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열두고개 언제 가노' 옛 보부상 노래는 솔향을 타고…"열두고개 언제 가노" 옛 보부상 노래는 솔향을 타고… [1] | 한국의 숲

    조홍섭 | 2011.07.13

    “여러분은 오늘 하루 금강소나무와 산양이 사는 이 숲을 전세 냈습니다.” 지난 22일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1리에서 금강소나무 숲길 탐방에 나선 참가자들에게 숲 해설가이자 이 마을 주민인 최윤석(56)씨가 이렇게 말했다. 여기서부터 13.5㎞ 떨어진 소광2리까지 약 7시간 동안 차량...

  • 24시간만에 1283가지 생물 확인 ‘보물 창고’24시간만에 1283가지 생물 확인 ‘보물 창고’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1.07.12

    24시간 '생물 번개' 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반인이 찾아내족제비눈물버섯, 누룩뱀, 방아벌레…"새로운 세계가 열렸어요" 전문가와 일반인이 식물 조사를 하고 있다. 헤이즐 넛을 만드는 참개암 나무를 살펴보는 참가자들.전 세계에서 하루에 멸종하는 생물은 150종에 이른다. 무슨 생물이 살고 ...

  • 지리산은 케이블카 전쟁 중지리산은 케이블카 전쟁 중 [1] | 환경뉴스

    윤주옥 | 2011.07.11

    작년 10월 1일 공포된 자연공원법 시행령(이하 시행령)은 국립공원 케이블카에 대한 규제완화를 주 내용으로 한다.  개정된 시행령에 의하면, 앞으로는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라도 5km까지는 케이블카를 건설할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은 면적...

  • 외가댁 방죽의 추억…연꽃과 가물치와 새마을 운동외가댁 방죽의 추억…연꽃과 가물치와 새마을 운동 [2]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김성호 | 2011.07.09

      외가댁 바로 앞에는 엄청나게 큰 방죽이 있었습니다. 여름방학이 되어 외가댁에 가면 언제나 제일 먼저 찾는 곳은 이 방죽이었고 밤늦게 도착하여 가볼 수 없을 때면 가장 궁금해지는 것도 이 방죽이었습니다. 어린 시절 나의 놀이터이기도 했던 그 방죽은 지금처럼 ‘얼짱’...

  • 평창의 환희 뒤엔 묻힌 가리왕산의 눈물평창의 환희 뒤엔 묻힌 가리왕산의 눈물 [3] | 환경뉴스

    곽현 | 2011.07.08

    모두가 한쪽으로 가고 있을때는 잠심 심호흡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언젠가부터 우리사회에는 이유있는 지적에 대해 빨갱이대신 포퓰리즘이라는 딱지를 붙이곤 한다. 빨갱이보다는 좀 나아졌다고 그나마 위로해야할 듯 싶다. 그런데 이번엔 아예 국민취급도 못받았다. 못마땅해하...

  • 포내천 생태탐방, 자연이 이끈 동심 여행동심포내천 생태탐방, 자연이 이끈 동심 여행동심 [13] | 환경뉴스

    윤순영 | 2011.07.08

      ▲포내천 뚝방길을 걷고 있다. 한강하구에 위치한 김포시는 한반도 안에 반도로 16개의 하천과 55개의 소하천을 가지고 있는 평야지대이다. 7월2일 포내천을 탐방하였다. ▲포내천 하류 모래톱이 쌓여 있다. 통진면 옹정리에서 시작되어 6개의 소하천을 거느리고 있는 포내천은 평야를 ...

  • 환경기자의 방사선 피폭기환경기자의 방사선 피폭기 [3] | 취재수첩

    남종영 | 2011.07.07

    이제 1년이 다 되어간다. 지난해 8월 (여름휴가 2주일을 앞두고) 불의의 교통사고가 났다. 나는 잠시 정신을 잃었고(목격자들은 절대 그렇지 않았고 단지 횡설수설했을 뿐이라고 증언했다) 한강성심병원에 실려갔다. 얼마간의 기억을 잃은 거 외에는 괜찮았다. 단지 갈비뼈 서너 대가 부러...

  • 장마는 왔는데, 구제역 매몰지는 안녕하십니까?장마는 왔는데, 구제역 매몰지는 안녕하십니까? [4] | 환경뉴스

    곽현 | 2011.07.06

    정부 매몰지 전수조사 엉터리 가능성용인 37곳 점검표 모두 동일하게 작성 배수로 작업중인 경기 이천의 한 구제역 매몰지. 김태형 기자.장마가 몰려오고 있다. 올 여름 부쩍 잦은 비다. 정부의 걱정이 많은 듯하다. 장마로 인해 전국 4천여개가 넘는 구제역 매몰지에 ...

  • 4대강 삽질로 붕괴, 제2 제3의 왜관철교 더 있다4대강 삽질로 붕괴, 제2 제3의 왜관철교 더 있다 [5] | 환경뉴스

    김성만(채색) | 2011.07.05

    지난 25일 새벽 무너졌던 구 왜관철교는 교각보호공을 시공하지 않은 부분이 유실이 되었습니다. 다시말해 교각보호공을 했다면 유실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척이나 강했던 태풍 루사나 매미 때는 교각 보호공 없이도 무너지지 않았던 왜관철교입니다만 4대강 사업 후 불과...

  • ‘메아리’ 타고 94년 만에 다시 온 큰제비갈매기‘메아리’ 타고 94년 만에 다시 온 큰제비갈매기 | 사진

    조홍섭 | 2011.07.04

    국립생물자원관, 제주도서 30여 마리 발견동남아, 호주 등 분포권에서 1100㎞ 이상 북쪽으로 밀려 와 제주에 출현한 큰제비갈매기. 1917년 한 마리가 채집된 뒤 소식이 끊겼던 나그네 새 큰제비갈매기가 제주도에서 30마리 이상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와 함...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