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릅 꽃 보셨나요 | 사진
2011.07.29
|이른 봄 나물 이어 꽃 드문 여름엔 흰 꽃 뭉치 선사국립수목원, '8월의 나무'로 선정 두릅 꽃. 국립수목원 제공.이른 봄 산나물의 여왕은 단연 두릅나무 순이다. 쌉싸름하면서도 향긋하고 아삭하게 씹히는 그 맛 때문에 두릅나무는 새 순을 올리자마자 꺾이는 비운을 겪는다.나물로 기억되다 보니 두릅나...
-
붕괴 위험, 여주 용머리교 가보니 | 환경뉴스
2011.07.29
|남한강의 지류 한천의 용머리교, 붕괴위험신진교, 왜관철교에 이어 세번 째 붕괴교량이 될 수도정부는 역행침식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당장 대책을 마련해야집중호우가 거의 끝나가던 7월 28일 어제 남한강을 다녀왔습니다. 예상대로 지류하천의 역행침식은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
-
뱁새에게 육아 맡긴 ‘얌체 종결자’ 뻐꾸기 탁란 현장 [3] | 사진
2011.07.28
|▲붉은머리오목눈이 집을 차지하여 자라난 뻐꾸기새끼 지난20일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뻐꾸기 새끼가 자라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소재의 카페를 찾아갔다.7월5일 5개의 알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그 중 하나는 뻐꾸기 알이 였다. 3일 후 알4개는 사라...
-
‘기적의 자가 치유’ 돌고래, 신비의 물질은 뭘까 [27] | 환경뉴스
2011.07.26
|과다 출혈 없고, 고통 안 느끼며, 세균 감염 안 돼 최근 연구 결과 종합, 핵심은 지방속 화학물질 상어의 공격으로 심각한 상처를 입은 병코돌고래 나리의 처음 모습.‘에코’와 ‘나리’의 기적적 치유 기록 에코가 생선을 받아 먹으러 돌아왔다. 그런데 세...
-
고래는 바다의 농부, 영양 듬뿍 배설물이 '거름' [1] | 환경뉴스
2011.07.25
|대형 동물, 바다 밑바닥 영양물질 표면에 공급하는 구실 밝혀져고래와 물개가 사라지면 생산성 떨어져 물고기와 새들도 줄어들어 참고래의 배설물을 연구하기 위해 채집하는 과학자들.1986년 이래 전 세계에서 고래를 잡는 것은 금지돼 있다. 그러나 여기엔 예외가 있고 이를 두고 논란...
-
"일자리 창출, 자동차보다 재생에너지가 낫다" | 인터뷰
| 2011.07.25
[‘핵 탈출’ 독일 현장] 미란다 슈로이어 베를린 자유대 환경정책연구소장 인터뷰재생에너지, 2009년에만 28만 개 일자리 만들어한국, 원자력 의존도 너무 높아, 만약의 사태 대비해야 미란다 슈로이어 베를린 자유대 환경정책연구소장.유럽연합 환경자문회의 의장이자, 독일...
-
밖은 찌는데 안은 '덜덜'… 대형 건물 절반이 과잉냉방 [1] | 환경뉴스
2011.07.22
|에너지시민연대 전국 753개 건물 조사, 51.8%가 권장 온도 넘겨에어컨 낮추고 선풍기 함께 켜면 60% 절약, 실행은 30% 그쳐 ...
-
원자력 신화 가면 벗기면 ‘탈핵’ 전환시대의 논리 보인다 | 조홍섭
2011.07.21
|원전 신규 건설 중단과 단계적 폐쇄로 2030년 탈핵 원년 가능 주장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탈핵’을 말하는 목소리가 부쩍 잦아졌다. 원자력에 의존하는 사회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두는 지속가능한 ...
-
“11시간 생방송 끝장토론 끝에 원전 완전폐기 결정” [2] | 인터뷰
| 2011.07.20
인터뷰: 메르켈 총리를 꼼짝 못하게 한 ‘17인 윤리위원회’ 권터 바흐만 사무총장"탈원전이 가능하다는 걸 독일이 보여주면, 세계가 바뀔 것입니다."지난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한 지 4개월이 지났다. 사고발생지는 일본이지만, 이 충격으로 가장 큰 ...
-
멸종위기 긴팔원숭이 집단 서식지 베트남 정글서 발견 | 사진
2011.07.19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 푸 맛 국립공원서 455마리 확인서식지 횡단 도로공사 진행 중, 마지막 피난처 위협새로 발견된 긴팔원숭이 서식지. 왼쪽이 수컷 새끼를 데리고 있는 것이 암컷이다. 사진=테리 휘태커,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긴팔원숭잇과의 유인원이 베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