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권 핵실험 유산이 고래상어 보전에 쓰여 | 환경뉴스
2020.04.10
|탄소연대측정으로 정확한 나이 계산…100살 ‘장수 동물’ 드러나 지구에서 가장 큰 물고기로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고래상어가 냉전 시대 대기권 핵실험 덕분에 보전에 필요한 정확한 기초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 다 자라면 길이 20m에 이르는 이 물고기는 생태관광 등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얼마...
-
온실가스 4배, 공룡시대 남극은 얼음 없는 울창한 숲 | 환경뉴스
2020.04.08
|9천만년 전 숲 토양 화석 발견…“고농도 온실가스가 초래”한반도 경상도와 남해안 일대에 공룡이 어슬렁거리던 9000만년 전, 남극은 얼음 대신 온대우림 숲으로 뒤덮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남극에서 얼음을 사라지게 한 당시의 극심한 온난화는 대기 속 고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
'춤추는 보석', 공작거미 신종 7종 발견 | 환경뉴스
2020.04.06
|쌀알 크기 호주 깡충거미, 수컷 현란한 색깔과 동작으로 암컷 유혹호주 서부 황무지에 사는 공작거미는 화려한 빛깔과 현란한 춤으로 ‘거미 계의 극락조’라고 불린다. 시민과학자들의 활발한 탐사에 힘입어 신종 7종이 발견돼 공작거미 무리는 85종으로 늘어나게 됐다.죠셉 슈버트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
5천만 사망 ‘스페인 독감’에서 코로나19를 읽는다 | 책에서 만나는 환경 이야기
2020.04.02
|기후변화로 감염병 증가 불가피…공동체 의식 회복으로 맞서야불과 한 달 전만 해도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발생해 기피대상이었던 우리나라가 최근에는 방역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투명한 정보공개로 사재기와 같은 사회 기반 시스템의 붕괴를 막았고 적극적인 진...
-
벌에 쏘이면 아픈데 왜 독사에 물리면 안 아플까 | 환경뉴스
2020.04.01
|찌르는 통증은 방어 수단…독사의 독은 공격용세계에서 한 해에 독사에 물려 숨지는 사람은 10만 명에 이른다. 뱀은 사람에 의해 궁지에 몰리거나 우발적으로 위협을 받으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사람을 문다. 그런데 뱀의 독은 이처럼 방어 수단으로 진화한 것이 아니란 연구결과가 나왔다.볼프강 뷔스...
-
멸종위기종 말레이천산갑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검출 | 환경뉴스
2020.03.31
|게놈 분석 결과 92% 일치…“새로운 감염병 출현 억제 위해 천산갑 밀거래 막아야”중국으로 밀수된 야생동물 말레이천산갑에서 코로나19와 가까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로써 세계에서 가장 널리 거래되는 포유동물인 천산갑의 밀거래를 막아야 하는 또 하나의 근거가 나왔다.토미 램 홍콩대 박사 등 국...
-
까나리는 바닷새부터 고래까지 먹여 살린다 | 환경뉴스
2020.03.30
|바다 생태계 ‘작은 거인’, 기후변화와 남획에 ‘흔들’까나리는 말린 생선 또는 액젓 원료로 소중한 어종이지만 동시에 바다 생태계에서 많은 동물의 먹잇감으로 없어서 안 되는 존재다. 그러나 냉수성 어종인 까나리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야생 포유동물도 암컷이 오래 산다 | 환경뉴스
2020.03.27
|환경 요인 주로 작용…암컷이 19% 수명 길어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산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사람을 제외한 야생 포유동물에서도 암컷이 수컷보다 오래 살며, 그 격차도 사람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2017년 통계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여성이 85.7년으로 남성 ...
-
펭귄은 바닷속 먹이를 소리로 사냥할까? | 환경뉴스
2020.03.26
|물고기 포획 직전 짧은소리 질러…먹이 교란 가능성바닷새인 펭귄은 육지에서 꽤 시끄럽게 운다. 그러나 바다 표면은 물론이고 깊은 바닷물 속으로 잠수해 먹이를 붙잡기 직전에도 울음소리를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바닷새가 육지에서 시끄럽게 우는 이유는 자명하다. 바다에서 사냥을 마치고 둥지로 돌아...
-
해발 6739m 서식 세계 최고 고산 동물 발견 | 환경뉴스
2020.03.25
|칠레 유야이야코 산 정상서 생쥐 확인…산소 절반, 먹이 없고 극단적 일교차산소가 희박한 데다 극도로 건조하고 먹을 것이 없는 고산지대에도 포유류가 서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제이 스토르스 미국 네브래스카대 생물학자 등 미국과 칠레 연구자들은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유야이야코 화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