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바이러스 '저수지', 박쥐가 끄떡없이 진화한 비밀바이러스 '저수지', 박쥐가 끄떡없이 진화한 비밀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2.05

    바이러스 200종 보유, 다른 동물로 흘러넘쳐…비행 진화와 관련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병원체가 박쥐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한다는 과학자들의 유전체(게놈)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박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02∼2003년 세계 30개국에서 8000명에 발병해 ...

  • 곤충의 반격, 소금쟁이가 개구리 알 포식곤충의 반격, 소금쟁이가 개구리 알 포식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2.03

    물 표면 알에 침 주둥이 꽂아 체액 섭취…“개구리 알 생존율에 영향”새는 벌레를 먹고, 벌레는 식물을 먹고…무척추동물은 척추동물의 먹이라는 이런 통념을 깨는 동물이 적지 않다. 먹고 먹히는 관계는 간단치 않고 한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것도 아니다.곤충인 사마귀가 잡아먹는 척추동물에는 작은 새...

  • 다 같은 ‘음매’ 아냐, 젖소도 ‘제 목소리’ 있다다 같은 ‘음매’ 아냐, 젖소도 ‘제 목소리’ 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30

    다양한 감정 상태에도 일관된 특성 간직, 무리 속 소통 수단인 듯갓 태어난 발굽 동물 새끼는 포식자를 피하고 어미의 젖을 빨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편다. 고라니 새끼는 드러나지 않은 곳에 쥐죽은 듯이 숨어있다가 어미가 신호를 보내면 뛰어나가 젖을 빠는 숨기 전략을 쓴다. 새끼는 어미가 내...

  • 늑대 안에 개 있다? ‘공 가져와’에 반응하는 아기 늑대늑대 안에 개 있다? ‘공 가져와’에 반응하는 아기 늑대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28

    일부 늑대 사람과 소통 능력 보유…이런 늑대 골라 개가 됐을 수도1만5000년 전 구석기 마을, 사냥 갔던 어른들이 새끼 늑대를 여러 마리 데려왔다. 아이들이 늑대 새끼와 놀았다. 한 아이가 장난삼아 막대기를 던지고 “가져와”라고 소리쳤다. 대부분 들은 척도 안 했지만, 한 늑대가 막대기를 물어왔...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20.01.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은 산사나무와 팥배나무 열매를 먹기 위해서다. 겨우내 ...

  • 초록으로 바뀌는 히말라야 만년설초록으로 바뀌는 히말라야 만년설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22

    만년설 녹은 곳에 고산식물 확장…14억 물 공급원 영향 주목기후변화로 에베레스트 산 자락 등 히말라야 산맥의 만년설이 녹으면서 그 자리에 식물이 자라는 면적이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빙설대의 식생대 확장이 히말라야의 물 공급 체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제3의 극지’로 불...

  • 10년간 4조 들여 7천만 ‘살처분’, 이대로 좋은가10년간 4조 들여 7천만 ‘살처분’, 이대로 좋은가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20.01.21

    ASF,구제역, AI 등 경제적 피해 넘어 환경, 건강 위협…공장식 축산 재검토해야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축산업이 몸살이다. 9월 16일 경기도 파주에서 처음 발견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파주, 김포, 강화, 연천 등에서 잇따라 확진되었다. 이 병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살처분 대상에 오른 돼지만 ...

  • ‘천년 나무’ 은행나무의 장수 비결‘천년 나무’ 은행나무의 장수 비결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20

    나이 먹어도 노화현상 없어…20대 저항력 천살까지 유지은행나무는 2억년 전 쥐라기 공룡시대부터 지구에 분포해 온 ‘살아있는 화석’이다. 한때 지구 전역에 살았지만, 현재 중국 동부와 서남부에 극소수만 자생한다(사람이 인공증식한 가로수 은행나무는 다시 세계를 ‘정복’했다).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인기...

  • 인제서 ‘야생 반달곰’ 발자국 발견…“3~8마리 서식”인제서 ‘야생 반달곰’ 발자국 발견…“3~8마리 서식”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17

    눈길에 새끼 데리고 있는 어미 흔적…지리산 곰과는 별개 야생 가족 가능성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향로봉 일대에서 새끼를 데리고 있는 어미 반달가슴곰의 발자국이 발견됐다. 이들은 지리산에서 이동했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지난해 비무장지대 안에서 사진이 촬영된 반달곰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

  • 그을린 코알라, 미리 본 야생동물의 '기후 종말’그을린 코알라, 미리 본 야생동물의 '기후 종말’ | 환경뉴스

    조홍섭 | 2020.01.14

    허겁지겁 물 얻어 마시는 화상 코알라서식지와 산불 발생지 80% 겹쳐환경 당국 개체수 30% 사망 추정“야생동물 피해는 10억 마리 이를 듯”피해 규모, 면적, 속도 “재앙적 수준”시민단체 뜨개질로 주머니, 벙어리장갑 만들기 나서기록적 가뭄, 고온, 강풍 겹쳐…기후변화가 근본 원인“호주 산불 남의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