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거미는 물 속 ‘숨 쉬는 집’에서 산다 | 환경뉴스
2011.07.04
|공기주머니가 물속 산소 흡수하고 이산화탄소 배출하는 아가미 구실호주 연구자 정량적 측정으로 밝혀, 학술지 에 발표 물속에서 생활하는 물거미.전 세계 수만 종의 거미 가운데 가장 유별난 거미는 아마도 물속에 사는 거미일 것이다. 물속 수초 사이에 그물...
-
멸종 추정 서울개발나물 44년만에 낙동강서 발견 | 사진
2011.07.01
|1967년 서울 구로에서 마지막 채집, 이후 습지감소로 자취 감춰미나리 과의 세계적 희귀종, 보호종 지정 및 증식 복원 예정 44년만에 다시 발견된 서울개발나물. 국립생물자원관 제공.1967년 서울 구로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채집된 이래 자취를 감춰 국내에서 멸종한 것으로 추정돼...
-
거시기로 우는 2mm 물벌레, ‘기차화통’ 소리 [2] | 환경뉴스
2011.07.01
|물속에서 화물열차 지나가는 소리 내, 몸집 대비 고래와 고끼리 눌러천적 없어 성 선택 과도하게 진행된 결과, 학술지 에 실려 몸집에 견줘 가장 시끄러운 동물로 밝혀진 물벌레 과의 물속곤충. 연못에 사는 작은 물벌레가 몸집에 견줘 모든 동물 가운데 ...
-
뜸북새는 '뜸북 뜸북' 울지 않는다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1.06.30
|논이 벼를 키우는 공간인 것은 틀림없습니다. 그렇다고 우리의 논에서 벼만 자랐던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생물들이 어우러져 함께 숨을 쉬는 하나의 습지였습니다. 하지만 그 많았던 논의 생명체들은 살충제와 제초제를 비롯한 농약의 독성을 더 이상 견뎌낼 길이 없어 논을 ...
-
주한 미군, 캠프 캐럴 오염 조사 무자격업자에 맡겨 | 환경뉴스
2011.06.29
|최근 미군이 7년간 캠프캐럴의 심각한 환경오염조사 결과를 은폐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조사결과 보고서는, 미군이 2003년 캠프캐럴의 토양조사 등 환경오염조사를 삼성물산에 맡겨 작성되었다. 그런데 여기에는 은폐를 했다는 문제뿐만아니라, 조사를 담당했던 삼...
-
1400살 상주 공갈못, 습지보호지역 지정 [1] | 사진
2011.06.28
|오랜 저수지와 주변 논의 습지 가치 처음 인정말똥가리 등 천연기념물 7종 서식, 람사르 습지 등록키로 상주 공검지 전경. 1993년 상주시가 복원했다. 환경부 제공약 1400년 전인 삼한시대에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 공검지가 우리나라의 첫 논습지로서 습지보호지역에 지정됐다. 환경...
-
'G20 대학'? '4대강 대학'도 나올라 [39] | 취재수첩
2011.06.28
|전국장애차별철폐연대 회원들이 17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한국개발연구원 앞에서 국제정책대학원의 이름을 G20개발대학원으로 바꾸는 것에 반대하며 구호가 적힌 펼침막을 들고 서 있다. 전장연은 장애인활동가의 벌금을 마련하기 위해 G20티셔츠를 팔고 있다. 김태형 기자...
-
가평 연인산 24시간 훑는 ’생물 번개’ 오세요 [1] | 환경뉴스
2011.06.27
|경기 가평 연인산서 7월9~10일 열려전문가와 직접 만나 자연보전 배우고 과학자의 길 체험 기회 전문가로부터 곤충에 관한 설명을 흥미롭게 듣고 있는 참가자들. 제1회 생물번개.전문가와 일반인이 어울려 밤늦게까지 곤충채집을 하고 새벽 새소리의 비밀을 알아보는 새로운 차원의 ...
-
완공단계 상주보 둑 무너져 4대강 삽질 재앙 신호탄 [10] | 환경뉴스
2011.06.27
|왜관철교의 붕괴에 이어 대규모 재해가 또한번 발생했습니다. 상주보 하류부분 제방이 참혹하게 무너져버린 것입니다. 해당 제방은 4대강 사업을 하며 새로 보강했고, 조경공사까지 끝난 상태로 거의 완공에 가까웠습니다. 이번 내린 비로 새로 보강한 부분은 물론 기존의 제방부분까지 ...
-
4대강 현장의 아찔한 수해 대비 [150] | 환경뉴스
2011.06.25
|어제 중부지방에는 본격적으로 장맛비가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서울은 비교적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만, 다행히 남한강 일대에는 30mm 안팎의 비가 내렸습니다. 남한강 4대강 사업 공사현장이 걱정이 되어 다녀왔습니다.현장은 기상청의 '최고 150mm 비' 예보에 부랴부랴 공사를 서두르고 있...