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소똥구리가 처음 굴린 건 공룡 똥이었다소똥구리가 처음 굴린 건 공룡 똥이었다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5.13

    알려진 것보다 3천만년 일찍 등장, 포유류 아닌 공룡과 운명 같이해소행성 충돌 멸종 사태 때 큰 타격, 이후 초식동물과 함께 번창해  소똥구리는 포유류의 배설물을 먹고 번식한다. 코끼리, 영양, 소 등 포유류가 많아지면서 소똥구리도 번창했을 것이다.  공룡시대가 저물고 포유류가 지구를...

  • 수만년 태백산맥 구불구불 흘러 곳곳 한반도 지형수만년 태백산맥 구불구불 흘러 곳곳 한반도 지형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6.05.12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8-1> 영월·태백권-한반도 지형 동해 밑 지각이 갈라지면서  2000만년 전 일본이 떨어져 나가고  태백산맥을 융기의 축으로 한반도 동쪽으로 기울어 솟아올라   옛 곡류, 바닥 좁고 깊게 파며 흘러  현재의 산악 곡류를 이뤄  연간 0.2㎜ 100...

  • 만장굴 8천년 전 형성…거문오름 용암동굴계 형성 20만년 전 아니다만장굴 8천년 전 형성…거문오름 용암동굴계 형성 20만년 전 아니다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물바람숲 | 2016.05.12

    만장굴(사진)은 언제 형성됐을까? 20만년 전? 30만년 전? 국내 최장의 용암동굴인 제주 만장굴의 형성 시기가 8천년 전이라는 새로운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제주시 조천읍과 구좌읍에 걸친 ‘거문오름(사진) 용암동굴계’의 형성 시기는 20만~30만년 전으로 알려져 왔다.이런 분석은 12일 제주도 세...

  • 미시령 정상 57년간 끊겼던 ‘산양 이동통로’ 연결한다미시령 정상 57년간 끊겼던 ‘산양 이동통로’ 연결한다 | 환경뉴스

    | 2016.05.12

    강원도 “흉물 휴게소 철거”나무 등 옮겨심어 식생 복원주차장 터는 생태광장 조성설악산 미시령 옛길 정상에 흉물로 방치됐던 휴게소가 단절된 백두대간을 연결하는 생태탐방시설로 탈바꿈한다.강원도는 내년부터 미시령 옛길 정상 휴게소와 주차장을 철거하고 도로 개통으로 단절된 백두대간을 연결하는 ‘...

  • 전봇대 까치집 철거에도 예의가 있다전봇대 까치집 철거에도 예의가 있다 [1]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봉균 | 2016.05.12

    정전 막는 일 중요하지만, 땅바닥 떨어진 새끼들 뻔히 두고 가서야인근 상인이 구조 신고, 야생동물과 공존은 생명 존중에서 시작돼야생동물구조센터의 여름은 정신이 없습니다. 이런 저런 일로 구조되는 동물들과 어미를 잃은 새끼 동물이 끊임없이 구조되기 때문입니다. 새끼 동물이 들어오는 경우는 정말...

  • 전기차와 수소차가 친환경차가 아닌 이유전기차와 수소차가 친환경차가 아닌 이유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16.05.10

    수소와 전기를 어떻게 만드느냐 따라 반환경일 수도현재의 에너지 구조에서는 ‘원자력차’ ‘천연가스차’일 뿐전기자동차 업체인 테슬라가 내놓은 ‘모델3’가 대박을 터트리면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런 열풍을 타고 광주에 삼성 전기차 관련 사업을 유치하겠다는 다급한 총선용 공약까지 등...

  • 전주동물원의 변신…동물들 ‘살맛나겠네’전주동물원의 변신…동물들 ‘살맛나겠네’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5.09

    개장 38년만에 생태동물원으로콘크리트 걷어내고 공간 2배로동물 특성 고려한 수목도 심어김승수 시장 “동물복지 실현” “동물이 슬픈 동물원에서 행복한 동물원으로.”전북 전주동물원이 문을 연 지 38년 만에 생태동물원으로 변신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인공시설물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동물들의 생태 ...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 조홍섭

    조홍섭 | 2016.05.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시적인 사슴의 하나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취약종으...

  • ‘265살 대왕’ 왕벚나무 발견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5.04

    산림연, 제주 봉개동 산간지대서높이 15.5m 밑동둘레 449㎝ 달해제주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왕벚나무 가운데 가장 크고 나이가 많은 왕벚나무(사진)가 발견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왕벚나무 자원을 발굴하고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조사하다 제주시 봉개동 산간지대...

  • 꽃만큼 사람도 아름다운 강화도 매화마름 자생지꽃만큼 사람도 아름다운 강화도 매화마름 자생지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은주 | 2016.05.02

    초지리 매화마름 자생지, 시민 자연유산 확보 14돌 맞아매화마름 유기농쌀 판매 등 주민 참여…겨울 논 물대기 필요  벚꽃은 벌써 지고 요즘은 조팝나무, 수수꽃다리, 철쭉이 한창이다. 봄꽃의 향연은 5월까지 쭉 이어질 것이다.  일반인에게 낯선 4월 말부터 피는 꽃이 있으니 그 이름이 매화마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