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만에 ‘황새 자연부화’ 기쁨

물바람숲 2016. 05. 24
조회수 22648 추천수 0
00558393701_20160524.JPG » 황새 민황이와 만황이 부부가 지난 22일 충남 예산군 황새공원 인공둥지에 태어난 새끼 황새 두 마리를 돌보고 있다. 예산군 제공
지난해 자연방사한 2마리
지난달 예산 황새공원 인공둥지에 알
한달 뒤 새끼 2마리 확인

자연으로 돌아간 황새 부부가 새끼를 얻었다. 우리나라 황새 자연부화의 맥이 끊긴 지 45년 만이다.

충남 예산군은 지난해 자연 방사한 황새 암컷 ‘민황이’와 수컷 ‘만황이’ 부부의 둥지에서 지난 20~22일 새끼 두 마리가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황새 부부는 지난달 7일 예산 황새공원의 인공둥지에서 짝짓기한 뒤 같은 달 16일 알 두 개를 낳았고, 한 달 넘게 정성스레 돌봤다. 예산 황새공원 쪽은 “새끼 황새는 10㎝ 안팎이며, 어미가 주는 먹이를 넙죽넙죽 받아먹는 등 건강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예산군은 지난해 9월 황새공원 사육장에서 기르던 황새 수컷 다섯 마리와 암컷 세 마리를 공원 안 생태습지 공간으로 자연 방사했다. 지금 황새공원 안엔 민황·만황 부부 등 세 마리가 자라고 있다. 민황이는 전남 영광을 거쳐 북한 황해도 일대를 돌아다니다가 지난달 초 황새공원으로 돌아와 만황이와 상봉했다. 방사된 황새에 달린 지피에스(GPS)를 보면, 다른 황새 네 마리는 지금 전남과 충남 일대를 돌아다니고 있고, 나머지 한 마리(산황이)는 지난해 11월 일본 가고시마현 공항 근처에서 원인 모를 이유로 숨졌다.

천연기념물인 황새는 광복 전까지 황해도와 충북도에서 흔히 살던 텃새였다. 하지만 한국전쟁과 1960년대를 거치며 거의 자취를 감췄다. 충북 음성군 생극면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황새 한 쌍 가운데 수컷이 1971년 4월 밀렵꾼의 총탄에 맞아 죽고, 나머지 암컷도 1994년 농약에 중독돼 숨지면서 우리나라 황새는 멸종됐다.

1996년 한국교원대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는 황새 복원에 뛰어들었다.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에 살던 새끼 황새 암수 한 쌍을 들여와 3년 만에 인공부화에 성공했다. 이후 개체를 늘려 2013년 황새 60마리를 예산 황새공원 안에 마련된 사육장으로 옮길 수 있었다. 예산군은 2009년 문화재청 황새마을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예산군 광시면 대리 13만5669㎡에 ‘황새공원’을 만들었다. 지금 황새공원은 사육장에서 황새 75마리를 키우고 있다. 공원은 앞으로 거점마다 간이 계류장을 만들어 현지 적응훈련을 시킨 뒤 단계적으로 방사해 야생 황새 개체수를 늘려갈 참이다.

남형규 예산 황새공원 연구원은 “부모 황새도 아직 자연에 적응하는 단계인 만큼 당분간 적절히 먹이를 주면서 상태를 관찰할 참이다. 황새는 매우 독립적이고 예민한 새라 자연번식에 성공하려면 최대한 인간과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