떨어진 새끼 황조롱이 구하기땅에 떨어진 새끼 황조롱이 구하기 [1]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봉균 | 2016.06.28

    은행나무 까치 둥지서 번식한 새끼, 10여m 높이에 올라가기도 힘든데…땅에 떨어진 어린 새는 건강 상태 등 고려해 둥지에 올리거나 신고해야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새끼 동물의 삶은 불안정하기 짝이 없습니다. 아직 나약한 이들에게 세상은 온통 처음이라는 두려움 그 자체니까요.  둥지에서...

  • 그 많은 생활 화학물질은 어디로 가나그 많은 생활 화학물질은 어디로 가나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동수 | 2016.06.27

    약, 세제, 화장품 등 의약∙개인위생용품 (PPCPs) 세계적 관심사 떠올라하천생태계 모여 다시 인체 영향, 정보공개와 시민참여, 예방조처 필요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충격이 크다. 일상에서 사용한 화학물질로 인해 엄청난 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점이 그렇고, 그렇게 큰 피해가 났는데도 몇 년씩...

  • ‘인간 방패’로 새끼 지키는 엄마 불곰의 지혜‘인간 방패’로 새끼 지키는 엄마 불곰의 지혜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6.24

    `적의 적은 친구' 전략, 엄마 곰의 최대 위협은 다른 수컷 곰영양섭취 적지만 안전 위해 번식기 동안 인가 근처 머물어새끼를 데리고 인가 근처를 어슬렁거리는 어미 곰을 보면 동물학자들은 이제까지 이렇게 생각했다. “음식 찌꺼기를 얻어 먹으려는 군.”  그러나 이런 생각은 앞으로 바뀌어야...

  • 곡예하듯 발레하듯 장다리물떼새의 사랑곡예하듯 발레하듯 장다리물떼새의 사랑 [1] | 사진

    윤순영 | 2016.06.23

    가늘고 긴 붉은 다리와 검고 흰 깃털이 선명한 대조 이루는 멋쟁이 여름철새원앙 부럽잖은 금술 좋은 부부…짝짓기 뒤에는 춤과 사랑의 행진 뒤풀이   장다리물떼새는 한 번 보면 잊기 힘든 새다. 이름을 짓게 한 가늘고 긴 붉은 다리가 무엇보다 눈에 띈다. 검은 부리도 가늘고 길...

  • 10억년 전 '그때' 생생하게 기록된 '차돌섬'10억년 전 '그때' 생생하게 기록된 '차돌섬'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6.06.22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⑩ 백령권  모래와 점토가 쌓여 땅속에 묻혀 사암과 이암이 되고 고온 고압에서 구워져 규암으로   모래갯벌 빨래판 같은 물결무늬 60도쯤 기운 규암 절벽에도 똑같이   대륙충돌로  한반도가 생겨날 때 엄청난 지각변동으로 휘고 부러지고 녹아내린 흔적...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